본문 바로가기

느릅나무과28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열매 느릅나무 종류 가운데 유일하게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걸쳐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며, 가장 온난한 지역에 분포한다. 느릅나무 종류 중에서 잎은 가장 작으며 가장자리는 겹톱니가 아닌 외톱니 모양이고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생명력이 강해 뿌리를 깊게 내리며 수형이 아름다운 나무이다.  중부 이남 숲 가장자리, 산기슭, 하천변 및 암석지대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산둥반도 이남, 타이완, 베트남 등에 분포한다.     2024. 11. 06.  진주 집현      ●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 Chinese elm, lacebark elm  ↘  목련강 조록나무아강 쐐기풀목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  높이 10~15m, 지름 60cm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두껍고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조각.. 2024. 11. 19.
비술나무 수꽃 암꽃, 수피 Ulmus pumila 동강변에 비술나무가 꽃을 피웠다. 꽃이라고 하지만 아름다운 꽃잎은 없고 흰 수술 끝에 검붉은 꽃밥을 단 수술과 두 갈래로 갈라진 흰 암술이 한 묶음으로 달리는 수수한 모습이다. 느릅나무과의 비술나무는 개느릅나무라고도 불리며, 중부 이북 극동 시베리아에 분포하는 북방계 교목.. 2017. 4. 1.
시무나무 열매, 줄기와 수피 시무나무는 작은 가지가 흔히 가시로 변해 있는데, 그래서 한자로 '가시느릅나무'란 뜻으로 '자유(刺楡)'라 부른다. 잎 모양은 참느릅나무와 비슷하나 좁고 긴 편이다. 우리나라와 중국에만 자생하는 1속 1종의 나무이며, 한국에 서식하는 느릅나무과 나무 가운데 가장 큰 나무다. 다 자라면 높이가 20m, 지름이 2m에 이르는 큰키나무다. 시무나무 열매는 한쪽에만 날개를 가지는데, 느티나무 열매에는 날개가 없고 느릅나무와 비술나무는 열매 양쪽에 넓은 날개가 있다. 시무나무 속명 헤미프텔레아(Hemiptelea)는 날개가 절반만 있다는 뜻을 가진 말이다.('hemi'는 절반을 뜻하고 'ptelea'는 날개를 뜻한다.) 예산 봉수산 ● 시무나무 Hemiptelea davidii | Hemiptelea ↘ 쐐기풀목.. 2016. 6. 3.
느티나무에도 꽃이 핀다, 느티나무의 암꽃과 수꽃 느티나무에도 꽃이 핀다. 꽃이 피지 않고 어떻게 번식이 가능하겠는가? 그럼에도 느티나무에 꽃이 핀다는 사실을 알지도, 믿지도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마을 사람들이 쉴 수 있는 큰 그늘을 드리우며 마을마다 정자나무 풍경을 이루는 느티나무, 하지만 한 번이라.. 2015. 5. 4.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참느릅나무는 봄에 꽃이 피는 느릅나무와는 달리 9월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단다. 느릅나무 종류 중에서 잎은 가장 작으며 가장자리는 겹톱니가 아닌 외톱니 모양이고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생명력이 강해 뿌리를 깊게 내리며 수형이 아름다운 나무이다.  중부 이남 숲 가장자리, 산기슭, 하천변 및 암석지대에 자생한다.    2013. 10. 24.  양재천        ●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  쐐기풀목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의 교목 수피는 어린 나무는 붉은 갈색을 띠며 묵을수록 회갈색이 되며 비늘처럼 잘게 갈라져 벗겨진다. 길이 3~5㎝ 정도의 잎이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끝이 뾰족한 타원형이며 윗가지로 갈수록 크다. 가장자리에 얕고 규칙적인 잔톱니가 있다. 좌우의 잎맥은 10~20쌍.. 2014. 11. 23.
느릅나무에 가시 달렸네, 시무나무 가시 달린 느릅나무가 있다. 그것도 작은 가시가 아니라 조각자나무처럼 무시무시하게 큰 가시가 달린다. 바로 시무나무다. 시무나무는 우리나라와 중국에만 자생하는 1속 1종의 나무이며, 한국에 서식하는 느릅나무과 나무 가운데 가장 큰 나무다. 다 자라면 높이가 20m, 지름이 2m에 이르는 큰키나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고 하는데 그리 만나기 흔한 나무는 아닌 듯하다. 시무나무 수피와 가시 시무나무 잎 시무나무 열매 시무나무 수형 시무나무는 작은 가지가 흔히 가시로 변해 있는데, 그래서 한자로 '가시 느릅나무'란 뜻으로 자유(刺楡)라 부른다. 잎 모양은 참느릅나무와 비슷하나 좁고 긴 편이며 잎밑이 거의 대칭을 유지한다. 시무나무 열매는 한쪽에만 날개를 가지는데, 느티나무 열매에는 날개가 없고 느릅나무와.. 2014. 11. 22.
잎보다 먼저 피는 느릅나무 꽃 머언 산 청운사 낡은 기와집 산은 자하산 봄눈 녹으면 느릅나무 속잎 피어나는 열두굽이를 청노루 맑은 눈에 도는 구름 속잎보다 먼저 꽃을 피웠다. 가을에 꽃을 피우는 참느릅나무, 가원도 산골에서 5월에야 꽃을 피우는 왕느릅나무와 달리 느릅나무는 이른 봄에 꽃을 피운다. 그래서 느릅나무를 춘유(春楡)라고도 한다. 줄기는 거친 잿빛의 나무껍질에 싸여 있지만 작은 가지는 짧은 털이 있는 적갈색 껍질을 가지고 있다. 잔 가지 마다마디 달려 있던 꽃눈이 부풀어올라 드디어 꽃망울을 터뜨렸다. 꽃밥을 단 많은 수술 아래쪽에 두 개로 갈라진 연두색의 암술이 보인다. 붉은색의 꽃부리가 암술과 수술을 감싸고 있다. 느릅나무는 암수한그루로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7∼15개가 모여 달린다. 꽃부리는 종 모양이다.. 2012. 4. 9.
난티나무(Ulmus laciniata) 난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교목이다. 잎 끝에 결각이 없거나 간혹 있고 잎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울릉도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영명으로는 만주느릅나무(Manchurian Elm)이다. ▼ 덕유산 ▼ 난티나무 잎과 열매(07. 04. 27. 홍릉수목원) ▼ 둥근난티나무(07. 07. 24. 울릉도) 산허리 밑.. 2011. 7. 1.
느티나무 꽃봉오리 4월 하순, 울릉도의 느티나무는 아직 꽃봉오리 상태, 채 피지 않아 꽃의 세부 모습을 관찰하기 어려운 모습이다. 울릉도 아직 미성숙한 모습이지만 수술의 형태가 보인다. ●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 Sawleaf Zelkova, Elm-like Tree / 느릅나무과의 교목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5월에 취산꽃차례를 이.. 2011. 5. 18.
난티나무 수피, 잎, 열매 / 둥근난티나무 난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교목이다. 잎 끝에 결각이 없거나 간혹 있고 잎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울릉도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영명으로는 만주느릅나무(Manchurian Elm)이다. ▼ 난티나무 줄기(2011. 03. 26. 홍릉수목원) ▼ 꽃눈이 터져 꼴술을 드러내고 있는 모습. 나무가 너무 높아 꽃.. 2011. 4. 6.
참느릅나무에도 꽃이 피지요 느릅나무속의 나무들이 봄에 꽃이 피는 것과는 달리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는 가을에 접어드는 9월에 꽃이 핀다. 어린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자잘한 황갈색 암술과 수술이 모인 꽃이 피는데, 꽃잎은 없다. 수술은 4∼5개이며, 꽃밥은 붉은황색이다. 꽃이 지고난 뒤에는 납작한 타원 모양의 열매가 주렁주렁 달리는데 한가운데에 씨가 있고 가장자리는 날개이다. 양재천 꽃이 지고난 뒤에는 납작한 타원 모양의 열매가 주렁주렁 달리는데 한가운데에 씨가 있고 가장자리는 날개이다. 참느릅나무는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직립하고 수피는 홍갈색으로 두꺼우며 잘게 갈라진다. 높이 10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붉은갈색으로 조각으로 갈라져서 떨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타원형으로 양 끝이 좁다. 잎가장자리.. 2010. 10. 18.
비술나무 Ulmus pumila 늦은 가을, 어둠이 밀려오는 춘천의 강가에서 만난 비술나무! 가지는 능수형으로 늘어지는 특성을 가진 느릅나무속의 교목이다. 개느릅이라고도 불리며 이른 봄에 꽃을 피우고 둥근 날개가 넓게 달린 열매가 많이 달린다. 세로로 갈라지는 검은 잿빛 줄기에 흰 회를 바른 듯한 무늬가 있.. 2009. 12. 2.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개서어나무는 주로 남부지방 계곡 중턱에서 자라며 물가에서 자란다고 개서어나무라 부른다고 한다. 잎 끝이 꼬리처럼 긴 서어나무에 비해 잎끝이 길지 않다.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로 깊은 산지 숲에서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이다. 한국에서만 자생하는 특산식물로서 공해에.. 2009. 6. 6.
혹느릅나무 Ulmus darvidiana for. suberosa 혹느릅나무는 이명으로 당느릅나무(Ulmus darvidiana)의 품종(for. suberosa)으로 국생정에 등록되어 있으나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로 통합되어 이명 처리되었다. 전남 영광 남한산 불암산 ● 혹느릅나무 Ulmus darvidiana for. suberosa /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 높이 약 15m, 지름 50∼70cm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갈색이고 원줄기가 곧게 선다. 가지와 줄기에 매우 거칠고 투박한 코르크질의 껍질이 혹처럼 발달한다. 어린 가지에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나지만 곧 떨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으로서 길이 3∼12cm이다. 끝은 급하게 뾰족해지고 가.. 2009. 2. 1.
참느릅나무(Ulmus parvifolia) 열매 느릅나무 등 대개의 느릅나무과의 나무들이 봄에 꽃이 피는 것과는 달리 참느릅나무는 초가을에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참느릅나무의 열매는 시과로, 원형에 가까운 타원형의 날개 속에 종자가 자리잡고 있다. 경남 합천 가회 ●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 2009.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