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631 서덜취 꽃 피기전 ↓ 천마산 2009. 8. 30.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 Mapleleaf Ainsliaea) ↓ 천마산 단풍취 Ainsliaea acerifolia | Mapleleaf Ainsliaea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35-80cm이고 가지가 없으며 곧게 서고 긴 갈색 털이 드물게 있다. 잎은 원줄기 중앙에 4-7개가 돌려나기한 것처럼 달리고 원형이며 끝이 7~11개로 얕게 갈라진 다음 다시 3개로 갈라지는 것이 있고 길이 6~12.5cm, 나비 6.5~19.. 2009. 8. 30. 두메담배풀 Carpesium triste ↓ 천마산 ● 두메담배풀 Carpesium triste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40-100cm이고 곧게 서며 밑부분에 벌어진 털이 촘촘히 나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낸다. 뿌리잎은 꽃 필 때에도 남아 있고 꽃무늬처럼 퍼지거나 발달하지 않으며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길이 13-20cm, 폭 3-5cm로서 달걀 모.. 2009. 8. 30.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 천마산 ● 멸가치 Adenocaulon himalaicum | Himalayan Adenocaulon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이고 줄기는 보통 한 대씩 나와 곧게 자라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에 대가 있는 선이 있고 샘털(腺毛)이 촘촘히 난다. 뿌리줄기가 땅에 기면서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난다. 뿌리잎.. 2009. 8. 27. 큰수리취(Synurus excelsus) 어린풀 남한산성에는 수리취가 거의 보이지 않는데, 한 곳에서 큰수리취로 보이는 것이 딱 두 개체 자라고 있다. 포플러를 연상시키는 잎이 인상적이다. 큰수리취는 햇빛이 잘 드는 건조한 양지에서 자란다. 잎자루에 날개가 없는 것도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는 것도 있다. 오른쪽 아래에 보이.. 2009. 8. 18. 금잔화 Calendula arvensis 꽃의 모양이 금술잔같기 때문에 금잔화(金盞花)라고 한다. 저녁에 해가 지면 꽃잎을 닫았다가 아침에 해가 뜨면 꽃잎을 연다. 흔히 '천수국(Tagetes erecta, 아프리칸메리골드)'이나 '만수국(Tagetes patula, 프렌치메리골드)'을 일컫는 메리골드와 같은 것으로 다루고 있으나 금잔화는 이와는 엄.. 2009. 8. 16. 등골나물 Eupatorium japonicum ↓ 백령도 ● 등골나물 Eupatorium japonicum / 국화과 등골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줏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가지가 벌어지지 않는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뻗고, 다시 땅속줄기에서 뿌리가 성글게 내린다.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 2009. 8. 16. '다정다감한 그대의 마음', 기생초 Coreopsis tinctoria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두해살이풀로 금계국과 함께 기생초속에 속하는 대표적인 조경 원예종이다. 금계국(C. drummondi)과 달리 잎이 선형으로 가늘게 갈라진다. '기생꽃'과 혼동하기 쉬운 이름인데, '기생꽃(Trientalis europaea)'은 백두대간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키가 작고 흰 꽃을 피운다. 높이 자라는 줄기에 층층이 마주나는 선형으로 갈라진 잎, 노란 꽃잎 속에 찍혀 있는 붉은 화심이 강렬한 인상을 주는데, '기생초'라는 이름은 이 유혹적이고 화려한 꽃의 인상에서 비롯되었다. 꽃말이 '다정다감한 그대의 마음'이라니 다소 천한 의미를 지닌 이름과는 달리 낭만과 품격이 느껴진다. ↓ 백령도 ● 기생초 Coreopsis tinctoria | tickseed ↘ 초롱.. 2009. 8. 16. 두무진에 핀 쑥부쟁이꽃 ↓ 백령도 2009. 8. 15. 백령도의 골둥골나물 Eupatorium lindleyanum 골등골나물은 등골나물류 중에서 키가 작은 소형종으로 줄기 전체에 털이 있다는 점, 마주나는 줄기잎이 잎자루가 없고 세 갈래로 갈라지는데 6장의 잎이 돌려나기한 것처럼 보이는 점, 잎이 줄 모양으로 가는 점, 잎맥이 3행맥으로 되어 있다는 점 등이 그 특징이다. ↓ 백령도 고봉포구 .. 2009. 8. 15. 개엉겅퀴(?) / 엉겅퀴속(Cirsium) 자생종 백령도에서 만난 엉겅퀴는 가시엉겅퀴일까 싶을 정도로 날카로운 가시가 발달되어 있다. 물론 제주도 등지에서 자생하는 가시엉겅퀴처럼 가시가 길지는 않다. 혹시 엉겅퀴의 기본종인 개엉겅퀴(Cirsium japonicum) 아닐까... 추정해본다. 개엉겅퀴는 국명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기재문이 없어 자생 여부와 실체가 불분명한데, 잎이 좁고 가시가 날카로운 점이 일본의 자료와 상당히 유사해 보인다. ↓ 백령도 ※ 엉겅퀴속(Cirsium) 자생종 개엉겅퀴 Cirsium japonicum - Japanese Thistle 가시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좁은잎엉겅퀴 Cirsium japonicum for. n.. 2009. 8. 15. 금방망이(Senecio nemorensis) 금방망이는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백두산 등 북부 고산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국화과의 풀인데, 북부지방 외에도 한라산과 서해안의 여러 섬 등에서 두루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 백령도 금방망이 Senecio nemorensis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 2009. 8. 15. 삽주 새싹 Atractylodes ovata ↓ 경남 합천 가회 2009. 8. 1. '꽃상치'로 불리는 치커리, 엔디브 Cichorium endiva 엔디브(Cichorium endiva)는 치커리(chicory)의 한 종으로 엔다이브라고도 부른다. 흔히 레드 치커리라고 부르는 치커리 인티부스(Cichorium intybus)에 비해서 털이 훨씬 적고 꽃은 분홍빛이 감돌며 추위에 예민한 종이다. 북유럽이 원산지인 레드 치커리와 달리 엔디브는 중남부 유럽이 원산지이다. 원산지의 겨울이 춥지 않아 봄추위에도 꽃대를 올린다. 잎의 결각은 개량된 결과 품종마다 달라서 이끼처럼 가늘게 찢어지기도 하고(모스컬드) 거의 민들하게 둥근 정도까지(에스카롤) 다양하다. 인티부스 즉 레드 치커리는 꽃이 푸른 보랏빛인데 비해, 엔디브는 약간 탁한 분홍이 섞인 보랏빛이다. 굵고 짤막한 꽃대는 높이 자라지도 길게 가지 치지도 않는다. 도감에는 레드 치커리와 같은 것으로 되어 .. 2009. 7. 25. 흰씀바귀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흰 꽃이 피는 씀바귀의 품종이다. ↓ 지리산 ● 흰씀바귀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 국화과의 여려해살이풀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40∼70cm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드물게 기는가지가 난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씀바귀보다 조금 .. 2009. 7. 12.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