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란초과26 석위 Pyrrosia lingua 고란초과의 상록 양치식물로 제주도 등 남부지방의 산지에 자생한다. 석위(石葦, 石韋)라는 이름은 그늘지고 습한 곳에 있는 바위에 가죽 같은 잎이 자라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애기석위(Pyrrosia petiolosa)는 잎몸이 타원형으로 작고, 잎자루에 골이 있다. '혓바닥(tongue)을 닮은 양치식물(fern)'이라 하여 영명은 tongue fern이라 하며, 엽질이 털섬유인 펠트 같아서 felt fern이라 불리기도 한다. 홍도 ● 석위 Pyrrosia lingua | Tongue fern ↘ 고사리목 고란초과 석위속 상록 양치식물 근경은 거칠며 가냘프고, 적갈색의 비늘조각이 덮여 있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지름 3mm이고 적색 또는 다갈색 비늘조각으로 덮인다. 비늘조각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 2017. 2. 25. 애기일엽초 Lepisorus onoei / 일엽초속 자생종 일엽초(L. thunbergianus)에 비해 소형으로 잎 길이 3-7cm, 폭 5mm 이하로 작고 끝은 둔하며 느슨하게 난다. 땅속줄기는 지름 1-1.5mm로 가늘고 길게 뻗는다. 잎 끝이 대개 뭉뚝한 원두이지만 종종 뾰족한 모양도 있다. 홍도 잎에 광택이 없는 모습이 산일엽초로 보이는 일엽초도 함께 자라고 있는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 애기일엽초 Lepisorus onoei | Tiny weeping fern ↘ 고사리목 고란초과 일엽초속 상록 여러해살이풀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지름 1mm정도로서 비늘조각이 밀생하고 약간 접근하여 잎이 1줄로 달린다. 비늘조각은 피침형이며 근경에 들어 붙고 길이 2.5-3mm로서 흑갈색이지만 가장자리로 갈수록 색이 연해지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약간.. 2017. 2. 25. 일엽초 Lepisorus thunbergianus 남부지방의 숲 속 바위나 나무 껍질에 붙어서 자라는 늘푸른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일엽초 종류 중에서 포장낭군이 가장 크다. 홍도 ● 일엽초 Lepisorus thunbergianus | Weeping fern ↘ 고사리목 고란초과 일엽초속 상록 다년초 근경은 약간 거칠고 크며 옆으로 뻗고 지름 2-3mm이며 때로 가지가 갈라지고 겉에 비늘조각이 있다. 비늘조각은 좁은 피침형이며 길이 3-4m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고 투명한 것과 검고 투명하지 않은 것이 있다. 잎은 마디사이가 짧은 근경에서 나오므로 모여나기한 것같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한 선형으로서 두꺼운 가죽질이고 밑은 좁아져 짧은 대로 되며 끝은 뾰족하고 길이 10~30cm, 나비 5~10mm정도이다. 잎의 앞면은 진한 녹색으로.. 2017. 2. 25. 우단일엽 Pyrrosia linearifolia 잎에 갈색의 털이 밀생하고 있는 모습이 우단(비로드)을 깔아놓은 듯해 우단일엽이라 부른다. 우단일엽은 형태가 일엽초와 아주 닮았지만 일엽초와는 계통이 다르다. 일엽초나 산일엽초는 잔고사리과 일엽초속(Lepisorus)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비해, 우단일엽은 석위와 함께 고란초과 석위.. 2016. 11. 7.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석위(石葦, 石韋)는 고란초과 석위속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바위에 가죽 같은 잎이 자라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한다. 애기석위는 석위보다 작고 땅속줄기가 2mm로 가늘고 잎보다 잎자루가 길다. 또한 석위와 세뿔석위는 잎자루에 홈이 없지만 애기석위는 잎자루에 홈이 패어 있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봉화 바위손과 애기석위 ●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 Petiolate tongue fern ↘ 고사리목 고란초과 석위속 상록 여러해살이풀 근경은 길게 옆으로 뻗으며 지름 1-3mm로서 비늘조각이 전체를 감싸고 비늘조각은 황갈색으로서 길이 3mm이며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고 잎이 다닥다닥 달린다. 높이 5~15cm이다. 영양잎의 엽병은 길이 2~4cm이고 엽신은 길이 3~4.. 2016. 11. 7. 콩짜개덩굴 Lemmaphyllum microphyllum 콩짜개덩굴은 공의 반 쪽처럼 생긴 두터운 잎이 뿌리줄기의 양쪽에 어긋나게 달려 있다. 콩짜개난과 모양이 비슷하나 포자엽의 존재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규슈올레 히라도 코스에서 ● 콩짜개덩굴 Lemmaphyllum microphyllum /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 양치식물 해안지대와 섬의 바위 또.. 2015. 3. 27. 석위 Pyrrosia lingua 규슈 히라도 사비에르 성당 정원에서 자라는 석위. 석위는 남부지방의 산지와 제주도 등에 자생하는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규슈 히라도 잎 뒷면에 달린 황갈색 포자낭군 ● 석위(石韋) Pyrrosia lingua | Tongue Fern, Japanese Felt Fern /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바위와 .. 2015. 3. 27. 일엽초 Lepisorus thunbergianus 규슈 곳곳에는 잡초보다 더 흔하게 일엽초를 만날 수 있다. 산지는 물론 도시의 공원이나 정원의 아름드리 나무 줄기들에도 일엽초들이 피부에 난 털처럼 무성하게 자라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음은 다케오 코스 외곽 산악유보도에서, 산의 정상을 넘으며 만난 아름드리 나무 밑동에 착생하여 자라는 일엽초이다. 2015. 02. 24. 규슈올레 다케오 코스 야나가와 ● 일엽초 Lepisorus thunbergianus ↘ 고사리목 고란초과 일엽초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뿌리줄기는 지름 3-4mm로 옆으로 뻗는다. 뿌리줄기의 겉을 덮은 비늘조각은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3-4mm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뭉쳐서 나오며 홑잎이며, 가죽질이고, 길이 10-30.. 2015. 3. 26. 밤일엽(Neocheiropteris ensata), 밤나무 잎처럼 생긴 일엽초 밤나무 잎처럼 생긴 일엽초란 뜻에서 '밤일엽'이라 하고 '밤잎고사리'로도 불린디. 영명도 'Chestnut-leaf fern'이다. 양치식물 고란초과 밤일엽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다. 일엽초속(Lepisorus)에 비해 땅속줄기에 붙는 비늘조각에 긴 털이 있고 잎맥이 뚜렷하며, 포자낭군은 중앙맥 양쪽으로 1줄 이상 흩어져서 붙는다. 제주도 ● 밤일엽 Neocheiropteris ensata | Chestnut-leaf fern ↘ 고사리목 고란초과 밤일엽속 상록 양치식물 근경은 지름 3-4mm이고 짙은 녹색이며 연갈색 비늘조각으로 덮이고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잎자루 하부에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비늘조각은 엷은 갈색으로 넓은 바소꼴이다. 잎은 홑잎이고 길이 20∼40cm, 나비 .. 2014. 7. 13.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산막이옛길에서 만난 애기석위. 애기석위는 고란초과의 늘푸른 양치식물로 양지바른 바위나 고목에 붙어서 자란다. 석위에 비해 뿌리줄기가 가늘고(2mm) 잎자루가 잎보다 길며 잎이 보다 짧고 포자낭군이 융합한다. 뿌리줄기가 길게 옆으로 벋으며 비늘조각이 전체를 감싸고 잎이 성글게.. 2012. 10. 27. 산일엽초 Lepisorus ussuriensis 어린풀 산일엽초는 깊은 산 그늘진 곳의 바위 겉이나 노목 밑동에 붙어서 자란다. 일엽초가 촘촘히 모여 나는 데 비해 드문드문 나고, 잎끝이 짧게 뾰족하다. 잎자루가 일엽초에 비해 길다. 태백산에서 만난 산일엽초는 아직 포자가 형성되지 않은 어린풀이다. 태백산 ● 산일엽초 Lepisorus ussuriensis | Ussuri weeping fern ↘ 고사리목 고란초과 일엽초속 여러해살이 양치식물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지름 1.5mm로서 끝부분에 비늘조각이 밀생하고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 비늘조각은 근경에 밀착하며 삼각상 달걀모양이고 길이 0.5-0.7mm로서 끝이 뾰족하며 흑갈색이다. 엽병은 길이 2~5cm 정도이며 주맥 밑부분과 더불어 흑갈색이고 엽신은 길이 10~30cm, 나비 5~15mm 정도로 선상 피.. 2012. 7. 30. 애기일엽초 Lepisorus onoei 일엽초는 고란초과에 속하는 양치식물이다. 이 땅에 자생하는 것으로는 일엽초 외에도 산일엽초와 애기일엽초가 있고, 방망이일엽초, 다시마일엽초 등의 변종도 있다. 일엽초(10∼30cm)는 잎끝이 뾰족하고 잎자루가 짧으며, 산일엽초는 잎자루가 길다. 애기일엽초는 일엽초에 비해 느슨하게 나고 뿌리줄기가 길게 뻗으며, 잎이 짧고(6∼8cm) 잎끝이 둥글며 포자가 몇 개 정도 달린다. 제주도, 울릉도와 남해 도서지방, 강원도 이남 산지에서 분포한다. 그늘진 곳의 바위 위 또는 노목에 붙어서 자란다. ▼ 추자도 ● 애기일엽초 Lepisorus onoei | Tiny weeping fern ↘ 고사리목 고란초과 일엽초속 상록 다년초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지름이 1㎜ 정도이고 옆에 비늘조각이 빽빽히 난다. 선형의 잎.. 2011. 9. 30. 사자머리일엽초 사자머리일엽초는 일엽초의 변이종이다. 잎의 끝이 갈라져 있는 모습이 갈기로 덮인 사자 머리와 같은 모습이어서 사자머리일엽초라부른다. 2010. 11. 14. 지리산 고란초, 고란초(Crypsinus hastatus) 이야기 고란초(皐蘭草)는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산의 그늘진 바위틈이나 낭떠러지 또는 벼랑에 붙어 자란다. 백제의 고도 부여의 부소산을 돌아 흐르는 백마강 가 고란사(皐蘭寺) 뒤의 절벽에서 자라기 때문에 고란초라 불리게 되었다 한다. 고란사에서만 자라는 희귀식물로 알려져 .. 2010. 10. 8. 석위(石葦) Pyrrosia lingua 석위는 고란초과의 상록 양치식물이다. 바위 또는 노목 겉에 붙어서 자란다.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석위는 석위 외에도 애기석위(P. petiolosa)와 세뿔석위(P. tricuspis Tagawa)가 있다. '혓바닥(Tongue)을 닮은 양치식물(Fern)'이라 하여 영명은 Tongue Fern이다. Felt Fern이라고도 한다. ↓ 청산도 잎 뒷면.. 2010. 8. 2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