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란초과26 산일엽초 Lepisorus ussuriensis 산일엽초는 고란초과에 속하는 양치식물이다. 이 땅에 자생하는 일엽초는 일엽초, 산일엽초, 애기일엽초가 있다. 산일엽초는 잎자루가 길고, 애기일엽초는 잎이 짧고(6∼8cm) 잎끝에 둥글고 포자가 몇 개 정도 달리며, 일엽초(10∼30cm)는 잎끝이 뾰족하고 잎자루가 짧다. ↓ 지리산 ● 산일.. 2010. 5. 5. 라오스 메콩강 밀림에서 만난 박쥐난 루앙프라방에서 메콩강을 타고 오르다 빡우동굴 주변 강가 숲에서 박쥐난을 만난다. 아름드리 나무 줄기에 붙어 자라는 박쥐난을 처음 발견하고 탄성을 지른다. 식물원에서야 보았지만 자생하는 것을 만나기는 처음이다. ▼ 라오스 루랑프라방 근교 빡우동굴 주변 숲에서 만난 박쥐난 박쥐난이라고 해서 난초 종류로 생각하기 쉬운데, 난초와는 거리가 먼 고란초과의 양치식물이다. 고란초과의 일엽초가 그러하듯이 박쥐난 종류는 다른 식물에 붙어 자라는 착생식물이다. 잎은 2가지 형태가 있는데, 사슴뿔 모양으로 갈라진 길쭉한 잎과 편평하거나 사발처럼 생겨 나무 위에 착 달라붙어 자라는 것이 있다. 외투엽(外套葉)이라고 하는 잎들은 몇몇 종에서 부식토를 모으는 장소로 되어 뿌리가 발달하고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한다. 종에 따라 포자.. 2010. 4. 12. 콩짜개덩굴(Lemmaphyllum microphyllum) 콩짜개덩굴은 고란초과의 양치식물이다. 잎 모양이 콩을 반쪽으로 쪼갠 모양을 하고 있어 콩짜개덩굴이란 이름을 얻었는데, 난초과의 콩짜개난과 비슷해서 구별이 쉽지 않다. 잎의 표면은 두터운 왁스층이 있어 반들반들한데 이는 증산작용을 억제하고 수분을 간직하는 데에 큰 역할을 .. 2010. 3. 1. 산일엽초 Lepisorus ussuriensis 고란초과에 속하는 일엽초는 이 땅에 일엽초, 산일엽초, 애기일엽초, 우단일엽, 다시마일엽초 등이 자생하고 있다. 산일엽초는 잎자루가 길고, 애기일엽초는 잎이 짧고(6∼8cm) 잎끝에 둥글고 포자가 몇 개 정도 달리며, 일엽초(10∼30cm)는 잎끝이 뾰족하고 잎자루가 짧다. ↓ 지리산 ● 산.. 2009. 11. 8. 고란초(皐蘭草) Crypsinus hastatus 고란초(皐蘭草)는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다. 백제의 고도 부여에 있는 고란사(皐蘭寺) 뒤의 절벽에 자라고 있어 고란초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고란초는 산지의 그늘진 바위틈에서 자란다. 희귀종으로 알려졌던 것과는 달리 전국에 많은 자생지와 함께 비교적 풍부한 개체수.. 2009. 2. 24.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도깨비쇠고비는 면마과의 늘푸른 양치식물이다. 종명 falcatum은 '낫모양'이라는 뜻으로 잎 끝이 낫처럼 구부러져 올라가 있어 붙은 이름이다. 건조한 부식토에서 잘 자라며 제주도와 울릉도, 중부지방 해안가의 돌 틈에서 자란다. 소매물도 ●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 Holly Fern / 고사.. 2009. 2. 19. 세뿔석위 Pyrrosia hastata 세뿔석위는 고란초과 석위속의 양치식물로 제주, 전남북, 경남 등에서 자라는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다. 바위에 붙어 사는 풀이 가죽처럼 생겨 석위라 하는데, 세뿔석위는 잎 모양이 세 갈래로 갈라져 뿔처럼 생긴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석위, 애기석위 등 자생 석위속에 비해 대형이다. 선유도 ● 세뿔석위 세뿔석위 Pyrrosia hastata / 고사리목 고란초과 석위속 상록 여러해살이 양치식물 근경은 짧게 뻗는다. 엽병은 길이 10~20cm이고 엽신은 쌍날칼을 꽂은 창과 비슷한 모양으로 3~5개로 갈라지고 중앙 열편이 가장 길어 길이 7~10cm, 나비 2~3cm이며 두껍고 표면은 녹색으로 털이 없으나 뒷면과 엽병에는 붉은 빛이 도는 갈색 별모양털이 밀생하며 주맥이 뒷면으로 튀어나오고 측맥은 우상으로 뻗으며 마.. 2008. 11. 23. 세뿔석위 Pyrrosia hastata 남부지방(전남북, 경남, 제주), 특히 해안 가까운 지역 산지의 바위나 큰키나무에 착생하는 고란초과 석위속의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잎이 세 갈래로 뿔처럼 생겨 세뿔석위라 부른다. 석위(石韋)는 바위에 붙어서 사는 가죽처럼 생긴 식물이란 뜻이다. 서울대공원 식물원 ● 세뿔석위.. 2008. 6. 3. 박쥐란 Platycerium bifurcatum 나무 줄기 위에 붙어서 사는 고란초과의 양치식물로 오스트레일리아산이다. 온실에서 관엽식물로 재배한다. ● 박쥐란 Platycerium bifurcatum / 고사리목 고란초과의 상록 양치식물 나무 위에 붙어서 자란다. 덩어리 같은 뿌리줄기에서 2가지 잎이 모여 나온다. 하나는 영양엽(營養葉)으로 콩.. 2008. 2. 5. 일엽초 Lepisorus thunbergianus 고란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산일엽초나 애기일엽초에 비해 전초는 물론 포장낭군이 가장 크다. 일엽초속은 잎이 갈라지지 않고 가장자리가 매끈하며 그 형태가 균질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포자낭군이 비늘로 덮여 있는 특징이 있다. 속명 Lepisorus는 비늘(lepi-)이 포자낭군(sorus)을 덮고 있다는 뜻이다. 남부지방(전남, 경남, 울릉도, 제주도)에 분포하며 숲 속 바위나 늙은 나무의 껍질에 붙어서 자란다. 2007. 10. 02. 선유도 ● 일엽초 Lepisorus thunbergianus / 고사리목 고란초과 일엽초속 상록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지름 3-4mm로 옆으로 뻗는다. 뿌리줄기의 겉을 덮은 비늘조각은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3-4mm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잎은 뿌리줄기.. 2007. 10. 20. 콩짜개덩굴 Lemmaphyllum microphyllum 지난해 겨울 홍도 여행을 한 일이 있다. 그때 홍도 분교 뒷산을 등산하면서 처음으로 만나게 되었다. 상록수림 속에 지천으로 타오르고 있는 이 녀석들! 처음에는 콩짜개난으로 알았다. 그런데, 알고보니 비슷하게 생긴 것으로 콩짜개덩굴이란 것이 있지 않은가! 그래서 ~난인지 ~덩굴인.. 2006. 1. 16.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