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독미나리 Cicuta virosa 독미나리는 이름처럼 맹독성이 있는 미나리 닮은 풀이다.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강원도 양구, 태백, 평창, 횡성 지역의 습지에서 자란다. '개발나물아재비'라고도 하며 '독근(毒芹)'·'독근채화(毒芹菜花)'라 불리기도 한다. 기본종인 독미나리에 비해 잎이 좁은 극단품으로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변종을 가는잎독미나리(var. stricta)라고 한다. 신구대식물원 / 2013. 06. 02 ● 독미나리 Cicuta virosa | water hemlock ↘ 산형화목 산형과 독미나리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원통형으로 속이 비고 곧추서며 가는 홈줄이 있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며 잎과 더불어 털이 없다. 땅속줄기 끝에서 속이 빈 땅속줄기가 자라며 가지가 갈라진다. 땅속줄기는 지름 2-5cm로 녹.. 2014. 6. 11.
자란(紫蘭) Bletilla striata 자란(紫蘭)은 넓적하면서도 날렵한 잎새, 이름처럼 자줏빛 붉게 피는 탐스런 꽃이 아름다운 여러해살이 난초이다. '주란', '대암풀'이라고도 불린다. 우리 나라의 서남 해안과 남해의 여러 섬에 자생하는데 야산의 양지쪽 물빠짐이 좋은 황토밭에서 자란다. 일본, 타이완, 티벳 동부지역, 중국에도 분포한다. 신구대식물원 / 2013. 06. 02 ● 자란 紫蘭 Bletilla striata | Chinese Ground Orchid ↘ 미종자목 난초과 자란속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난상의 구형 알줄기는 높이 4cm이고 육질로 속은 흰색이다. 줄기는 단축되어 둥근 알뿌리로 되고 여기에서 5∼6개의 잎이 서로 감싸면서 줄기처럼(위경) 된다. 잎은 길이 20∼30cm, 나비 2∼5cm의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부.. 2014. 6. 10.
정향풀 Amsonia elliptica 협죽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정향나무가 그런 것처럼 꽃 모양이 옆에서 보면 '정(丁)'자처럼 보이는 풀이어서 '정자초(丁字草)'라 불리던 것이 '정향풀'로 불리게 되었다. 완도·대청도 등 바닷가 풀밭이나 모래땅에서 자란다. 신구대식물원 / 2013. 06. 02 ● 정향풀 Amsonia elliptica | Asian bluestar ↘ 용담목 협죽도과 정향풀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고 높이 40∼80cm이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에서는 마주나고 바소꼴이다. 잎자루가 거의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화관 통부는 길이 8mm이며 갈래조각은 통부와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 2014. 6. 10.
두메고들빼기 어린 풀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속(상추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씀비귀와 유사하나 잎이 줄기를 감싸는 점이 다르다. 잎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며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2013. 05. 18. 오대산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상추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60~130cm로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다. 잎은 밑이 날개처럼 되어 잎자루로 넓게 이어져서 불룩하게 되거나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며, 노란색 머리 모양 꽃이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머리 모양 꽃은 혀모양꽃으로만 이루어진다. 꽃싸개는 3~.. 2014. 5. 21.
삿갓나물 Paris verticillata 삿갓나물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독성 식물이다. 깊은 산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5~8개의 잎이 수레바퀴처럼 달리고 그 중심에서 꽃대가 올라와 8개로 갈라진 꽃술을 단 꽃의 모양이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인다. 오대산 2013. 5.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조휴(蚤休)라는 약재로 쓰는데, 천.. 2014. 5. 21.
당개지치 Brachybotrys paridiformis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군데군데 새싹이 자라나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없으며 줄기 위쪽에서 잎이 촘촘하게 달려 5-6장이 돌려난 것처럼 보인다. 꽃은 4~5월에 피며 진한 보라색이고, 화관의 통부는 아주 짧다. 전북 장안산, 적상산 이북 산지에서 자라는 지치과 당개지치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13. 05. 18. 오대산 ● 당개지치 Brachybotrys paridiformis ↘ 꿀풀목 지치과 당개지치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군데군데에서 새싹이 나온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없으며, 높이는 4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 밑 부분의 잎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잎집 같으며,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긴 잎자루 끝에서 잎몸이 자라기 시작하여 잎자루 밑 부.. 2014. 5. 21.
나도바람꽃 Enemion raddeanum 나도바람꽃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강원도 이북의 산지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며, 바람꽃 종류 중에서 꽃이 많이 피고 개화기가 길다. 만주바람꽃(I. mandshuricum)에 비해 줄기가 더 크고 튼튼하며 꽃이 더 늦게 피고 꽃이 줄기 끝에서 산형꽃차례를 이루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2013. 05. 18. 오대산 한 송이의 꽃에 4개의 꽃잎만 달린 특이한 나도바람꽃 ● 나도바람꽃 Enemion raddean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나도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20-30cm이다. 뿌리잎은 2-3장이며, 잎자루가 길다. 줄기잎은 보통 1장이며, 줄기 위쪽에 달리고 잎자루가 짧다.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겹잎이며, 작은잎은 다시 3갈래로 갈라진다... 2014. 5. 21.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회리바람꽃은 경기도, 강원도 이북에 분포하는 미나리아재비과 아네모네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 모양은 다른 바람꽃들과는 달리 아름다운 꽃잎(꽃받침의 변형)이 없이 노란 방울이 모여 꽃을 형성한 것처럼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 ●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 미나리아재비과 뿌리줄.. 2014. 5. 19.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하나의 꽃대에 한 송이 꽃이 달리므로 홀아비바람꽃이라고 한다. 미나리아재비과 아네모네속의 한국 특산식물로 경기도와 강원도에 분포한다. 2013. 05. 17. 대관령 겹꽃 형태의 특이한 홀아비바람꽃 홀아비바람꽃과 숲개별꽃 간혹 꽃대가 두개씩 올라오는 경우도 있다. ●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의 여러해살이풀 굵은 뿌리는 끝에 몇개의 비늘 같은 조각이 있다. 뿌리잎은 1∼2개이고 높이 3∼7cm로 잎몸은 손바닥 모양으로 5개로 갈라지며, 나비 4cm 내외이다. 꽃은 4월에 피고 백색이며, 꽃줄기 끝에 1개가 위를 향하여 핀다. 총포는 잎 같고 3개로 갈라지며 꽃줄기에 긴 털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도란형이며 끝이 둥글지만 가운데가 뾰족하다. 씨방은 털이.. 2014. 5. 19.
털제비꽃(대관령) Viola phalacrocarpa 털제비꽃은 전체에 잔털이 촘촘히 나는 제비꽃으로 꽃색은 붉은 빛이 도는 자줏빛이며 잎과 꽃줄기에도 붉은빛이 감돈다. 주로 양지쪽 산언덕에서 자란다. 왜제비꽃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왜제비꽃은 잎자루가 길고 꿀주머니가 훨씬 가늘다. 전체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을 민둥뫼제비꽃(for. glaberrima)이라고 한다. 2013. 05. 17. 대관령 ● 털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 1-3cm, 폭 0.8-2.5cm로서 얕은 심장저이며 과시(果時)에는 길이가 8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3-10cm이지만 과시에는 길이 20cm이고 위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는 없으며 근경이 짧고 다소 총생하.. 2014. 5. 19.
붉은참반디 Sanicula rubriflora 대관령에서 만난 산형과 참반디속의 여러해살이풀, 붉은참반디. 5월 무렵에꽃이 자주색으로 핀다. 애기참반디(S. tuberculata)에 비해서 뿌리잎이 더 크고 열매 위쪽에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는 점으로 구분되며, 참반디(S. chinensis)에 비해 잎자루가 없는 1쌍의 잎이 달리고 꽃이 흑자색인 점으로 구분된다. 덕유산 이북 높은산 숲속에 자생한다. 2013. 05. 17. 대관령 ● 붉은참반디 Sanicula rubriflora ↘ 산형목 미나리과 참반디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굵고 줄기는 곧게 선다. 높이 20∼5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근 신장 모양이며, 3개로 갈라진 다음 옆갈래조각은 다시 2개로 갈라진다. 각 갈래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3∼5개.. 2014. 5. 19.
큰황새냉이 Cardamine scutata 황새냉이는 두해살이풀이고 큰황새냉이는 여러해살이풀이며, 큰황새냉이는 황새냉이에 비해 작은잎의 수가 적고 정소엽이 특히 크다.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13. 05. 17.  대관령     ● 큰황새냉이 Cardamine scutata  ↘  양귀비목 십자화과 황새냉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10-20cm, 전체적으로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로 갈라져서 작은잎은 3-11장으로 된다. 끝의 작은잎이 가장 크고 가장자리에 둔한톱니가 있다. 잎의 양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4장이고 넓은 주걱 모양으로 흰색이다. 열매는 각과이고 익으면 2갈래로 터진다.    ※ 참고자료 : Cardamine .. 2014. 5. 19.
큰구슬붕이 Gentiana zollingeri 큰구슬붕이는 용담과의 두해살이풀로 가을에 꽃을 피우는 용담과 달리 이른 봄에 자주색 꽃을 피운다. 비슷한 종인 구슬붕이(G. squarrosa)와 비교하면, 뿌리에서 나온 잎이 방석처럼 퍼지지 않고 줄기에 달린 잎보다 작으며 꽃받침 조각이 뒤로 젖혀지지 않는 것이 다르다. 러시아 아무르, 사할린,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2013. 05. 17.  선자령-대관령     ● 큰구슬붕이 Gentiana zollingeri  ↘  목련강 용담목 용담과 용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5∼10cm이며 모가 난 줄과 잔 돌기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5∼12mm의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며 밑 부분이 합쳐져서 짧은 잎집이 된다. 잎 가장자리는 두껍고 흰색이며 잔 돌.. 2014. 5. 19.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습지나 물가에 나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흰 수염뿌리를 많이 가지고 있다. 뿌리잎은 모여나며긴 잎자루에 둥근 심장형 잎이 달린다. 꽃은 줄기 위쪽에 2~4개씩 달리며 노란색 꽃받침잎이 꽃잎처럼 보인다. 미나리아재비과의 많은 꽃들이 그렇듯이 꽃잎은 없다.    2013. 5. 17.  대관령     ●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  목련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동의나물속 흰색의 굵은 뿌리에서 잎이 뭉쳐난다. 잎은 심장모양의 원형 또는 달걀모양의 심원형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5∼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꽃은 꽃잎이 없으며 꽃받침 조각이다. 4∼5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줄기 끝에 1∼2개씩 달리고 작은꽃가지가 있다. 열매는 골돌(利咨)로 4∼16개씩.. 2014. 5. 19.
참좁쌀풀(Lysimachia coreana) 어린풀, 꽃 참좁쌀풀은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초원에서 자란다. 학명(Lysimachia coreana)이 한국의 리시마키아로 되어 있듯이, 백두대간을 따라 분포하는 한국 특산 식물이다. 참좁쌀풀은 아름다운 꽃이 주목을 받지만 어린풀의 모습에 관심을 두는 일이 드문 듯하다. 대관령에서 만난 참좁쌀풀의 전초를 담아보았다.    2013. 5. 17.  대관령      ● 참좁쌀풀 Lysimachia coreana  ↘  목련강 앵초목 앵초과 참좁쌀풀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높이 50∼100cm이고, 모서리각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것이 있다. 잎은 돌려나거나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다. 잎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 2014.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