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꿩의다리 Thalictrum aquilegifolium 덕유산 ● 꿩의다리 Thalictrum aquilegifolium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능선이 있고 속이 비었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가 50∼100cm이며 털이 없고 분처럼 흰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 아래쪽의 잎자루는 길지만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짧아져 없어지고 2∼3회 깃꼴로 .. 2008. 7. 21.
까치고들빼기, 지리고들빼기 어린풀 까치고들빼기와 지리고들빼기는 잎이 깃꼴로 깊게 갈라진 모습이 비슷하여 구별이 쉽지 않다. 흔히는 잎자루와 잎축의 날개 유무로 구별하는데, 까치고들빼기는 없고 지리고들빼기는 있다. 지리고들빼기는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독립된 종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까치고들빼기와 고들빼기.. 2008. 7. 20.
털중나리 Lilium amabile 제주도와 울릉도를 비롯한 전국의 해발 1,000m 미만 지역 햇볕이 잘 드는 절사면이나 메마른 풀밭에 자생하는 나리류이다. 잎에 털이 많고 꽃이 화려하다. 특히 자생 나리류들 가운데 재배가 가장 용이한 종이다. 남한산 ● 털중나리 Lilium amabile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이며 가.. 2008. 7. 9.
털중나리 Lilium amabile 남한산 ● 털중나리 Lilium amabile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이며 가지는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고 전체에 잔털이 있다. 뿌리 인경(鱗莖)은 길이 2.5-4cm, 지름 15-25mm로서 난상 타원형이고 인편은 길며 마디가 없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3-7cm, 폭 3-8mm로서 예두 또는 둔두이.. 2008. 7. 9.
솜방망이, 꽃 진 다음 ▶ 남한산 ▶ 대모산 2008. 7. 9.
쇠채 ▶ 남한산 쇠채 Scorzonera albicaulis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기슭의 양지와 바닷가 풀밭 등에서 자란다. 높이 23∼100cm로서 줄기에 상처를 내면 유액이 나오며, 흰 털로 덮여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줄 모양 바소꼴인데, 끝이 뾰족하며 꽃이 필 때까지 남아 .. 2008. 7. 9.
떡쑥 Gnaphalium affine 옛날에 떡을 만들어 먹었다고 하여 떡쑥이라고 한다. 떡쑥은 잎이 쥐의 귀를 닮아 부옇게 털로 덮여 있고, 황색 알갱이 모양의 꽃은 누룩을 닮아서 서국초(鼠麴草)라고도 부른다. 꽃이 피어도 희미하여 눈길을 붙들기 쉽지 않은 모습인데 접사하여 보는 꽃의 모습은 생각보다 아름답다. .. 2008. 7. 9.
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콩과 벌노랑이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다른 콩과 식물들에 비해서 작은잎이 끝에 3장 아래쪽에 2장씩 달리는 점이 특징이고, 꽃이 2~3개만 달리는 점으로 꽃이 4~7개씩 달리는 서양벌노랑이와 구별된다. 남한산성 ● 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 콩과 벌노랑이속 여러해살이풀 길.. 2008. 7. 9.
흰갈퀴(꽃갈퀴) Galium dahuricum var. tokyoense 흰갈퀴는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큰잎갈퀴(Galium dahuricum)의 변종(var. tokyoense)으로 초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순백의 흰 꽃을 취산꽃차례로 피우며 큰잎갈퀴와 달리 열매에 털이 없다. 경기도 이북의 산지의 음지나 낮은 지대의 습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란다. 남한산 습지대 ● 흰갈퀴 Galium dahuricum var. tokyoense ↘ 용담목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모가 지고 가지가 갈라져서 비스듬히 또는 옆으로 30∼60cm자란다. 줄기의 능선, 잎 가장자리 및 뒷면 맥 위에 갈고리 같은 잔가시가 돋는다. 잎은 6개씩 돌려나고 그 중 4개는 턱잎이 변한 것이며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다. 또한 톱니가 없고 밑으로 좁아져서 줄기에 직접 달린다. 꽃.. 2008. 7. 9.
수염가래 ▶ 남한산 수염가래꽃 Lobelia chinensis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숫잔대과의 여러해살이풀 세미초(細米草)·과인초(瓜仁草)·반변하화(半邊荷花)라고도 한다. 논둑과 습지에서 자란다. 옆으로 벋어가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마디에서 갈라진 가지가 곧게 3∼15cm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2줄로 배열하.. 2008. 7. 9.
고삼(느삼, 도둑놈의지팡이) Sophora flavescens 고삼(苦蔘)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땅속 깊히 내린 원주상의 굵은 황갈색 뿌리는 맛이 매우 쓰므로 고삼이라 부르며 약재로 이용되기도 한다. . ↓ 남한산 ● 고삼(苦蔘) Sophora flavescens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80∼100cm로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빛을 띤다. 줄기는 곧게 서고 잎은.. 2008. 7. 9.
큰뱀무 ▶ 남한산 큰뱀무 Geum aleppicum Jacq.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근생엽은 총생하며 긴 엽병이 있는 기수우상복엽이다. 소엽은 3-5쌍이며 점차 작아지고 장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고르지 못한 톱니와 결각이 있으며 소엽사이에 작은 부속 소엽이 있다. 정소엽은 사각상 난형 또는 원형이며 예두.. 2008. 7. 8.
기린초 ▶ 남한산성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 돌나물과의 다육질 숙근성 다년초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이며, 끝은 둥글고 기부는 좁아져서 줄기에 붙는다. 잎의 길이는 2~4cm, 폭은 1~2cm 정도로 잎의 양면에 털이 없고, 가에는 둔한 거치가 있다. 원줄기는 곧게 서고, 줄기는 모여나며 .. 2008. 7. 8.
세잎승마 꽃차례 내밀 무렵 세잎승마는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의 변종으로 잎은 작은 잎 셋이 달린 모양이다. 주로 석회암지대에 자생한다고 한다. 세잎승마 꽃 ● 세잎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 미나리아재비과의 어러해살이풀 높이 1~1.2m이다. 줄기는 곧고 둥그스름하며 아래부분에 가는 흠이 있으며 털은 없다. 뿌리줄기는 굵고 거칠며 검다. 잎은 줄기에 어긋난다. 줄기 밑부분의 잎에는 20cm 정도의 긴 잎자루가 있으며 털은 없다. 잎은 세잎나기이고 털은 없다. 가운데 작은잎은 넓은달걀형 또는 넓은원형(길이 6~12cm, 너비 8~16cm)이며 윗부분은 다시 3갈래로 갈라진다. 밑부분은 둥근심장형이고 잎가장자리(엽연)는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양쪽 작은잎은.. 2008. 7. 8.
터리풀 Filipendula glaberrima 터리풀은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 남한산 ● 터리풀 Filipendula glaberrima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m이고, 곧게서며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목질화된 굵은 근경에서 짧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근생엽은 1회우상복엽이고 정소엽은 길이 16cm.. 2008.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