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038 주름버섯속(Agaricus sp.) 동심원상의 갓 무늬는 음란주름버섯, 자루 기부의 볼록한 구근상은 등색주름버섯, 자루의 노란색 변색은 광비늘주름버섯(노란대주름버섯)을 닮았다. 구미가 당기는 신선한 향기를 풍긴다. 이 버섯의 정체는 무엇일까? 2024. 09. 26. 서울 ● 주름버섯속 Agaricu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높이 ○ ※ 참고 자료 : • ☞ 붉은갓주름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3495 https://kheenn.tistory.com/15861363 https://kheenn.tistory.com/15863495 ☞ 실비듬주름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1364 https://kheenn... 2024. 10. 21. 미역흰목이 Phaeotremella fimbriata(Tremella fimbriata) (?) 산길 옆 참나무 그루터기, 수피와 변재 사이에 나풀나풀 물결형 꽃잎이 다발을 이룬 듯 검푸른 버섯(?)이 자라고 있다. 종잇장처럼 얇은 자실체는 말라서 그런지 시각적으로 보는 것과 달리 풀을 먹인 듯 뻣뻣하다. 미역을 연상시키는 모습이 꽃흰목이와 동일종으로 보기도 하는 미역흰목이(Tremella fimbriata)와 유사한 모습이다. 제주도에서 보고되는 물두건버섯과의 잎심장두건버섯(Cordierites frondosa)도 유사하지만 색깔이나 형태 질감 등에서 동일하다는 느낌이 딱히 들지 않는다. 또 Ionomidotis frondosa도 꽤 유사한 모습이다. 2024. 09. 26. 서울 2024. 10. 01. 같은 버섯 ● 미역흰목이 Phaeotremella fimbriata .. 2024. 10. 20. 밤꽃그물버섯(밤꽃청그물버섯) Cyanoboletus pulverulentus 갓은 올리브빛이 감도는 암갈색이고 관공은 황색이며 자루는 윗부분이 황색인데 아래쪽은 붉은색이다. 관공과 자루는 상처를 주자 바로 진한 잉크색으로 변색된다. 밤꽃그물버섯은 변색 특징으로 영명이 'ink stain bolete'이다. 국립수목원은 '푸른잉크그물버섯, 조덕현은 '밤꽃청그물버섯'으로 각각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북한 이름은 '색갈이그물버섯'이다. 여름~가을 숲속 땅에서 발생하며 한국, 일본,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9. 26. 서울 ● 밤꽃그물버섯 Cyanoboletus pulverulentus | ink stain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청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4~10cm, 어릴 때는 반구형, 이후 둥근 산 모양-편평한 모양.. 2024. 10. 20. 검은점민팥버섯 Biscogniauxia atropunctata 자실체는 회색 표면이 검은색 점으로 덮여 있는 패치 형태로 자라며 전체적으로 검게 변한다. 성숙하면 검은 포자분출구멍에 의하여 백색의 점상이었다가 결국 거의 모두가 검게 된다. 병원성이 아닌 경우 이 버섯은 참나무와 기타 활엽수에서 부생하여 숙주 죽은 나무를 썩게 한다. 여름~가을 침엽수, 참나무류 숲의 쓰러진 나무나 껍질이 벗겨진 표면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한국, 일본, 북미에 분포한다. 2024. 09. 15. 서울 2024. 09. 24. 서울 2024. 10. 08. 서울 ● 검은점민팥버섯 Biscogniauxia atropunctata | hypoxylon canker ↘ 자낭균문 동충하초강 콩꼬투리버섯목 콩꼬투리버섯과 민팥버섯속 자실체(자좌)는 길이 2~50cm.. 2024. 10. 20. 노랑망태버섯 Phallus luteus, 유균 해거름 하산 하는 길, 등산로 입구의 산속 텃밭 가에서 노랑망태버섯 유균을 만난다. 땅속 알에서 자루가 나오고 종 모양 갓이 생기면 갓 안쪽과 버섯자루 위쪽 사이에서 노란 망태가 화려한 드레스처럼 둥글게 펼쳐지며 2시간 정도 지나면 시들어 '하루살이 버섯'이라 불린다.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으로 머리 부분에 악취가 많이 나는데 파리를 유인하여 점액질에 섞여 있는 다량의 포자를 퍼뜨리려는 번식 전략이다. 흰 망태를 펼치며 대나무 숲에서만 나는 망태말뚝버섯과 달리 산지 숲에서 난다. 아열대성 버섯으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인도, 멕시코 등 열대 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죽손(竹蓀)'이라 불리는 흰망태버섯이 식용 버섯으로 평가 받는 데 비해 노랑망태버섯은 식용 가능하나 환영받지는 않는 듯하다. 2024.. 2024. 10. 20. 등색가시비녀버섯 Cyptotrama asprata 아주 작은 버섯이지만 손꼽을 만한 아름답고 화려한 버섯이다. 밝은 노란색에서 오렌지 황색의 갓에는 작은 섬유질 돌기들이 촘촘하고 주름살은 성긴데 희고 가지런하다. 갓은 언제나 단정하게 둥글다. 각과 자루는 과립상의 분말로 덮여 있다. 뽕나무버섯과 비녀버섯속의 버섯으로 모든 종류의 죽은 나무 줄기나 가지에서 발생한다. 세계 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유럽과 북아메리카 서부에는 없다. 2024. 09. 24. 서울 ● 등색가시비녀버섯 Cyptotrama asprata | golden-scruffy collybia, spiny woodknight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비녀버섯속갓은 폭 1~2cm의 소형으로 처음에는 반구형에서 편평형이 된다. 표면은 짙은 황색의 바탕에 탈락성 솜 찌.. 2024. 10. 18. 일본연지그물버섯 다홍색 갓과 자루, 노란 관공의 자실층으로 색감이 곱고 예쁜 그물버섯과의 버섯! 갓 표면은 매끄럽고 분홍색~적갈색이며 살은 연한 황적색이나 약간 청색으로 변색된다. 관공은 노란색~올리브색이며 변색은 거의 없다. 갓과 같은 색의 자루는 속이 차 있고 미세한 반점과 도드라진 그물눈이 있다. 한국,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 지역에 제한된 분포를 보이고 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또는 침엽수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식용 여부는 불분명하다. 2024. 09. 24. 서울 ● 일본연지그물버섯 Heimioporus japonicus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연지그물버섯속균모는 지름 5~8cm이고 처음에는 반구형, 이후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한 모양이 된다. 표면은 매끄럽고 자홍색 .. 2024. 10. 18. 포도쓴맛그물버섯 Tylopilus vinosobrunneus 갓이 전체적으로 자줏빛이고, 자루 상부에 포도빛이 뚜렷하며, 흰색에 가까운 관공은 붉은빛이 있고 상처를 내자 진한 갈색으로 변색되는 점, 단면 조직이 아주 약하게 붉은빛이 도는 점 등으로 포도쓴맛그물버섯으로 보인다. 포도쓴맛그물버섯은 국립생물자원관이나 국가표준버섯목록에 국명과 학명만 등록되어 있고 기재문이 없는 상태이고, 외국 자료도 거의 검색되지 않는다. 2024. 09. 24. 서울 ● 포도쓴맛그물버섯 Tylopilus vinosobrunneus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쓴맛그물버섯속 ○ ※ 참고 자료 : guatemala.inaturalist.org/Tylopilus-vinosobrunneus ☞ 융단쓴맛그물버섯 => https://kheenn.ti.. 2024. 10. 18. 뇌 모양의 찐빵버섯(흰찐빵버섯) Kobayasi nipponica 반쯤 땅 위에 드러난 하얀 알과 같은 모습으로 첫 대면한다. 흰색에 연한 갈색빛이 있고 다소 울퉁불퉁한 덩어리는 지름 2∼4cm쯤으로 표면은 평활하거나 때로는 가늘게 갈라진다. 절단해 보니 얇은 껍질 속에 어두운 녹색의 우무 같은 덩어리가 뇌나 유방 조직처럼 구획되어 들어있다. 기본체는 어두운 녹색이고 연골질로서 단단하며 그 안에 자실층이 형성된다. 밑부분에는 흰 뿌리 모양의 두터운 균사다발이 있다. 말뚝버섯과 찐빵버섯속 버섯으로 여름∼가을 소나무 숲 땅에서 많이 난다.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식용하지 않는다. 2024. 09. 24. 서울 ● 찐빵버섯(흰찐빵버섯) Kobayasi nipponica ↘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찐빵버섯속 자실체는 지름 3~7cm, 찌그러진 공 모양... 2024. 10. 18. 미동정, 송이속(?)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림이나 혼합림 땅에서 비교적 흔하게 만나는 버섯인데도 아직 그 이름을 알지 못한다. 무슨 이유에서 그리되었는지 미기록종인 듯하다. 2024. 09. 24. 서울 ● ↘ 높이 ○ ※ 참고 자료 : • ☞ 더 보기 => 2024. 10. 18. 명자나무(명자꽃) Chaenomeles speciosa 모과나무와 같은 장미과 명자나무속 관목으로 원산지는 중국이다. 모과와 비슷한 열매가 달린다. 열매는 길이 5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10cm 이상으로 달리는 모과나무(C. sinensis), 거의 둥근 구형으로 길이 2~3cm 정도로 작은 풀명자(C. japonica)와 구별된다. 정원이나 공원에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약재로 쓴다. '가시덱이', '산당화', 명자꽃'이라고도 한다. 2024. 09. 23. 서울 ● 명자나무 Chaenomeles speciosa | flowering quince, Chinese quince ↘ 목련강 장미아강 장미목 장미과 명자나무속 관목 줄기는 높이 1~2m로 자라고,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하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 2024. 10. 18.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대극과의 한새살이풀로 땅빈대와 모양과 크기가 아주 유사하나 잎 중앙에 붉은 반점이 있고 열매는 털이 나는 점으로 구분된다. 큰땅빈대에 비해 전초가 작으며 줄기는 눕고 전체적으로 털이 많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경작지 주변, 민가 주변의 길가 등에서 흔하게 자란다. 전 세계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전초를 약재로 쓴다. 2024. 09. 14. 서울 2024. 09. 23. 서울 ●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 spotted spurge, prostrate spurge, milk purslane ↘ 목련강 장미아강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 귀화식물 줄기는 가지가 갈라져 땅 위에 퍼지며, 길이 10~25cm,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 .. 2024. 10. 18. 마른진흙버섯 Fuscoporia gilva(Phellinus gilvus) 5월의 마지막날에 마른진흙버섯으로 추정되는 지난해의 부착 버섯을 발견한 발생한 장소에서 올해 새로 자라난 마른진흙버섯이다. 노균과는 양감과 질감이 다른 모습이다. 반배착성 버섯으로 다수가 겹쳐서 층을 이루며 발생한다. 갓은 황갈색-자갈색이고 조개껍질형 또는 반원형으로 자라며 자실층은 관공형이다. 소나무비늘버섯과의 버섯으로 북한명은 '진흙빛혹버섯'이다. 일 년 내내 죽은 활엽수 줄기나 쓰러진 나무에 붙어 자라며 대개 한해살이이나 때로 2~3년생인 경우도 있다. 백색부후균으로 흔한 종이다. 2024. 09. 23. 서울 2024. 05. 31. 위와 같은 장소 ● 마른진흙버섯 Phellinus gilvus | oak conk, mustard yellow polypore ↘ .. 2024. 10. 18. 당귀젖버섯 Lactarius subzonarius 왜당귀향이 난다는 젖버섯으로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연한 살색이나 연한 적갈색이며 계피 갈색의 테 무늬가 여러 개 둘려져 있다. 주름살은 아주 촘촘하며, 상처 시 유액은 연한 흰색을 띠는 물처럼 나온다. 부드러워 부서지기 쉬운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나며 활엽수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4. 09. 23. 서울 ● 당귀젖버섯 Lactarius subzonariu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갓은 2.5~4cm의 중·소형으로 반구형이나 차차 오목 편평형이 되며, 습할 때 표면에 점성이 있다. 연한 살색~연한 적갈색을 띠며 계피 갈색의 환문이 여러 겹으로 둘려져 있다. 살은.. 2024. 10. 18. 절구무당버섯, 절구무당버섯아재비, 귀무당버섯 오후 늦게 앞산 산책을 나섰다 가까운 거리에 발생하고 있는 3가지 버섯을 만난다. 절구무당버섯은 상처에 금방 붉게 변한 다음 점차로 검어지고, 절구무당버섯아재비는 상처에 색 변화는 거의 없으며 늙으면 주름살날이 점차로 붉어지고 거뭇거뭇해진다. 이에 비해 귀무당버섯은 절구무당버섯과 형태적으로 비슷하면서 알비노처럼 연한 황갈색을 띤다. 절구무당버섯아재비와 귀무당버섯 사이의 비슷한 형태의 버섯들도 발견되는데 이들에 대한 연구는 아직 안 된 듯하다. 2024. 09. 23. 서울 ■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 ■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 귀무당버섯 Russula earlei ○ 절구무당버섯은 식용 버섯이고 절구무당버섯은 독버섯으로 식용.. 2024. 10. 17.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7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