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의 풀꽃나무

<백두산> 명자순 Ribes maximowiczianum

by 모산재 2025. 7. 2.

 

백두산에서 명자순을 만난 것은 뜻밖이다. 곡저삼림에서는 꽃을 만나고, 이동한 이도백하 쪽에서는 이미 열매를 맺은 모습을 만난다. 지리산에서도 만나고 함백산에서도 만난 것인데, 이번에 북방계 관목이라는 것을 새삼 확인한다. 꼬리까치밥나무(R. komarovii)에 비해 잎밑이 심장 모양이고, 양면에 털이 있다. 중국 이름은 '尖叶茶藨子'(첨엽다표자).

 

까치밥나무속으로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러시아 우수리, 시베리아 등에 분포한다.

 

 

 

 

2025. 06. 01.  백두산 곡저삼림

 

 

 

 

 

 

 

● 명자순 Ribes maximowiczianum  ↘  목련강 장미목 까치밥나무과 까치밥나무속 관목 


심산 지역에서 높이는 1m 안팎으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이다. 가지에는 털이 없다. 잎은 삼각상 원형이고 3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겹톱니가 있다. 잎 길이와 너비는 각각 2~4cm이고, 양면에 털이 있으나 뒷면에 털이 없는 것도 있다. 잎자루는 길이 7~10mm이고 잔털이 산생한다.

암수딴그루로 꽃은 적자색이고 4월경에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은 양성화로서 수꽃차례에 7~10송이, 암꽃차례에 2~6송이씩 달리고 꽃잎은 도란형이다. 수꽃은 수술이 5개이고 꽃받침잎은 술잔 모양이며 타원형이고 꽃잎은 도란형이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며 빨간색으로 익는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

 

 

 

 

○   

 

 

※ 참고 자료 : http://www.efloras.org/florataxon.aspx?flora_id=2&taxon_id=241000708  

 

 

☞ 까치밥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6332 

☞ 까치밥나무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15859090 

☞ 개앵도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7019 

☞ 개앵도나무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15858307 

☞ 눈까치밥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1342910

☞ 둥근잎눈까치밥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5865028     

☞ 까치밥나무, 개앵두나무 => https://kheenn.tistory.com/11342834 

☞ 까마귀밥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1178122  https://kheenn.tistory.com/11254992 

☞ 까마귀밥나무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8826685  https://kheenn.tistory.com/15863880 

☞ 까치밥나무속 자생종 => https://kheenn.tistory.com/15859212 

☞ 까막바늘까치밥나무 => https://kheenn.tistory.com/15865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