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까치밥나무와 비슷한 모습으로 까치밥나무속 다른 종들에 비해 잎이 얕게 갈라지고 줄기가 기는 특징으로 이름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꽃은 접시처럼 얕고 녹색에 자주색이 도는 화관은 5갈래로 갈라져 뒤로 젖혀진다. 중국 이름은 '물포도까치밥나무'라는 뜻의 '水葡萄茶藨子'(수포도다표자).
침엽수림의 습한 곳에서 자란다. 중국 만주, 내몽고, 몽골, 일본, 러시아 시베리아 전역 등에 분포한다.
2025. 06. 01. 백두산 북파 입구
● 둥근잎눈까치밥나무 Ribes procumbens ↘ 목련강 장미아강 장미목 까치밥나무과 까치밥나무속 관목
포복성으로 퍼지며 뿌리를 내리고, 키는 0.2~0.4m이다. 어린 가지는 황갈색 또는 갈색을 띠지만, 나중에는 회갈색으로 변하고 털이 없으며, 드문드문 노란색 선모가 있고, 가지가 없다. 잎자루는 2~4로 드문드문 털이 있으며 선모가 약간 있다. 잎몸은 웒영-콩팥 모양으로 기부는 절두형-얕은 심장형이고 열편은 3~5개로 난형이며 가장자리는 깊게 둔한 톱니가 있다.
5~6월에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6~12개의 꽃이 위를 향해 핀다. 꽃대와 꽃자루는 털이 없으며 꽃자루 길이 2~6mm이다. 꽃받침은 털이 많고 드물게 선모가 있다. 꽃은 양성화로 화관은 녹색이며 길이 1~1.5mm로 짧고 열편은 5갈래로 뒤로 젖혀지고 자주색이며 3맥이 있다. 수술은 꽃잎과 거의 같고, 꽃밥은 거의 구형이다.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열매는 자갈색으로 난형이며 길이 1~1.3cm이다.<중국식물지 등 발췌>
○
※ 참고 자료 : efloras.org/id=200010190 powo.science.kew.org/792932-1 gbif.org/cs/species/4194539
☞ 까치밥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6332
☞ 까치밥나무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15859090
☞ 개앵도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7019
☞ 개앵도나무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15858307
☞ 눈까치밥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1342910
☞ 까막바늘까치밥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5865030
☞ 까치밥나무, 개앵두나무 => https://kheenn.tistory.com/11342834
☞ 까마귀밥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1178122 https://kheenn.tistory.com/11254992
☞ 까마귀밥나무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8826685 https://kheenn.tistory.com/15863880
☞ 까치밥나무속 자생종 => https://kheenn.tistory.com/15859212
'백두산의 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두메분취 Saussurea tomentosa, 새순 (0) | 2025.06.30 |
---|---|
<백두산> 까막바늘까치밥나무 Ribes horridum (2) | 2025.06.30 |
<백두산> 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acris subsp. nipponicus = 백두산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paishanensis (2) | 2025.06.30 |
<백두산> 숙은꽃장포 Tofieldia coccinea (1) | 2025.06.30 |
<백두산> 고산바디(높은산부전바디) Coelopleurum saxatile => Angelica saxatilis (0)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