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ussula79

절구무당버섯, 절구무당버섯아재비, 귀무당버섯 오후 늦게 앞산 산책을 나섰다 가까운 거리에 발생하고 있는 3가지 버섯을 만난다. 절구무당버섯은 상처에 금방 붉게 변한 다음 점차로 검어지고, 절구무당버섯아재비는 상처에 색 변화는 거의 없으며 늙으면 주름살날이 점차로 붉어지고 거뭇거뭇해진다. 이에 비해 귀무당버섯은 절구무당버섯과 형태적으로 비슷하면서 알비노처럼 연한 황갈색을 띤다.  절구무당버섯아재비와 귀무당버섯 사이의 비슷한 형태의 버섯들도 발견되는데 이들에 대한 연구는 아직 안 된 듯하다.    2024. 09. 23.  서울  ■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   ■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 귀무당버섯 Russula earlei     ○ 절구무당버섯은 식용 버섯이고 절구무당버섯은 독버섯으로 식용.. 2024. 10. 17.
자주빛무당버섯 Russula violeipes 흰색~연노란색 바탕에 옅은 보라 홍색 무늬가 어울려 예쁘게 잘 익은 복숭아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주름살은 거의 끝 붙은 주름살로 빽빽하며 담황백색이며 자루는 희고 연한 홍색 무늬가 있기도 하다.  여름~가을 침엽수림, 잡목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한국, 일본, 호주, 유럽, 북미 동부에 분포한다. 과일향이 나며 식용 가능하다.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유럽종인 자주빛무당버섯과 유전자가 조금 다른 점이 밝혀지면서 동양자주빛무당버섯(Russula orientipurpurea)으로 새로이 명명되었다.     2024. 09. 16.  남한산성    2024. 07. 29.  서울     ● 자주빛무당버섯 Russula violeipes | velvet brittlegill  ↘ 무당버섯목 무당버.. 2024. 10. 8.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 살은 단단하고 주름살은 두꺼우며 성긴 편이다. 독버섯인 절구무당버섯아재비가 거의 변색되지 않는 것과 달리 식용 버섯인 절구무당버섯은 자루와 주름살에 상처시 짧은 시간에 붉은색으로 물드는 것이 특징이다. 애기무당버섯은 변색 과정이 유사하나 주름살이 매우 촘촘한 점이 다르다.  '절구버섯'이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성긴주름버섯' 또는 '성긴주름검은갓버섯'이라고 한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이나 침엽수림 숲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서 발생하는 외생균근이다. 맛은 맵다. 식용 버섯이나 생식하면 중독된다.     2024. 09. 14-15.  서울      2024. 09. 26.  서울     ●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 | blackening brittlegill, blackening russ.. 2024. 10. 3.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Russula adusta) 리기다소나무가 숲을 이룬 능선 길에서 종종 발견되는 절구무당버섯을 모아 본 것이다.  살은 단단하고 주름살은 두꺼우며 성긴 편이다. 독버섯인 절구무당버섯아재비가 거의 변색되지 않는 것과 달리 식용 버섯인 절구무당버섯은 자루와 주름살에 상처시 짧은 시간에 붉은색으로 물드는 것이 특징이다. 애기무당버섯은 변색 과정이 유사하나 주름살이 매우 촘촘한 점이 다르다.  '절구버섯'이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성긴주름버섯' 또는 '성긴주름검은갓버섯'이라고 한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이나 침엽수림 숲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서 발생하는 외생균근이다. 맛은 맵다. 식용 버섯이나 생식하면 중독된다.     2024. 09. 03.  서울     2024. 08. 27.  서울    2024. 10. 01.  서울     ● 절.. 2024. 9. 21.
가지무당버섯 Russula amoena 아파트단지 옆 소공원 활엽수 짙은 그늘 아래 이끼가 덮힌 땅에 보랏빛 무당버섯 여럿이 손뼘 거리를 두고 발생하였다. 갓과 자루가 보랏빛인 점으로도 금방 알아볼 수 있는 비교적 소형인 가지무당버섯이다. 맡아보지는 못했는데 청어 냄새가 난다고 한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침엽수림의 땅에 난다. 유럽에 흔하며 일본, 대만, 북미 동부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맛은 좋은 편이라 한다.    2024. 08. 28.  서울       ● 가지무당버섯 Russula amoen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3~6cm, 어릴 때는 반구형이었다가 후에 둥근 산 모양이 되며 중앙부가 오목한 편평형이 되고 결국에는 약간 깔때기형이 된다. 표면은 습할 때 점성이 있고 분상이다. 포도주색-.. 2024. 9. 13.
검은무당버섯 Russula albonigra 애기무당버섯과 갓이나 주름살 등의 모양이나 크기가 거의 유사하다. 상처를 냈을 때 애기무당버섯은 붉게 변색했다 검어지는 데 비해서 검은무당버섯은 바로 검게 변하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종소명 'albonigra'는 라틴어 'albus'(흰)와 'niger'(검은)의 합성어로, 흰색에서 검게 변하는 이 버섯의 특성을 반영한 이름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침엽수림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남미, 아프리카를 제외한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2024. 08. 15.  서울        ● 검은무당버섯 Russula albonigra | blackening russul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5~10(12)cm, 어릴 때는 반구형이나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해.. 2024. 8. 31.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절구무당버섯(Russula nigricans)과 아주 유사한 버섯으로 종소명도 '하위'라는 뜻의 접두어를 붙인 'sub-nigricans'이다. 절구무당버섯은 상처를 주면 이내 붉어진 후 서서히 검게 변하는 데 비하여, 절구무당버섯아재비는 상처 시 아주 느리게 붉게 변하며 검어지지 않는다.  여름~가을철 활엽수림 내 땅 위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 나는 외생균근성 버섯이다.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절구무당버섯이 식용 버섯인 데 비해 독버섯이다.    2024. 08. 07-08.  합천 오도산   귀무당버섯과 거의 유사한 형태와 공존하는 경우가 많다.  2024. 08. 25.  서울   2024. 09. 15.  서울   2024. 09. 15.  남한산성   2024. 09. 24.  서울      .. 2024. 8. 23.
귀무당버섯 Russula earlei 귀무당버섯으로 보이는 담갈색의 버섯. 주변에는 절구무당버섯ㄱ과 유사한 형태의 중간적 형질로 보이는 버섯들이 보이기도 한다. 이곳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절구무당버섯아재비와 귀무당버섯, 그 사이에 스펙트럼을 보이는 버섯들이 있어 동정하기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절구무당버섯의 이명인 Russula eccentrica와 비슷하기도 하나 갓 가장자리의 주름선이 나타나는 점이 다르다. 어쩌면 두 종의 교잡종인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연한 밀짚황색∼황갈색의 갓과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줄무늬가 생기는 귀무당버섯의 특징을 보인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땅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인지 독버섯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2024. 07. 31.  경기 구리   가까운 곳에는 절.. 2024. 8. 17.
회갈색무당버섯 Russula sororia 갓은 담회갈색으로 가운데가 진하고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말리며 줄무늬 홈선이 있고, 홈선의 언저리는 알갱이 모양의 요철이 있다. 황색깔때기무당버섯, 달팽이무당버섯과 유사하다.  여름~가을에 공원이나 정원의 나무 밑 습한 땅, 숲속, 길가 등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한국, 일본, 뉴질랜드, 북미, 남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식독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2024. 07. 28.  서울     2024. 08. 07.  합천 오도산   2024. 08. 29.  경기 구리    2024. 09. 09.  서울     ● 회갈색무당버섯 Russula sororia | sepia brittlegill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3~6(9)cm, 처음에는 둥근 산 모양이다가 점차.. 2024. 8. 14.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Russula adusta) 세종대왕릉 바로 옆 잔디밭에 발생한 절구무당버섯이다. 살은 단단하고 주름살은 두꺼우며 성긴 편이다. 절구무당버섯아재비와 겉모습은 아주 유사해서 구별이 어렵지만 자루나 주름살에 상처를 내면 빠른 시간에 붉은색으로 변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는 차차 검게 변한다. 절구무당버섯아재비는 상처시 변화가 거의 없고 오랜 시간이 지나서 붉어지나 검게 변하지 않는다. 애기무당버섯은 변색 과정이 유사하나 주름살이 매우 촘촘한 점이 다르다. '절구버섯'이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성긴주름버섯' 또는 '성긴주름검은갓버섯'이라고 한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이나 침엽수림 숲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서 발생하는 외생균근이다. 식용 버섯이나 생식하면 중독된다. 맛은 맵다.     2024. 07. 25.  여주 영릉     2024. 07.. 2024. 8. 11.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장맛비를 흠뻑 맞으며 낙엽 속에서 발생한 꼬마무당버섯들이 곳곳에 눈에 띈다. 갓 지름은 1~2cm로 소형이고 깔때기 모양으로 오목한 갓의 중심은 붉은 색깔이 진하고 가장자리는 색깔이 연하다.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류 숲속의 땅 낙엽이 쌓인 땅에 난다. 한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하는 종으로 종명 kansaiensis는 일본 간사이 지방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2024. 07. 23.  서울         ●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1~2cm,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해지며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지고 결국은 얕은 깔때기형이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끈적임이 있으며 붉은색을 띤 포도주색이고 흔히 중앙부가 진.. 2024. 8. 6.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갓 지름은 1~2cm의 소형 버섯으로 갓은 깔때기 모양으로 갓의 중심은 오목하고 붉은 색깔이 진하고 가장자리는 색깔이 연하다. '팥무당버섯'이라고도 한다.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류 숲속의 땅 낙엽이 쌓인 땅에 난다. 한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하는 종으로 종명 kansaiensis는 일본 간사이 지방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2024. 07. 17-29.  서울        ●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1~2cm,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해지며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지고 결국은 얕은 깔때기형이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끈적임이 있으며 붉은색을 띤 포도주색이고 흔히 중앙부가 진하다. 오래된 것은 퇴색하여 유백.. 2024. 8. 1.
목련무당버섯(흰꽃무당버섯) Russula alboareolata 오랜 가뭄으로 버섯이 거의 보이지 않는데 올해 처음으로 만나는 목련무당버섯이다. 등산로 길가에 홀로 발생했는데 손바닥만하게 커서 놀랍다. '흰꽃부당버섯'이라고도 한다. 흰색이나 옅은 갈색 얼룩이 있기도 하며, 갓 표면에는 방사상의 홈선이 보이고 주름살은 조금 성기며 떨어진 형이다. 자루속은 아주 엉성하여 빈 듯한 경우가 대부분이나 속이 차 있는 것도 있다.  활엽수림에서 자라며 주로 참나무 숲에서 주로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동북아시아, 대만, 동남아시아 북부 등에 분포한다.    2024. 07. 01.  서울    2024. 09. 26.  서울     ● 목련무당버섯(흰꽃무당버섯) Russula alboareolata  ↘  주름버섯강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4-8cm로,.. 2024. 7. 4.
헛무늬무당버섯(Russula decipiens) 유사종 헛무늬무당버섯 : 둥근산형에서 곧 평평한 형이 되며 중앙이 오목 들어가며 붉은색이나 중앙은 황토색~황색을 띤다. 습할 때는 광택이 있거나 매끄러운 느낌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점차 줄무늬가 도드라진다. 표피는 1/3까지 벗길 수 있다. 주름살은 크림색에서 황토황색으로 되며 촘촘하고 대에 치붙거나 홈붙는다. 자루는 상하 같거나 밑동이 약간 굵은 곤봉형으로 어릴 때는 속이 차 있으나 후에 공동 모양으로 속이 빈다. 표면은 세로로 미세한 엽맥상으로 희다. 여름∼가을 참나무류 등 활엽수 임내 습기 많은 토양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유럽, 서아시아, 북미 북동부에 분포한다. 식용한다. 2023. 10. 06. 서울 2023. 10. 04. 서울 ● 헛무늬무당버섯 Russula decipiens ↘ 무당버섯목 무.. 2024. 2. 11.
깔때기무당버섯 Russula foetens 지름 10cm 내외의 비교적 큰 버섯으로 얕은 깔때기이고 표면은 황갈색이고 습하면 점성이 있으며 갓 가장자리에는 뚜렷한 방사상 돌기선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며 흰색에서 갈색으로 변한다. 북한 이름은 '썩은내갓버섯'이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혼효림의 땅에 무리짓거나 흩어져 난다.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신갈나무, 개암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식용하지 않는 버섯이다. 2023. 09. 23. 지리산 ● 깔때기무당버섯 Russula foetens | stinking russul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4~15cm, 구형이다가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형이 되며 중앙부는 조금 오목하다. 표면은 끈적임이 있고, 황토색, 황갈색 또는 진한 토갈색이며 특히 중앙부가 진하다. 가장자리.. 2023.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