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ussula79

분홍색무당버섯 Russula betularum 세석으로 올라서는 능선 길에서 분홍색무당버섯을 만난다. 무당버섯으로는 옅은 색깔의 갓을 가졌다. 갓은 흰색~아주 연한 분홍색으로 가장자리에 줄무늬선이 있다. 이름이 비슷한 분홍무당버섯(Russula rhodopus)은 갓이 핏빛으로 붉고 표피가 잘 벗겨지며, 연분홍무당버섯(Russula luteotacta)은 연한 붉은색 갓에 흰 부분이 조금 있다. 자작나무과 나무 숲에서 나므로 영명은 'birch brittlegill'(자작나무무당버섯)이다. 유럽과 북미 남동부에 주로 분포한다. 매운 맛이 있으며 식용하지 않는다. 섭취 시 설사, 구토, 메스꺼운 복부 경련 등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2023. 09. 22. 지리산 ● 분홍색무당버섯 Russula betularum | birch brittlegi.. 2023. 11. 28.
미동정, 담갈색무당버섯 유사종 리기다소나무가 숲을 이룬 야산 등성이 비탈에서 만난 버섯이다. 담갈색무당버섯과 아주 비슷하여 주름살과 자루에 상처를 주어도 변색이 거의 없는 점에서 다르다. 활엽수림에서 발생하는 담갈색무당버섯에 비해 리기다소나무 숲에서 난 점도 다르다. 갓 표면은 연한 황갈색으로 평활하고 중앙이 살짝 오목하며 갓 가장자리는 아래로 살짝 말리고 끝붙은 주름살은 희고 매우 촘촘하다. 자루는 통통한 원기둥형으로 표면은 희고 속은 황갈색이다. 상처에 변색이 거의 없다. 2023. 09. 21. 서울 ● 솔 ↘ 목 높이 - ※ 참고 : ☞ 유사종 => https://kheenn.tistory.com/15861409 ☞ 담갈색무당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0898 https://khe.. 2023. 11. 21.
담갈색무당버섯 Russula compacta 갈색의 갓에 주름살과 자루는 희다. 상처를 주면 갈색으로 변색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붉은색갈이버섯'이라 부른다. 주름살이 매우 촘촘한 데서 종명 compacta가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조덕현은 '참빗주름무당버섯'이라는 국명을 붙였다. 청어(물고기) 냄새가 난다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공생성 버섯으로 여름과 가을에 활엽수림, 특히 참나무류 토양에서 주로 발생한다. 2023. 09. 21. 서울 ● 담갈색무당버섯 Russula compacta | Compact Russula, Firm Russula, Fishbiscuit Russul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7-10cm로, 반구형으로 자랐다가 깔때기 형태로 변한다. 갓 표면은 건조하며 가장자리부.. 2023. 11. 18.
깔때기무당버섯 Russula foetens 지름 10cm 내외의 비교적 큰 버섯으로 얕은 깔때기이고 표면은 황갈색이고 습하면 점성이 있으며 갓 가장자리에는 뚜렷한 방사상 돌기선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며 흰색에서 갈색으로 변한다. 북한 이름은 '썩은내갓버섯'이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혼효림의 땅에 무리짓거나 흩어져 난다.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신갈나무, 개암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식용하지 않는 버섯이다. 2023. 09. 21. 서울 ● 깔때기무당버섯 Russula foetens | stinking russul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4~15cm, 구형이다가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형이 되며 중앙부는 조금 오목하다. 표면은 끈적임이 있고, 황토색, 황갈색 또는 진한 토갈색이며 특히 중앙부가 진하다. 가장자리는.. 2023. 11. 17.
귀무당버섯 Russula earlei 갓 가장자리에 나타나는 짧고 뚜렷한 주름선은 귀무당버섯 같고 갓 표면의 갈색 점무늬는 절구무당버섯아재비 같기도 하다. 절구무당버섯의 이명인 Russula eccentrica와 비슷하기도 하나 갓 가장자리의 주름선이 나타나는 점이 다르다. 어쩌면 두 종의 교잡종인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연한 밀짚황색∼황갈색의 갓과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줄무늬가 생기는 귀무당버섯의 특징을 보인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땅에서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인지 독버섯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2023. 09.  21.  서울          ● 귀무당버섯 Russula earlei | Beeswax russul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갓은 폭 4∼10cm의 소형∼중형. 둥근산형.. 2023. 11. 17.
깔때기무당버섯 Russula foetens 지름 10cm 내외의 비교적 큰 버섯으로 얕은 깔때기이고 표면은 황갈색이고 습하면 점성이 있으며 갓 가장자리에는 뚜렷한 방사상 돌기선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며 흰색에서 갈색으로 변한다. 북한 이름은 '썩은내갓버섯'이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혼효림의 땅에 무리짓거나 흩어져 난다.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신갈나무, 개암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식용하지 않는 버섯이다. 2023. 09. 18. 서울 ● 깔때기무당버섯 Russula foetens | stinking russul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4~15cm, 구형이다가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형이 되며 중앙부는 조금 오목하다. 표면은 끈적임이 있고, 황토색, 황갈색 또는 진한 토갈색이며 특히 중앙부가 진하다. 가장자리는.. 2023. 11. 12.
수원무당버섯 Russula mariae 작고 단정한 붉은 무당버섯, 갓은 물론 자루도 붉은빛이 감돌고 주름살은 비교적 촘촘하며 끝붙은 주름살로 흰색에 가까운 크림색이다. 갓 지름 2~5cm의 소형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래와 같은 홍색의 버섯이 주종이지만 구글 검색에서는 거의 보라색에 가까운 붉은색이 다수이다. 영명도 'purple-bloom russula'(자주꽃송이무당버섯)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침엽수림 내 땅 위에 홀로 또는 흩어져서 발생한다. 참나무의 외생균근성 버섯이다. 국립수목원 '독버섯 바로 알기'에서 위장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설사,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다량 섭취 시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데 원인 성분은 콜린, 나에마톨린, 람프테롤 글리지신 등이다.) 2023. 09. 18. 서울 ● .. 2023. 11. 10.
기와버섯 Russula virescens 초대형으로 큰 버섯이 길가 풀섶에 오직 홀로 발생하였다. 갓 표면에 다각형의 진한 풀빛 무늬가 방사상으로 흩어져 있는 모습이 아름다운 버섯이다. 어린 버섯은 크림갈색에 가깝고 자라며 점차 푸른 빛을 띤다. 흰 자루는 문지르니 갈색빛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비슷한 이름의 기와무당버섯(Russula crustosa)은 갓이 주로 황토갈색으로 다른 종이다. 북한명은 '풀색무늬갓버섯'이다. 살은 흰색으로 단단하며 식용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잡목림 내 땅 위에 몇몇 개체가 무리지어 자란다. 2023. 09. 10. 서오릉 ● 기와버섯 Russula virescens | green-cracking russula, green brittlegill, quilted green russula ↘ 무당버섯목.. 2023. 10. 24.
돼지털무당버섯(청무당버섯) Russula heterophylla <= 청머루무당버섯 소나무들이 숲을 이룬 능선, 솔잎이 잔뜩 깔려 있는 땅에서 자라난 버섯들이다. 유난히 자주 내린 비에 탈색한 듯한 모습이라 청머루무당버섯 같기도 하고 조각무당버섯(Russula vesca) 같기도 하다. 조각무당버섯은 활엽수림의 땅에서 자라고 청머루무당버섯은 소나무, 자작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고 하니 청머루무당버섯으로 조심스럽게 동정해 본다. '청버섯'(Russula cutefracta)이라는 이명으로 불리기도 하는 식용 버섯이다. 수정 : '한반도의 버섯-가야산국립공원' 편에서 "청머루무당버섯과 유사하지만 청머루무당버섯은 활엽수림에서 관찰되고 본 종은 스트로브잣나무 등 침엽수림에서 관찰된다."는 기록( 한반도의 버섯_가야산국립공원 (nibr.go.kr))을 바탕으로 돼지털무당버섯(청무당버섯 : 조덕.. 2023. 10. 24.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 절구무당버섯아재비와 겉모습은 아주 유사해서 구별이 어렵지만 자루나 주름살에 상처를 내면 빠른 시간에 붉은색으로 변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는 차차 검게 변한다. 절구무당버섯아재비는 상처시 변화가 거의 없고 오랜 시간이 지나서 붉어지나 검게 변하지 않는다. 살은 단단하고 주름살은 두꺼우며 성긴 편이다. 맛은 맵다.  '절구버섯'이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성긴주름버섯' 또는 '성긴주름검은갓버섯'이라고 한다. 식용 버섯이나 생식하면 중독된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이나 침엽수림 숲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서 발생하는 외생균근이다.    2023. 09. 08-09.  서울          ●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 | blackening brittlegill, blackening russula  .. 2023. 10. 19.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갓 표면은 흑갈색을 띠고 주름살은 성기며 두텁고 크림색이다. 자루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상처시 아주 느리게 붉게 변하나 검게 변하지 않는다. 비슷한 절구무당버섯은 상처시 금방 붉게 변하며 서서히 검게 변한다. 여름~가을에 참나무류나 서어나무류 활엽수림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식용 버섯인 절구무당버섯과는 달리 간부전증 등의 치명적인 중독 증세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독버섯이다. 원인 성분은 아마톡신과 팔로톡신, 비로톡신이다. 2023. 09. 06-09. 서울 ● 절구무당버섯아재비 Russula subnigricans | rank russul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5~12cm, 처음에는 둥근 산 모양이다가 후에 중앙이 오목해지고 편평해지면서 결국에는 깔때기형이 된다. 표면.. 2023. 10. 10.
수원무당버섯 Russula mariae 갓 지름 3cm쯤일까 싶은, 무당버섯속 버섯으로는 비교적 소형종인 붉은 무당버섯, 수원무당버섯을 만난다. 갓은 물론 자루도 붉은빛이 감돌고 주름살은 비교적 촘촘하며 끝붙은 주름살로 흰색에 가까운 크림색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래와 같은 홍색의 버섯이 주종이지만 구글 검색에서는 거의 보라색에 가까운 붉은색이 다수이다. 영명도 'purple-bloom russula'(자주꽃송이무당버섯)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침엽수림 내 땅 위에 홀로 또는 흩어져서 발생한다. 참나무의 외생균근성 버섯이다. 국립수목원 '독버섯 바로 알기'에서 위장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설사,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다량 섭취 시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데 원인 성분은 콜린, 나에마톨린, 람프테롤 글리지신.. 2023. 10. 7.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 절구무당버섯아재비와 겉모습은 아주 유사해서 구별이 어렵지만 자루나 주름살에 상처를 내면 빠른 시간에 붉은색으로 변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는 차차 검게 변한다. 절구무당버섯아재비는 상처시 변화가 거의 없고 오랜 시간이 지나서 붉어지나 검게 변하지 않는다. 살은 단단하고 주름살은 두꺼우며 성긴 편이다. 맛은 맵다. '절구버섯'이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성긴주름버섯' 또는 '성긴주름검은갓버섯'이라고 한다. 식용 버섯이나 생식하면 중독된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이나 침엽수림 숲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서 발생하는 외생균근이다. 2023. 09. 03-04. 서울 다음 날 검게 변색된 모습 ● 절구무당버섯 Russula nigricans | blackening russula, blackening brittlegill .. 2023. 9. 26.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야산 능선부에서 조금 내려 간 골짜기 주변에서 만난, 갓 지름 1cm쯤의 아주 작은 붉은 버섯이다. 갓 부분만 얼굴을 내밀고 낙엽 속에 거의 묻혀 있으며 낙엽에 눌려 자루가 구부러진 것도 있다. 자루 속이 비고 연약하여 만지면 자루가 부스러진다. 갓버섯 종류일까 했는데 밑부분을 보니 무당버섯속 꼬마무당버섯이다. 깔때기 모양으로 오목한 갓의 중심은 붉은 색깔이 진하고 가장자리는 흰색에 가까운데, 잦은 비로 변색된 영향이 있은 듯하다.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류 숲속의 땅 낙엽이 쌓인 땅에 난다. 일본과 한국에 분포하는 종으로 종명 kansaiensis는 일본 간사이 지방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2023. 09. 03.  서울      ●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 .. 2023. 9. 24.
기와버섯 Russula virescens 갓 표면에 다각형의 진한 풀빛 무늬가 방사상으로 흩어져 있는 모습이 아름다운 버섯이다. 어린 버섯은 크림갈색에 가깝고 자라며 점차 푸른 빛을 띤다. 흰 자루는 문지르니 갈색빛으로 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비슷한 이름의 기와무당버섯(Russula crustosa)은 갓이 주로 황토갈색으로 다른 종이다. 북한명은 '풀색무늬갓버섯'이다. 살은 흰색으로 단단하며 식용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잡목림 내 땅 위에 몇몇 개체가 무리지어 자란다. 2023. 09. 02. 서울 자루에 또 하나의 갓이 형성된 특이한 모습을 보인다 ● 기와버섯 Russula virescen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6~10(13)cm, 어릴 때는 반구형이다가 편평해지며 중앙이 들어가고 결국 낮은 깔때기형이.. 2023.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