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참오동나무 Paulownia tomentosa

by 모산재 2025. 5. 4.

 

중국 중부와 동부, 한국 원산으로 민가나 경작지 주변에 심고, 울릉도 등 일부 지역에서는 숲 가장자리와 햇빛이 드는 숲속에 야생화하였다.

 

꽃부리 안쪽에 자주색 점줄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잎 뒷면에 갈색털이 없는 점이 오동나무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2025. 05. 04.  서울

 

 

 

 

 

 

● 참오동나무 Paulownia tomentosa | princess tree, empress tree, foxglove-tree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현삼과 오동나무속 교목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껍질눈이 발달한다. 가지는 굵고 퍼지며 어린가지에 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고, 넓은 난형, 3~5개로 약간 갈라지며 잎끝는 점차 뾰족해지며, 밑은 심장 모양, 길이 15~30cm, 표면에 털이 밀생하고, 뒷면에 연한 갈색 털이 밀생한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8~20cm, 잔털이 있다.

꽃 5~6월에 피는데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길이 20~30cm이다. 꽃받침은 넓은 종형,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난형, 끝은 둔하고, 작은꽃자루와 더불어 갈색 털이 밀생한다. 꽃부리는 종형, 길이 5~6cm, 연한 자주색, 안쪽에는 흔히 자주색 점으로 된 줄무늬가 있고, 겉에 샘털과 짧은 털이 있다. 씨방은 난형, 털이 있다. 열매는 삭과, 길이 3~4.5cm,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겉에 끈적이는 샘털이 밀생하며, 10월에 익는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

 

 

 

 

○ 오동나무, 참오동나무는 가볍고 다루기 쉬워 가구, 운동용품, 악기 제작에 쓰인다. 특히 거문고와 가야금을 만드는 데 쓰인다. 잎은 살충제로, 나무껍질은 천연 염색약으로 사용된다.

 

○ 오동나무, 참오동나무의 껍질은 주로 순환계 질환을 다스리며, 각종 음식 체증에 효험이 있다. 고혈압, 단독, 두풍, 식체, 신장병, 악창, 어혈, 위염, 음낭습, 음축, 임질, 종기 등에 효과가 있다. 오동나무 잎은 옹저(癰疽), 창상출혈(創傷出血)을 치료한다. 오동 열매(泡桐果)는 담과 가래, 천식을 다스린다. 오동 꽃(泡桐花)은 기관지폐렴, 급성편도선염, 급성장염, 급성결막염, 이하선염, 옹종 등을 치료한다.  

 

 

※ 참고 자료 : en.wikipedia.org/Paulownia_tomentosa  gbif.org/species/3170823 

 

☞ 오동나무 => https://kheenn.tistory.com/15864688 

☞ 개오동 => https://kheenn.tistory.com/15862684 

☞ 벽오동 => https://kheenn.tistory.com/12118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