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작나무과59

순백의 수피, 자작나무 Betula pendula 인공적으로 조성한 원대리 자작나무숲, 자작나무는 아름다운 순백의 수피로도 금방 알아볼 수 있는 수종이다. 박달나무와 개박달나무 수피는 암회색이고, 거제수나무 수피는 연한 갈색이고, 물박달나무 수피는 회갈색 얇은 조각들이 무수히 일어나 있어 지저분하게 보인다. 자작나무 열매는 날개가 열매보다 2배 정도 넓은 점으로 속 내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북방계 대표 수종으로 핀란드의 국목이기도 하다. 한반도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2024. 11. 16.  인제      ● 자작나무 Betula pendula | Jajaknamu, East Asian white birch, silver birch    ↘  목련강 조록나무아강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 2024. 11. 24.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wii, 수형과 줄기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의 떨기나무-소교목이다. 전체적으로 서어나무에 비해 작고 줄기가 많으며 잎이 작고 끝이 뾰족하지 않다. 개서어나무에 비해 열매이삭과 열매싸개가 작다. 종자 번식도 하지만 뿌리를 내리는 힘이 강해 꺾꽂이 번식을 많이 한다. 서해안과 남해안 및 강원도 일부 내륙 지역에 자생한다. 중국, 일본 혼슈 이남에 분포한다. 공원 등에 조경수로 이용하며 목재는 농기구재로 쓴다.    2024. 10. 19.  영흥도 십리포       ●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wii | Korean hornbeam  ↘  목련강 조록나무아강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관목-소교목 높이 3~10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이다. 어린가지는 적갈색을 띤다. 어긋나게 달리.. 2024. 11. 8.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작은 잎새를 초롱처럼 엮어서 매달아 놓은 듯한 독특한 이삭 열매가 독특한 매력으로 눈길을 끄는 나무. 서어나무과 열매의 공통된 특징이다. 암꽃 이삭(열매)은 원통형으로 다른 종에 비해 잎 모양의 과포가 빽빽하게 싸고 있어서 기다란 솔방울 모양을 만든다.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의 교목이다. 서어나무속 다른 종들에 비해 잎이 달걀형으로 크고 잎맥은 아주 또렷하게 도드라지고 가지런하며 16-22쌍으로 많다.  한국,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 cordata hornbeam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줄기 높이 15m, 지름 60cm이며 나무껍질은 회색으로서 거의 평활하고 세로로 갈.. 2024. 6. 26.
사스래나무(고채목) Betula ermanii, 암꽃과 수꽃 한라산 정상 부근의 사스래나무는 아직 핑이 나지 않은 구불구불한 가지에 수꽃을 늘어뜨린 채 어린 열매 모양의 암꽃이 달리고 있다. 어떤 나무는 암꽃이 거의 보이지 않고 수꽃만 보이고 또 어떤 나무는 암꽃들만 달린 가지들이 흔하게 보이기도 한다.  지리산 천왕봉과 한라산 정상 부근에 자라는 사스래나무 변종을 따로 '좀고채목'(var. saitoana)이라 하여 한반도 고유종으로 분류하기도 했는데, 지금은 사스래나무로 통합하여 이명 처리하고 있다. 좀고채목은 사스래나무에 비해 키가 작고 잎은 난형이며 길이 1~2.5cm이고 표면에 털이 거의 없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지점이 거의 없는 점으로 사스래나무와 구별되었다. 사스래나무는 울릉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동북아시아에 두루 분포한다. 거제수나무에 비.. 2022. 6. 3.
소사나무 열매, 수피 Carpinus turczaninowii 소사나무는 서어나무과의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중부 이남 바닷가 산기슭 암석이 많은 건조한 곳에 자란다. 회갈색 줄기는 굽이가 있고 생명력이 강하며 달걀 모양의 잎은 2~3cm 정도로 작아 분재로 많이 이용되기도 한다. 서어나무의 한자 이름인 '서목(西木)'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서어나무보다 작게 자라 '소서목(小西木)'으로 불리다 소사나무가 되었다. 서어나무에 비해 잎이 작고, 끝이 뾰족하지 않으며, 개서어나무에 비해 열매이삭과 열매싸개가 작으므로 구별된다.      2016. 08. 27.  위도                 ●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wii | Korean Hornbeam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관목 수피는 회갈색으로 잔가지는 적갈색을 띤다. 작은 가지.. 2016. 9. 8.
개박달나무 열매와 수피 Betula chinensis 개박달나무는 산지의 바위지대에 자라는 낙엽 교목이다.  박달나무(B. schmidtii)에 비해 잎은 작으며, 난형(또는 타원형)의 열매에 열매 자루가 거의 없다. 이는 열매가 긴 원통형이고 열매자루가 긴 박달나무와는 대조적인 특징이다. 물박달나무와 사스래나무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물박달나무는 열매자루가 길고 사스래나무는 열매자루가 거의 없는 점과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2016. 07. 09.  괴산         개박달나무 수피      ● 개박달나무 열매  Betula chinensis  ↘  너도밤나무목 자작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높이 10m쯤이다. 수피는 어두운 회색이며 불규칙하게 갈라져 조각조각 벗겨지고, 어린 가지는 털이 있고 붉은갈색을 띠며 가로로 흰색의 껍질눈이 있다. 어긋나게 달리.. 2016. 7. 18.
덤불오리나무 암꽃과 수꽃, 수피 Alnus mandshurica 설악산 정상 주변에는 두메오리나무와 덤불오리나무가 모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메오리나무와 덤불오리나무의 구별이 쉽지 않은데, 두메오리나무(Alnus maximowiczii)는 잎밑이 깊이 들어가고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없고 열매이삭의 길이가 2~3cm로 길며, 덤불오리나무(Alnus mandshurica)는 잎밑이 둥글고 선상 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강원도 이북 해발 600~2,000m의 높은 산 습원에 자생한다. 잎 뒷면의 털은 직접 관찰하지 못하였으나 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잎밑이 둥근 모양을 하고 있어 일단 덤불오리나무로 보고자 한다. ● 덤불오리나무 Alnus mandshurica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2016. 5. 25.
두메오리나무 암꽃과 수꽃 Alnus maximowiczii 두메오리나무는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소교목으로 울릉도와 설악산 이북에 분포하고 있다. 설악산 대청봉 주변에는 두메오리나무는 물론 덤불오리나무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메오리나무와 덤불오리나무의 구별이 쉽지 않은데, 두메오리나무(Alnus maximowiczii)는 잎밑이 깊이 들어가고(심장저)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없고 열매이삭의 길이가 2~3cm로 길며, 덤불오리나무(Alnus mandshurica)는 잎밑이 둥글고 선상 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이것은 대청봉 정상 근처에 관목상으로 자라고 있는 나무의 암꽃과 수꽃을 담은 것으로 소청 능선의 오리나무와 잎 모양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 일단 두메오리나무로 올려 두고 다음에.. 2016. 5. 25.
사스래나무 암꽃과 수꽃, 수피 Betula ermanii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의 교목으로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고, 높은 산지의 중턱 이상에서 자란다. 거제수나무에 비해 가지에 지점(脂點)이 있고, 피목이 둥글며, 잎은 삼각상 난형으로 점차 뾰족해지고 잎자루는 길이 5-30mm이다. 설악산 미성숙한 수꽃 암꽃과 수꽃 수피 ● 사스래나무 Betula ermanii | Erman's birch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낙엽활엽 교목 높이 7∼8m로 자란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섞인 흰색이거나 갈색이며 종잇장처림 벗겨져서 오랫동안 남아 있다. 작은가지는 자줏빛을 띤 갈색이며 기름샘(脂點)과 둥근 피목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의 달걀 모양으로서 길이 5∼10cm, 나비 4∼7cm이다.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거나 심장밑 모양에 가깝다. 가장자리에 불.. 2016. 5. 25.
자작나무 수꽃, 암꽃, 열매, 수피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늦은 오후 명지산 계곡, 자작나무의 어린 수꽃이 봄바람에 한들한들 춤추고 있다. 이제 겨우 묵은 가지에서 새 싹이 자라나고 있는 상태여서 암꽃은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 상태, 수꽃도 아직은 성숙되기 전이다. 자작나무는 묵은 가지 끝에 긴 수꽃을 달고 묵은가지 중간에서 돋아나.. 2016. 4. 19.
사방오리나무 수꽃, 수피 Alnus firma 선운산에서 만난 나무, 등산로에서 떨어져 있는 수꽃 한 송이를 보고 살펴본 나무는 우람한 거목. 처음에는 수피를 보고 박달나무 쪽일 거라 짐작했는데 녹색의 수꽃 색깔과 모양이 박달나무와는 다르다. 수꽃과 수피, 그리고 가지에 달린 열매 모양 등을 종합하여 확인해 본 결과 사방오.. 2016. 4. 13.
물박달나무 열매, 수피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의 교목으로 박달나무(B. schmidtii)에 비해 잎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측맥은 6-8쌍이며, 열매에 날개가 있다. '소단목(小檀木)'이라고도 한다. 천마산 ● 물박달나무 Betula davurica | black birch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의 낙엽교목 높이는 20m에 달하고, 나무 껍질은 회색을 띤 갈색 또는 회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벗겨진다. 어린 가지는 검은빛이 도는 짙은 갈색이고 털이 있으나 점차 사라진다. 잎은 길이 3∼8cm, 폭 3~6cm의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와 잎맥 위에는 털이 있고, 측맥은 6∼8쌍이며, 잎 뒷면에는 지점이 많다. 꽃은 단성화이고 암수한그루이며 5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밑으로 처지.. 2016. 3. 30.
오리나무 Alnus japonica 천마산 계곡 저지대 등산로 곁에 쓰러져 누운 오리나무를 만난다. 야생 오리나무를 만나기 쉽지 않은데, 늘 지나다니던 등산로 곁에서 쓰러진 모습을 살펴보고 오리나무임을 알아차린다. 나무 밑동에 벌레를 먹어서 쓰러진 것으로 보이는데, 사라지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 천마산 ● .. 2015. 7. 31.
개박달나무, 물박달나무 / 자작나무속 자생종 개박달나무는 난형(또는 타원형)의 열매에 열매자루가 거의 없다. 이는 열매가 긴 원통형이고 열매자루가 긴 박달나무와는 대조적인 특징이다. 물박달나무(B. davurica)와 사스래나무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물박달나무는 열매자루가 길고 사스래나무는 열매자루가 거의 없는 점과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천마산 중간 가지의 수피는 가로 피목만 발달하고 많이 갈라지지 않으며, 오래된 수피는 잿빛으로 터지면서 많이 갈라진다. 물박달나무 잎맥이 6~8쌍인데 비해 개박달나무 잎맥은 대개 8~10쌍이다. ● 개박달나무 Betula chinensis ↘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의 낙엽활엽 교목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벗겨지며 선상의 껍질눈이 옆으로 배열되고 일년생가지는 자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기이고, 달걀모양 또는 원형이.. 2015. 7. 23.
오리나무 Alnus japonica 칼에 베여 피나무 낮에도 밤나무 거짓부렁 참나무 방귀 뀌는 뽕나무 십리 절반 오리나무 예전 아이들이 즐겨 부르던 나무타령의 단골 메뉴가 오리나무였다. 또 (그리 믿을 만한 근거는 없지만) 오리마다 거리를 나타내는 이정표 나무로 심었다는 속설이 있을 정도로 우리 민족에게 친숙.. 2015. 7.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