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아리속21 요강나물 Clematis fusca var. coreana 흑갈색 털이 밀생한 꽃은 직립한 줄기 끝에 1개씩 달려 밑을 향한다. 검종덩굴(Clematis fusca)의 변종으로 작은잎에 1~3개의 결각을 갖는 점에서 거의 결각이 없고 덩굴성인 검종덩굴과 구별되고, 역시 검종덩굴의 변종인 종덩굴(var. violacea)은 작은꽃자루와 꽃잎 겉에 털이 거의 없으며 꽃색이 자주색에 가까우며 덩굴성인 점으로 구별된다.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으로 초본처럼 보이지만 반관목으로 분류된다. 강원도 이북 아고산 높은 산지, 전북 내장산 등지의 볕 드는 풀밭에 작게 무리 지어 자란다. 'coreana'라는 변종명에서 보듯 한반도 고유종이다. 2024. 06. 07. 대관령 ● 요강나물 Clematis fusca var. coreana ↘ 목련강 미나리아재.. 2024. 6. 13.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바야흐로 할미밀망의 계절, 고대산 임도를 따라 할미밀말 흰 꽃들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돌이나 나무를 기어오르는 습성이 있고 맹아력이 강하다. 꽃이 줄기와 잎 사이에서 나오고 꽃차례당 3개씩 흰색으로 넓게 퍼져 피는 점에서 5개 이상의 꽃이 붙는 사위질빵과 구별된다. '셋꽃으아리', '큰잎질빵', '큰질빵풀'이라 불리기도 한다.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덩굴나무로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2024. 05. 12. 연천 고대산 ●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나무줄기 길이 5m, 지름 3cm 이상 자라며 줄기에 세로 능선이 있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다.잎은 마주나기하고 깃모양겹잎이며 3-5.. 2024. 5. 23. 참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꽃과 열매 동해 바닷가에서 열매를 맺고 있는 참으아리를 만난다. 비슷한 으아리(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는 참으아리의 변종으로 꽃자루에 털이 없으며, 잎 밑부분이 넓은 쐐기 모양인 점으로 구별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2024. 10. 12. 동해 ● 참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 목련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중부 이남의 낮은 지대, 특히 바닷가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식물로 길이 5m에 이른다. 잎은 마주나며 3~7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내지 피침형이며, 잎밑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 비슷하며 간혹 결각상으로 얕게 갈.. 2017. 10. 19. 요강나물 Clematis fusca var. coreana 검은 꽃봉오리(꽃받침)가 요강처럼 생겼다고 요강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꽃이 요강을 닮은 광릉요강꽃과 비교해 보면 종 모양을 닮은 데서 유래한 선종덩굴이라는 딴 이름이 더 적절해 보인다. 종덩굴과 달리 곧게 서서 자라므로 선종덩굴이라 불려 왔지만 지금은 요강나물이 추천명이 되었다. 검종덩굴은 꽃 모양은 요강나물과 비슷하지만 덩굴성인 점에서 다르다. 지상부는 거의 초본성에 가까운 모습이지만 반관목으로 분류된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강원도와 황해도 고산지대 공중습도가 높은 풀밭에서 자란다. 설악산 ● 요강나물 Clematis fusca var. corean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낙엽 반관목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되.. 2017. 6. 15.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꽃이 줄기와 잎 사이에서 나오고 꽃차례당 3개씩 흰색으로 넓게 퍼져 피는 점에서 5개 이상의 꽃이 붙는 사위질빵과 구별된다.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나무로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2017. 05. 28. 소백산 ●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나무줄기 길이 5m, 지름 3cm 이상 자라며 줄기에 세로 능선이 있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다.잎은 마주나기하고 깃모양겹잎이며 3-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다. 소엽은 달걀모양이고 첨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 6-8cm × 3-8cm로서 2-3개의 결각상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있지만 표면에는 털이 거의 없으며 엽병에 털이 있다. 꽃은 5월 말-.. 2017. 6. 3. 누른종덩굴(세잎종덩굴) Clematis chiisanensis(Clematis koreana) 누른종덩굴(Clematis chiisanensis)은 이명으로 현재 세잎종덩굴(Clematis koreana)에 통합 처리된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목본성 고산 식물이다. 종소명으로 알 수 있듯 지리산에 주로 분포하고 한라산, 가야산, 설악산 등 높은산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이다. 종덩굴 종류의 특징처럼 꽃봉오리에서 개화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개화 기간이 짧은 편이다. 꽃의 색깔과 꽃받침 아래쪽의 돌기의 형태가 변이가 극심하다. 2016. 06. 12. 가야산 ● 누른종덩굴 Clematis chiisanensi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덩굴식물 덩굴성의 줄기는 둥그스름하고 세로 능선이 있으며 길게 옆으로 뻗으면서 자란다. 잎은 싹트는 시기에 호생(互生).. 2016. 6. 16.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덩굴나무로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꽃은 줄기와 잎 사이에서 나오고 꽃차례당 5~10여 개씩 흰색으로 피는 점에서 3개씩 붙는 할미밀망과 구별된다. 2024. 04. 12. 서울 ●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나무길이 3~8m 정도로 뻗는다. 어린가지에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3출잎 간혹 2회 3출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잎 길이는 4~7cm이다. 잎 가장자리에 깊이 파인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잎 앞면에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뒷면에는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7~9월 흰색으로 피는데 지름 13~25mm로서 .. 2015. 8. 6. 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으아리는 참으아리의 변종으로 잎이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추화서를 이루고 있으며 열매에 털이 달린 꼬리 모양 암술대가 있는 점에서 공통된다. 으아리는 참으아리와 달리 잎끝이 뾰족하고 꽃자루에 털이 거의 없는 점에서 다르다. 남한산성 ● 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 Korean virgin`s bower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성 식물 줄기 길이 2m. 목질화되지 못하고 겨울에 말라죽는다. 수염뿌리는 굵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깃모양겹잎이며 달걀꼴로 첨두, 원저 또는 넓은 예저,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잎자루는 구부러져서 흔히 덩굴손과 같은 구실을 한다. 꽃은 5월 말 ~ 9월 초에 백색으로 .. 2015. 7. 21.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할미밀망은 바위나 나무를 타고 기어오르는 습성이 있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덩굴나무이다. 국내에만 분포하는 특산 식물로 '셋꽃으아리', '큰잎질빵', '큰질빵풀'이라 불리기도 한다. 사위질빵에 비해 줄기나 잎, 꽃이 훨씬 크고 꽃도 빨리 핀다. 사위를 사랑하는 마음에 가벼운 짐을 지도록 덩굴이 연약한 사위질빵은 사위에게 주고 자신은 덩굴이 튼튼한 할미밀망으로 짐을 졌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2015. 05. 23. 남한산성 ●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덩굴나무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길이 5m, 지름 3cm 이상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 2015. 5. 27. 요강나물 Clematis fusca var. coreana 요강나물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반관목으로 줄기가 직립하므로 '선종덩굴'이라고도 한다. 한국 특산종으로 강원도, 황해도의 해발고도 200∼700m의 산 중턱 양지에서 자란다. 이름에 '나물'이 들어가 있고 줄기나 잎을 보면 풀로 보기 쉬운데, 사위질빵이나 종덩굴처럼 지상부의 줄기가 목질화하여 월동하기 때문에 반관목으로 본다. 2013. 05. 17. 선자령 검종덩굴? ● 요강나물 Clematis fusca var. corean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반관목잎은 달걀 모양이고 밑은 둥글거나 일(一)자 모양이며 끝이 날카롭고 톱니가 없다. 뒷면 잎맥에 약간의 털이 있다. 줄기끝의 잎이 덩굴손으로 발달하기도 한다. 꽃은 5∼6월에 가지 끝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 2014. 5. 19. 긴잎으아리 Clematis mandshurica for. lancifolia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성 반관목이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기본종인 으아리에 비해 작은잎이 피침형으로 좁으며, 꽃받침잎은 보다 작다. 꽃받침잎이 보통 6장이라는데, 이곳에서 만난 긴잎으아리는 4장인 꽃 둘만 보인다. ● 긴잎으아리 Clematis mandshurica for. lancifolia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덩굴성 관반목 2∼3m이다. 뿌리는 노란빛을 띤 갈색이며 모여서 난다. 잎은 마주나며 깃꼴겹잎으로서 5∼7개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다. 작은잎은 바소꼴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는 보통 덩굴손처럼 굽는다. 꽃은 6∼8월에 흰빛으로 피는데, 으아리보다 약간 크며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잎은 없다. 꽃받침은 길이 1... 2012. 10. 15.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사위질빵은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Clematis)의 여러해살이 덩굴나무. 나무라고 하지만 들판에서 만나는 것은 거의 덩굴풀과 다름없는 모습을 보인다. 낫질을 당해 줄기가 남아 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다. 깊은 산속에서 종종 팔뚝보다 굵게 자란 덩굴 줄기를 만날 수 있다. ↓ 울진 ●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 Aoiifolia Virgin’s bower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덩굴나무 길이 약 3m이다. 어린 가지에 잔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고 3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거나 2회 3장의 작은잎이 나온 겹잎이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4∼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 .. 2012. 10. 7. 병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병조희풀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반관목으로, 이름으로는 '풀'이지만 지상부에 일부 줄기가 남아 있어 반관목으로 분류한다.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데, 자주조희풀과 꽃 모양이 비슷하지만 꽃잎이 깊게 갈라지지 않아 꽃의 모양이 단지 모양을 유지하는 것으로 꽃잎이 깊이 갈라진 자주조희풀과 쉽게 구별된다. 영명은 Hyacinth-flower clematis, 서양인들은 이 꽃이 히아신스를 닮았다고 생각한 듯하다. ↓ 소백산 ● 병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 Hyacinth-flower clemati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반관목 높이 1m 내외로 밑부분은 목질이 발달하지만 윗부분은 죽는다. 잎은 마주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2012. 9. 17. 조령으아리 Clematis brachyura var. hexasepala 한반도지형 방문 길에 만난 으아리. 그곳의 으아리는 대개가 꽃잎(엄밀히 말하면 꽃받침 조각)이 여섯 개였다. 그럼 이게 조령으아리인가. 안타깝게도 조령으아리에 대한 국생정의 기재문은 다음처럼 허술하기 짝이 없다. 길이 약 2m 정도이다. 꽃은 8~9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6개이고 길이 1.2~2cm로서 꽃잎처럼 생긴다. 2012. 07. 18. 영월 조령으아리로 올라온 사진들은 꽃잎이 여섯 개라는 공통점 외에는 잎 모양도 다양하다. 작은 잎이 길쭉하고 끝이 뾰족한 것도 있고 잎이 뭉툭한 것도 있으며 외대으아리와 같은 꽃차례도 있고 으아리와 같은 꽃차례인 것도 있다. 어느 쪽이 조령으아리일까? 조령으아리(Clematis b.. 2012. 8. 6. 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하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이 4-6개로 납작한 꽃송이로 피어 원추화서를 이루고, 잎이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으로 으아리속의 다른 종과 구별된다. 기본종인 참으아리(C. terniflora)에 비해서 꽃자루에 털이 거의 없으며 꽃밥 끝은 뾰족하고 열매가 작은 점이 다르다. '선인초(仙人草)', '마음가리나물'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남한산성 ● 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 Korean virgin`s bower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성 다년초 줄기는 길이 2m 정도이며, 갈색이고,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목질화되지 못하고 겨울에 말라죽는다. 수염뿌리는 굵다.잎은 마주나기하며 5~7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깃모양겹잎이며 달걀꼴로 첨.. 2012. 8.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