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태나무과11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쓴맛의 대명사로 통하는 소태나무. 음식 맛이 너무 짜고 쓸 때 '소태같이 쓰다'고 한다. 소의 태반처럼 쓰다고 소태나무라 하는데, 소태나무의 이런 쓴맛은 나무껍질에 들어 있는 콰시아(quassia) 성분 때문이라고 한다. 골짜기 너덜바위 지역에서 자라는 소태나무는 층층나무처럼 가지가 층을 이루며 자라는 경향이 있다. 생강나무처럼 암수딴그루이다. 2015. 05. 24. 관악산 네 갈래의 암술머리를 가진 암꽃이 보이는 암나무 ●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 Indian quassiawood ↘ 소태나무과 소태나무속의 낙엽활엽 소교목높이가 10-12m, 직경 20㎝ 정도로 자란다. 줄기가 곧게 서고 가지가 층을 형성하여 수평을 이루며, 수피는 .. 2015. 5. 31.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열매 소태나무는 소태나무과의 나무로 주로 너덜바위 지역에서 자란다. 소의 태반처럼 쓰다고 소태나무라 하는데, 쓴 성분은 나무껍질에 들어 있는 콰시아(quassia) 성분 때문이다. 그래서 종명이 quassioides이다. 암수딴그루로 5~6월에 녹황색 꽃을 피우며, 9월에 지름 7㎜ 정도의 둥근 열매가 갈색으로 여문다. 2011. 07. 20. 천마산 ●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 운향목 소태나무과 소태나무속 낙엽 활엽 소교목높이 10 ~ 12m. 줄기가 직립하고 가지가 층을 형성하여 수평을 이루며, 나무껍질은 적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맛이 쓰며 황색 껍질눈이 있다. 어릴때에는 가는 털이 있으며, 겨울눈에는 비늘조각이 없고 홍갈색의 가는 털이 많이 나 있.. 2011. 7. 29. 암수술 한 몸인 소태나무도 있네 "소태처럼 쓰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쓴 맛을 대표하는 나무가 소태나무, 황록색 꽃은 지름이 5㎜ 안팎으로 너무 작아 유심히 살펴보지 않으면 꽃이 피었다는 사실을 알아채기가 어려울 정도이다. 그런데 이 소태나무 꽃은 암술과 수술이 함께 자리잡고 있다. 이는 소태나무가 암수딴그루로 알려진 상식과는 어긋난다. 일반적으로 암수딴그루이지만 암수 한 몸인 나무도 있다는 증거... ● 소태나무 꽃 Picrasma quassioides | India quassia ↘ 무환자나무목 소태나무과 소태나무속 교목 높이 12m 정도로 자라며 가지에 털이 없고 적갈색 나무껍질에 황색의 피목(皮目)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황록색으로.. 2011. 6. 17. 소태나무(Picrasma quassioides) 암꽃과 수꽃, 소태나무 이야기 소태나무는 잎지는 큰키나무로 줄기는 곧게 서고 10m 정도로 자란다. 어린 가지는 붉은 빛이 도는 갈색의 매끄러운 바탕에 황색의 작은 숨구멍 흩어져 있고 가지는 흔히 층층나무처럼 층을 이루는 경향이 있다. 작은 잎이 열 두 세 개씩 붙어있고 가지에는 어긋나기로 달린다. 작은 달걀모.. 2010. 7. 15. 소태나무 열매 Picrasma quassioides ↓ 백령도 ●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 Indian Quassiawood / 소태나무과(Simaroubaceae)의 낙엽활엽 소교목 높이가 10-12m, 직경 20㎝ 정도로 자란다. 줄기가 곧게 서고 가지가 층을 형성하여 수평을 이루며, 수피는 적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쓰며 황색 피목이 있다. 어릴 때에는 가는 털.. 2009. 8. 16. 붉은가죽나무 열매 Ailanthus altissima for. erythrocarpa 붉은가죽나무는 열매가 붉은빛이 도는 소태나무의 품종(for. erythrocarpa)이다. 열매는 피침형으로 프로펠러 같은 날개가 달린 시과로 가운데 1개의 씨가 들어 있다. 경남 합천 ● 붉은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f. erythrocarpa / 운향목 소태나무과 가죽나무속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간이 통직하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일년생가지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으나 없어지는 것도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홀수깃모양겹잎으로 길이 60-80cm 이다. 소엽은 13-25개이고 넓은 피침상 달걀모양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7-13cm, 폭 5cm로서 연모가 있고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다. 잎의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 2009. 8. 1. 소태나무 잎, 수피, 열매 Picrasma quassioides "소태 씹은 듯"이라는 속담에 등장하는 바무이다. 나무껍질에 콰시아(quassia)가 들어 있어 매우 쓰며 '고목(苦木)'이라 불리기도 한다. 국내에는 가죽나무와 함께 소테나무과에 속하는 유이한 식물이다. 건위제, 또는 ·소화불량·위염 및 식욕 부진 등에 약용으로 이용된다. 2008. 07. 01. 양평 유명산 골짜기 ●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쥐손이풀목 소태나무과 소태나무속의 소교목높이 12m 정도이며 가지에 털이 없고 적갈색 나무껍질에 황색의 피목(皮目)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황록색으로 6월에 피고 2가화이며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4∼.. 2008. 7. 22. 가죽나무(가중나무) 수꽃 참죽나무와 가죽나무, 이 두 나무는 모두 중국 원산의 교목이다. 나무 모양과 이름이 비슷해 보이는 두 나무는 사실 계통이 전혀 다른 나무다. 참죽나무는 멀구슬나무과이고 가죽나무는 소태나무과이다. 참죽나무는 봄에 돋아나는 새순이 나물로 독특한 미각을 돋구어 준다. 참죽나무와 .. 2007. 6. 19. 소태나무 암꽃 Picrasma quassioides 소태나무는 중국에서 귀화한 가중나무(Ailanthus altissima)와 함께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유일한 자생종이다. 고목(苦木)이라고 하며 수피에는 흰색 분말로 물에 녹지 않는 쿼신(quassin)이 들어 있어 쓴맛이 있다. 위액 분비를 촉진시켜서 만성 소화 불량 등의 소화 장애를 치료하는 데 쓰인다. .. 2007. 6. 4. 가죽나무(가중나무) 암꽃, 수꽃 가죽나무는 암수딴그루인 나무이다. 봄에 꽃이 필 때 암꽃이 피는 나무와 수꽃이 피는 나무가 따로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꽃이 지고 난 뒤 수꽃이 피었던 나무는 잎만 무성히 달고 있는데, 암꽃이 피었던 나무는날개 달린 녹색의 열매가 주렁주렁 달린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죽나무 암꽃.. 2006. 6. 29. 가중나무(가죽나무) 열매 Ailanthus altissima 가죽나무는 중국에서 들어온 소태나무과의 큰키나무 귀화종이다. '가짜 죽나무'라고 해서 가죽나무라고도 부르며, 영어 이름으로는 '하늘나무(Tree of Heaven)'라고 한다. 암수딴그루로 6~7월에 녹색이 감도는 흰꽃이 피며 열매를 맺는 나무는 암나무이다. ● 가죽나무(假僧木) Ailanthus altissima | Tree of Heaven / 무환자나무목 소태나무과 가죽나무속 낙엽 교목 성장이 빠르며 줄기 지름 50 cm, 높이 20~25m에 이르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며 길이 45∼80cm이다. 작은잎은 13∼25개로 길이 7~12cm, 나비 2~5cm이다. 넓은 바소꼴로 위로 올라갈수록 뾰족해지고 털이 난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 2005. 11.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