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고사리과25 꼬리고사리 Asplenium incisum 꼬리고사리는 꼬리고사리과의 늘푸른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잎끝으로 갈수록 꼬리처럼 길게 자라기 때문에 '꼬리고사리'라고도 부른다. 습기가 있는 바위 표면이나 산에서 자란다. 잎 중축 앞면에 홈이 있고, 잎은 좁은 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중부 또는 중부 윗부분이 가장 넓고 밑부분을 향하여 좁아진다. 그리고 영양엽이 보다 작고 비스듬히 서는 반면, 포자엽은 보다 크고 곧게 서서 형태가 약간 다른 두 종류로 구성되는 점으로 속 내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합천 가회 도탄 ● 꼬리고사리 Asplenium incisum ↘ 고사리목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 뿌리줄기는 짧고 비스듬히 서며 갈색 비늘조각이 있고 잎이 뭉쳐난다. 잎은 영양엽과 포자엽 2가지가 있다. 잎은 폭이 한가운데가 제일 넓고 잎끝과 잎밑으로 갈.. 2011. 12. 29. 숫돌담고사리(Asplenium prolongatum)? 전주 한옥마을에서 전시하고 있는 특이한 고사리. 이름을 알고보니 숫돌담고사리라고 한다. 꼬리고사리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제주도 낮은 지대 숲속 바위틈에서 자라는 것이다. 잎이 톱풀이나 편백나무의 잎과 비슷해 톱풀고사리, 편백고사리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짧으며, 잎은 .. 2010. 11. 14. 꼬리고사리 Asplenium incisum 꼬리고사리는 꼬리고사리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다. 잎끝으로 갈수록 꼬리처럼 길게 자라기 때문에 '꼬리고사리'라고 부른다. 중국에서는 독을 없애거나 결핵에 의한 기침을 멈추게 하는 데에 쓰고 있다. ※ 경남 합천 가회 ● 꼬리고사리 Asplenium incisum / 꼬리고사리과 뿌리줄기는 짧.. 2009. 3. 2. 뱀고사리 Athyrium yokoscense , 개고사리와 뱀고사리의 구별 뱀고사리는 꼬리고사리과의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 양지쪽 바위틈이나 그늘진 곳에서 흔히 자란다. 개고사리속으로 개고사리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는데, 개고사리가 잎 우편(날개조각)의 잎자루가 비교적 긴 데 비해 뱀고사리는 잎자루가 거의 없고 개고사리가 엽신 우편의 길이가 윗부분에서 갑자기 좁아지는데 비해서 뱀고사리는 그런 모습이 없다. ☞ 개고사리 => http://blog.daum.net/kheenn/15855957 서울 대모산 ● 뱀고사리 Athyrium yokoscense / 꼬리고사리과 짧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뭉쳐난다. 잎자루는 잎몸보다 짧거나 거의 비슷하고 밑부분에 비늘조각이 많이 달린다. 잎몸은 바소꼴 또는 긴 타원상 바소꼴로 길이 20∼40cm이며 2회 깃꼴로 갈라지고 잎조각은 나비 1∼2.5cm로.. 2008. 7. 28. 뱀고사리 Athyrium yokoscense 대모산 잎 뒷면포자낭이 형성되고 있다. 잎 뒷면 접사 ● 뱀고사리 Athyrium yokoscense / 꼬리고사리과 짧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뭉쳐난다. 잎자루는 잎몸보다 짧거나 거의 비슷하고 밑부분에 비늘조각이 많이 달린다. 잎몸은 바소꼴 또는 긴 타원상 바소꼴로 길이 20∼40cm이며 2회 깃꼴로 갈라.. 2008. 6. 23. 거미고사리(거미일엽초) Camptosorus sibiricus 거미고사리는 꼬리고사리과의 양치식물로 거미일엽초라고도 한다. 바위나 고목에 붙어서 자란다. 남한산성 ● 거미고사리 Camptosorus sibiricus / 양치식물 꼬리고사리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비스듬히 또는 곧게 자라며 잎이 뭉쳐난다. 잎자루는 길이가 1∼10cm이고 연한 녹.. 2008. 6. 17. 아스플레니움(Asplenium), 열대의 파초일엽 아스플레니움은 북아메리카·아프리카·인도 등이 원산지인 꼬리고사리과의 상록 양치식물이다. 열대지방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700여 종이 분포하며 한국에는 16종 정도가 자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다. 서울대공원 ● 아스플레니움 Asplenium 뿌리줄기는 기는줄기이거나 덩어리처럼 생.. 2008. 6. 12. 섬고사리(참고비, 울릉고사리) Athyrium acutipinulum 울릉도에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 양치식물로 을릉도에서는 '참고비' 또는 '울릉고사리'라고 부른다. 울릉도 외에 태백산·제천 지방에서도 자란다고 한다. 나리분지의 넓은 밭에는 더덕, 눈개승마(삼나물)과 더불어 가장 많이 재배하는 작물이기도 하다. 새순을 나물로 식용하고 특산품으로 판매하기도 한다. 울릉도 ● 섬고사리 Athyrium acutipinulum / 고사리목 꼬리고사리과 개고사리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덩어리처럼 짧고 잎이 모여 나며 높이 80cm 내외이다.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밑부분에 검은 비늘조각이 있다. 잎몸은 2회 깃꼴로 갈라지고 잎조각은 선상 바소꼴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다. 작은잎조각은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밑부분이 우축(羽軸)으로 흘러서 약간 날개같이 되며 앞쪽 .. 2007. 12. 14. 골고사리(나도파초일엽, 변산일엽) Asplenium scolopendrium 골고사리는 꼬리고사리과의 상록 양치식물로 '변산일엽' 또는 '나도파초일엽'이라고도 하며 제주도, 울릉도, 변산반도의 산지 계곡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잎몸 길이 1m에 가까운 파초일엽(A. antiquum)에 비해 10-40cm로서 작고, 뚜렷한 잎자루가 있으며 잎 아래쪽이 심장형인 점으로 구별된다. ↓ 07. 07. 08. 홍릉수목원 ● 골고사리(나도파초일엽, 변산일엽) Asplenium scolopendrium / 고사리목 꼬리고사리과 꼬리고사리속 상록 양치식물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비스듬히 서고 잎은 뭉쳐난다. 잎자루는 길이가 10∼20cm이고 밑 부분에 뿌리줄기와 더불어 비늘조각이 빽빽이 있다. 비늘조각은 바소꼴이고 엷은 갈색이며 막질(膜質)이고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털이 있다. 잎몸은 홀잎이고 .. 2007. 7. 28. 거미고사리(거미일엽초) Camptosorus sibiricus 꼬리고사리과의 양치식물로 거미일엽초라고도 하는데, 암벽에 뿌리내리고 잎이 늘어지며 가느다란 잎끝에서 새로운 개체를 내며 번식하는 특성이 있다. 수원 화성 ● 거미고사리 Camptosorus sibiricus / 고사리목 꼬리고사리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비스듬히 또는 곧게 자라.. 2007. 5. 1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