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

뽀리뱅이 Youngia japonica

by 모산재 2025. 4. 30.

 

국화과 뽀리뱅이속의 한두해살이풀로 전체에 잔털이 나고 곧추선 줄기와 가지 끝에 많은 꽃이 달린다. '박조가리나물'이라고도 한다. 영명은 '동양의 가짜 나도민들레'라는 뜻의 'Oriental false hawksbeard'이다.

 

들, 밭둑, 길가의 다소 그늘진 곳에 자란다. 동아시아 지역 원산이지만 지금은 전 세계로 퍼져 있다. 제꽃가루받이를 하는 특징이 있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으며, 전초를 약재로 쓴다.

 

 

 

 

2025. 04. 29.  서울

 

 

 

 

 

 

 

● 뽀리뱅이 Youngia japonica | Oriental false hawksbeard  ↘  목련강 목련목 국화과 뽀리뱅이속 한두해살이풀 


줄기 높이 15-100cm이고 전체에 퍼진 털이 밀생한다.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갈라진다.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거꿀피침모양이고 질이 연약하며 길이 8~25cm, 폭 1.7~6cm로서 털이 있고 밑으로 점차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무우잎처럼 갈라지고 정열편은 삼각상 달걀모양으로서 크며 측열편은 밑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줄기잎은 0-4개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길고 선상 피침형이며 길이 8-12cm로서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우상으로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7-8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많은 꽃이 달려서 산방상 원뿔모양꽃차례로 된다. 총포는 좁은 원주형이고 길이 4-5mm, 지름 3-4mm로서 회록색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하는데 외포편은 길이 0.5mm이고 내포편은 8개로서 피침형 둔두이다. 꽃부리는 황색이며 길이 5-8mm, 지름 0.7-1.1mm이고 판통은 길이 2-3mm로서 윗부분에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 납작하며 길이 1.5-2mm로서 갈색이고 11-13개의 융기한 능선이 있으며, 관모는 흰색이고 길이 3~3.2mm이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국립수목원 국생정에서는 뽀리뱅이 1종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큰꽃뽀리뱅이(Y. japonica)를 기본종으로 그 아종으로 뽀리뱅이(subsp. elstonii)와 긴꽃뽀리뱅이(subsp. longiflora)를 기록하고 있다. 긴꽃뽀리뱅이는 중국과 우리나라 전라남도에 분포한다.

 

○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전초 또는 뿌리를 '황화채((黃花菜)', '황암채(黃鵪菜)'라 하며 청열(淸熱), 해독, 소종(消腫), 지통(止痛)의 효능이 있어 감기, 인후통, 유선염, 결막염, 창절(瘡癤), 요로감염, 백대하(白帶下), 류머티성관절염에 달여서 복용하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 참고 자료 : en.wikipedia.org/Youngia_japonica  

 

 

☞ 뽀리뱅이 => https://kheenn.tistory.com/8090804  https://kheenn.tistory.com/15858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