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

떡쑥 Pseudognaphalium affine

by 모산재 2025. 5. 13.

 

털로 덮인 흰 잎이 쥐의 귀 모양을 닮고 좁쌀 모양의 황색 꽃이 누룩을 닮아 '서국초(鼠麴草)'라고 한다. 봄에 자란 풀로 떡을 만들어 먹어 떡쑥으로 불린다고 한다. 

 

국화과 떡쑥속의 두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인도, 터어키, 코카서스 등에 분포한다.

 

 

 

 

2023. 04. 25.  제주도

 

 

 

 

 

 

● 떡쑥 Pseudognaphalium affine | Jersey cudweed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떡쑥속 두해살이풀 


전체에 흰 솜털이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5~40cm이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에 자라는 잎은 어긋나며 주걱 모양 또는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7월에 피며, 줄기 끝에 머리 모양 꽃이 산방꽃차례로 달리고 녹색이 도는 노란색 또는 흰색이다. 머리 모양 꽃의 가운데에 양성꽃이 피고 주변에 암꽃이 핀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

 

 

 

 

○ 어린풀은 나물로도 먹고 중국, 일본, 베트남 등 여러 나라에서 떡이나 과자를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개화기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전초를 '서국초(鼠麴草)'라 하며 주로 호흡기·순환계 질병을 다스린다. 감기, 천식, 근골동통, 기관지염, 담, 부종, 종창, 등에 약용한다.

 

○ 금떡쑥과 함께 왜떡쑥속(Gnaphalium)에서 떡쑥속(Pseudognaphalium)으로 분리되고, 자생 왜떡쑥속은 왜떡쑥 1종이다. 풀솜나물은 풀솜나물속(Euchiton), 선풀솜나물과 미국풀솜나물, 자주풀솜나물은 선풀솜나물속(Gamochaeta)으로 분리 배치되었다. 다북떡숙과 구름떡쑥은 다북떡쑥속(Anaphalis)으로, 백두산떡쑥은 백두산떡숙속(Antennaria) 각각 다른 속이다. 솜다리속(Leontopodium)으로 들떡쑥, 솜다리, 산솜다리, 한라솜다리가 있다.   

 

 

※ 참고 자료 : wikipedia.org/Pseudognaphalium_affine  gbif.org/species/3100918  powo.science.kew.org/962992-1

 

 

• 금떡쑥(P. hypoleucum) : 떡쑥에 비해서 잎 앞면은 녹색이며, 암술대가 꽃부리보다 길다. 남부지방.

 

 

☞ 떡쑥 => https://kheenn.tistory.com/11035469 

☞ 왜떡쑥 => https://kheenn.tistory.com/15851451 https://kheenn.tistory.com/15851436

☞ 풀솜나물 => https://kheenn.tistory.com/15859053

☞ 선풀솜나물, 자주풀솜나물 => https://kheenn.tistory.com/15853666

☞ 자주풀솜나물 => https://kheenn.tistory.com/15855139  https://kheenn.tistory.com/15859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