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중과42

왕지네고사리 Dryopteris monticola 천마산 정상에 가까운 골짜기에서 만난 왕지네고사리. 키는 90~120cm로 대형종으로 중부 이북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이다.  처녀고사리속의 지네고사리와 달리 관중속으로, 잎몸이 대부분 1회 깃꼴겹잎이며 잎자루에 빽빽히 붙는 비늘조각이 난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주머니처럼 부풀지 않고 편평하다. 최종 열편의 가장자리가 바늘처럼 뾰족한 점은 바위틈고사리(D. goeringiana)와 유사하다.    2015. 05. 02.  천마산        ● 왕지네고사리 Dryopteris monticola | King wood fern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의 여러해살이풀 굵고 짧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모여서 돋는다. 잎자루는 잎몸 길이의 1/2이거나 같은 길이이며 다갈색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잎몸은 길이 6.. 2015. 5. 8.
낚시고사리 Polystichum craspedosorum 낚시고사리는 산골짜기의 그늘진 바위 틈에 뿌리를 내리고 낚시를 드리우듯 긴 깃꼴 모양의 잎을 드리우고 있다. 관중과 십자고사리속(Polystichum) 식물 중에서 엽축이 회초리처럼 길게 벋어 나가고 끝에 살눈이 생기므로 더부살이고사리(P. lepidocaulon)와 비슷하지만, 우편 길이가 3cm 미만으로 작고, 포자낭군이 잎맥 끝에 붙고 포막이 오래 남아 있는 점이 다르다. 천마산 포자낭군은 잎조각의 뒤쪽 가장자리로 1줄로 달리는데, 포막은 둥글고 지름 2mm 정도이다. ● 낚시고사리 Polystichum craspedosorum ↘ 고사리목 관중과 십자고사리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6∼13개의 잎이 뭉쳐 나온다. 잎자루는 길이가 0.5∼5cm이고 비늘조각이 빽빽이 붙는다. 비늘조각은 줄 모양.. 2015. 4. 14.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비늘고사리는 관중과 관중속의 늘푸른 양치식물로 '곰고사리'라고도 한다. 햇볕이 약간 드는 습기 있는 곳에서 자란다.     2015. 03. 21.  천마산        ●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  관중과 관중속의 상록 양치식물 상록식물로 월동하지만 포자낭군이 달린 부분은 겨울 동안 마른다. 덩어리처럼 생긴 뿌리줄기에서 잎이 뭉쳐나서 60cm 내외로 자란다. 잎자루는 길이 10∼20cm이고 잎몸보다 짧고 중축과 더불어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큰 비늘조각은 길이 2cm 정도이다. 잎은 2회 깃꼴겹잎이고 표면에 주름이 지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작은잎조각은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넓어지며 밑에는 대가 있다.  포자낭군은 위쪽 잎조각에 달리고 포막은 둥.. 2015. 3. 25.
쇠고비 Cyrtomium fortunei 쇠고비는 남부지방 숲속에서 자라는 상록 양치식물이다. 반그늘진 바위틈이나 사질토양에서 자란다.  도깨비쇠고비에 비해 잎이 종이질로 얇고 깃조각 가장자리와 끝부분에 불규칙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어 구분되며, 참쇠고비에 비해 깃조각 밑이 귀 모양이 아니고, 포막 가장자리에 분명한 톱니가 없어 구분된다. 산쇠고비는 깃조각이 5~15쌍으로 적고 보다 넓으며 포자낭군이 5열이라는 특징이 있다.    2014. 01. 03. 장성 축령산           ● 쇠고비 Cyrtomium fortunei  ↘  고사리목 관중과 쇠고비속의 상록 양치식물 뿌리줄기는 곧추서며 덩어리진다. 잎은 모여나며 잎자루는 길이 10~30cm, 비늘조각이 빽빽하게 달린다. 비늘조각은 검은 갈색이며, 긴 타원형으로 위에 붙을수록 선형에 가.. 2015. 1. 2.
가는잎족제비고사리(Dryopteris chinensis) 가는잎족제비고사리(Dryopteris chinensis)는 면마과의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산지의 숲 속과 숲 언저리의 약간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한겨울에도 푸른잎이 일부 살아남아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가늘고 긴 잎자루는 딱딱한데, 비늘조각이 윗부분에는 별로 없이 매끈한 편이나 밑부분에는 빽빽하게 나 있다. 대모산 포자낭군은 작은 잎조각의 가장자리 가까이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가는잎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chinensis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뿌리줄기는 짧고 비스듬히 서며 잎은 뭉쳐난다. 잎자루는 길이가 15∼30cm이고 가늘며 딱딱하고 밑 부분에 비늘조각이 빽빽이 있으며 윗부분에는 가운데 축과 더불어 비늘조각이 드문드문 있다. 비늘조각.. 2014. 3. 19.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도깨비쇠고비는 관중과 쇠고비속의 늘푸른 양치식물이다. 쇠고비에 비해 잎이 가죽질이고, 작은 잎의 끝부분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종명 falcatum은 '낫모양'이라는 뜻으로 잎 조각이 낫처럼 구부러져 올라가 있어 붙은 이름이다. 건조한 부식토에서 잘 자라며 제주도와 울릉도, 중부지방 해안가의 돌 틈에서 자란다. ↓ 제주 매오름 ↓ 제주 지미봉 ●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 Holly Fern ↘ 고사리목 관중과 쇠고비속 여러해살이 양치식물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끝에서 잎이 뭉쳐난다. 잔뿌리가 나 있다. 잎자루는 길이 15-40cm로서 밑부분에 비늘줄기가 빼곡하게 나는데 길이 1-2cm로서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위로 갈수록 좁아져서 선형으로 된다. 잎은 깃꼴로 어긋나는데 억세고 .. 2014. 3. 1.
천마산 가는잎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chinensis 가는잎족제비고사리(D. chinensis)는 관중속의 여러해살이 양치식물로 국내 높고 낮은 산지의 그늘진 숲속에 널리 자란다. 잎은 연학 녹색으로 금족제비고사리(D. gymnophylla)와 유사하지만 낙엽성으로 중축, 우축 및 소우축의 뒷면에 인편이 있는 점에서 구별된다. 가늘고 긴 잎자루는 딱딱한데, 비늘조각이 윗부분에는 별로 없이 매끈한 편이나 밑부분에는 빽빽하게 나 있다. 천마산 포자낭군은 작은 잎조각의 가장자리 가까이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가는잎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chinensis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여러해살이 양치식물 뿌리줄기는 짧고 비스듬히 서며 잎은 뭉쳐난다. 잎자루는 길이가 15∼30cm이고 가늘며 딱딱하고 밑 부분에 비늘조각이 .. 2012. 4. 11.
광릉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xifragivaria 천마산에서 만난 고사리, 산족제비고사린가 했는데 광릉족제비고사리라고 한다, 관중과 관중속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족제비고사리와 바위족제비고사리의 잡종이라고 하는데, 잎자루의 비늘조각(인편)이 줄 모양으로 빽빽이 나며 사방으로 퍼지는 것이 특징이란다. 포자낭군이 작은 깃조각 축 부근에 달리는 모양은 산족제비고사리와 아주 다른 모습이다.     천마산          줄기의 비늘털이 펼쳐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포자낭군이 작은 깃꼴조각 가운데에 달린다.     ● 광릉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xifragivaria | Gwangneung buckler fern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여러해살이풀 잎은 모여나기하며 엽병은 길이 10-20㎝로서 비늘조각이 밀생하고 밑부분이 굵다. 비늘.. 2012. 4. 11.
천마산 낚시고사리 Polystichum craspedosorum 처음에는 개차꼬리고사리라고 생각했는데 확인해보니 낚시고사리이다. 산골짜기의 그늘진 바위에 붙어서 자라는데, 더부살이고사리(P. lepidocaulon)처럼 고사리 잎몸 끝 부분이 길게 회초리처럼 자라서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리고 그 끝에서 새로운 개체(살눈)가 생기는데, 이 모양이 낚시를 드리운 듯하여 낚시고사리라 부른다고 한다. 포자낭군이 두 줄로 늘어서는 꼬리고사리 종류와는 달리, 깃조각 잎맥 끝 가장자리에 동글동글 외줄로 늘어서는데 포막이 오래 남아 있다. 천마산 포자낭군은 주로 잎조각의 앞쪽 가장자리 가까이 1줄로 달리고, 포막은 둥글며 지름이 2mm로 갈색이며 서로 접해 있고 오랫동안 남는다. ● 낚시고사리 Polystichum craspedosorum | Jumping holly fern ↘ .. 2012. 4. 11.
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hikonensis 고향의 산 까까운 양지바른 논 언덕 돌틈에 흔하게 자라는 늘푸른 고사리. 잎몸이 그리 크지 않고 양지에서 잘 자라 그냥 족제비고사리인가 했더니 큰족제비고사리이다. 깃조각 최종 갈래조각 가장자리가 이모양 톱니이며, 잎자루 기부의 비늘조각이 흑색인 점에서 다른 유사 분류군들과 구분된다. 제주도를 비롯하여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의 해안가 지역, 특히, 섬 지방에서 더욱더 우세한 남방계 식물이다. 경남 합천 가회 ● 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hikonensis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양치식물 높이는 60cm 정도이다. 뿌리줄기는 굶고 짧으며 끝에서 잎이 모여난다. 족제비고사리보다 잎이 훨씬 크다. 잎몸의 길이는 30~60cm, 폭은 20~40cm로 넓은 달걀 모양이다. 윗부분이 갑자기 좁아지며 표면에 .. 2011. 12. 28.
울릉도 숲속의 대표 미인 고사리, 일색고사리 Arachniodes standishii 울릉도 숲속을 풍성하게 덮고 있는 대표적인 양치식물이 바로 일색고사리이다. 나리분지에서 성인봉 가는 숲길로 들어서면 흔히 볼 수 있다. 제주도와 울릉도에 분포한다. 갈래진 파초잎을 연상시킬 정도로 넓고 길게 자란 잎은 풍성하여 과연 고사리 중에서 한 인물하는 글래머, '일색'이란 이름이 잘 어울린다. ● 일색고사리 Arachniodes standishii ↘ 고사리목 관중과 쇠고사리속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잎이 밀생한다. 잎자루는 잎몸 길이의 반 정도이며, 밑부분에 황갈색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잎은 3회 깃꼴겹잎이고 잎조각은 짧은 대가 있으며, 포자낭군이 달리지 않는 잎은 앞뒤의 빛깔이 비슷하다. 잎몸은 긴 타원상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40∼60cm, 나비 20∼30cm이다. 잎몸의 하.. 2007. 12. 12.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비늘고사리는 관중과 관중속의 상록 양치식물로 '곰고사리'라고도 한다. 포자낭군이 달리는 부분은 겨울 동안에는 마르며 햇볕이 약간 드는 곳에서 자란다.     2009. 02. 18.  남한산성    2007. 03. 03.  남한산성       ●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  고사리목 면마과 관중속의 상록 양치식물 덩어리처럼 생긴뿌리줄기에서 잎이 뭉쳐나서 60cm 내외로 자란다. 잎자루는 길이 10∼20cm이고 잎몸보다 짧고 중축과 더불어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큰 비늘조각은 길이 2cm 정도이다. 잎은 2회 깃꼴겹잎이고 표면에 주름이 지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작은잎조각(小羽片)은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넓어지며 밑에는 대가 있다. 포자낭군은 위쪽 .. 2007.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