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중과42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늦가을에 접어들며 포자낭이 달린 잎끝이 말라들어가고 있다. 비늘고사리의 특징이다.  곰비늘고사리보다 식물체가 작고 보다 부드러우며 덜 억센 편이다. 곰비늘고사리는 포자낭이 잎 중간 아랫부분까지 생겨나지만, 비늘고사리는 윗부분의 1/3 위치까지만 생긴다. 비늘고사리는 포자가 익어 산포하면 잎이 먼저 마르기 시작하면서 낙엽이 된다. 겨울에 푸른 잎은 그 해에 포자가 형성되지 않은 영양엽이다. 곰비늘고사리는 거의 잎 전체에 포자낭이 형성되고 겨울에도 잎이 푸르다.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2023. 10. 21.  대전 계족산      ●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 Leathery wood fern  ↘  양치식물문 고사리강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상부의 포자낭군을 갖는 우편.. 2024. 12. 3.
애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crosanta 관중과 관중속의 상록성 양치식물이다. 족제비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잎자루에 달린 비늘조각이 검고 윤채가 있고 밑부분의 비늘조각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인 것이 다르며, 또 큰족제비고사리보다는 잎이 얇고 잔깃조각이 보다 깊으며 잘게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중축 뒷면의 인편과는 달리 우축 뒷면 기부가 주머니처럼 부푼 작은 비늘조각이 붙으며, 모든 비늘조각은 위쪽을 향하여 붙는 점에서 바위족제비고사리나 산족제비고사리와 구별된다. 2024. 03. 24. 가평 ● 애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sacrosanta | Baby buckler fern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상록성 양치식물 엽병에 달린 비늘조각이 흑색이며 윤채가 있고 밑부분의 비늘조각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 엽신이 얇고 잔깃조각이 보다 깊으며 잘.. 2024. 3. 27.
왕지네고사리 Dryopteris monticola 관중속 고사리로, 유사한 바위틈고사리와 함께 부식토가 풍부한 산지 숲속에 큰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북방계식물이다. 엽신의 중축, 우축 및 소우축의 뒷면에 붙는 인편은 기부가 주머니처럼 부풀지 않고, 편평하다. 엽신은 1~2회 우상복엽으로 땅속줄기는 옆으로 짧게 기고, 잎은 붙어나며, 최종 열편의 가장자리가 바늘처럼 뾰족한 점은 바위틈고사리(D. goeringiana)와 유사하다. 그러나 왕지네고사리는 엽신이 대부분 1회 우상복엽인 점과 엽병 기부 근처의 인편이 피침형에서부터 난상 피침형인 점에서 2~3회 우상복엽으로 엽병의 인편이 선상 피침형에서부터 좁은 피침형을 갖는 바위틈고사리와 명백히 다르다.     2017. 08. 27.  구룡령              ● 왕지네고사리 Dryopteris mon.. 2017. 9. 1.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음습한 곳에 근경에서 자라난 잎이 우산을 펼치듯 둥글게 배열되어 자란다. 잎 모양이 과녁에 꽂힌 화살처럼 보여서 관중이라고 한다는 설이 있는데, 화살이 과녁 한가운데 맞는 것은 '貫中'으로 쓰지만 이 식물은 '貫衆'으로 쓰고 있어 사실과는 다르다. 돌려나기한 잎이 1m에 이를 정도로 대형종이고, 잎에 비해 짧은 잎자루에 황갈색의 비늘조각이 밀생하는 점이 눈에 띄는 고사리류이다. 구룡령 ●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 shield fern, buckler fern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여러해살이풀 근경은 굵고 곧다. 잔뿌리가 사방으로 뻗는다. 잎은 근경에서 돌려나기하고 길이 1m 내외, 폭 25cm 정도에 달하며 엽병은 엽신보다 훨씬 짧고 엽축과 더불어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 2017. 9. 1.
왁살고사리 Arachniodes borealis 관중과 쇠고사리속(또는 왁살고사리속)으로 진저리고사리와 비슷하지만 잎 양면에 털이 있어서 구별된다.  지세가 큰 산지 숲속에서 길게 기는 땅속줄기를 통해 큰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식물로 전국의 심산 지역, 울릉도, 안면도 등에 분포한다.    2017. 08. 27.  구룡령          ● 왁살고사리 Arachniodes borealis | Northern upside-down fern  ↘  고사리목 관중과 쇠고사리속 여러해살이풀 키 40~80cm이다. 뿌리줄기는 길게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잎자루는 볏짚색 또는 부분적으로 붉은 갈색이고, 길이는 20~40cm로, 잎몸과 거의 같다. 아랫부분에는 비늘조각이 밀생하며, 비늘조각은 밝은 갈색이고, 길이 5~12mm, 너비 1~3.5mm이며, .. 2017. 9. 1.
퍼진고사리 Dryopteris austriaca 퍼진고사리는 면마과(관중과) 관중속의 고사리로, 60~90cm 정도로 자라는 비교적 대형 양치식물이다. 가장 아래쪽 깃조각이 가장 크고 까락 같은 톱니가 있으며 포막이 콩팥형이다. 제주도와 지리산, 오대산 및 북부지방 높은 산에서 자란다. 설악산 ● 퍼진고사리 Dryopteris austriaca ↘ 고사리목 면마과 관중속 양치식물 뿌리줄기는 짧고 잎이 모여난다. 잎자루는 길이 20~40cm이고 중앙부가 짙은 갈색으로 흑갈색의 비늘조각이 덮여있다. 잎몸은 오각형의 난형으로 3회 깃꼴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는 25~50cm, 폭 20~30cm 정도이다. 잎조각은 끝이 뾰족한 피침형으로 짧은 대가 있는 것도 있다. 첫째 잎조각은 일그러진 3각상 난형이다. 작은 잎조각은 대가 없고 끝이 뾰족한 긴 피침형이며 깃.. 2017. 6. 15.
왁살고사리 Arachniodes borealis 쇠고사리속의 양치식물로 잎이 4회 깃꼴로 갈라지고 포자낭이 잎 뒷면 열편 파진 곳 맥 위에 달리고 포막은 둥글다. 불갑산 ● 왁살고사리 Arachniodes borealis ↘ 고사리목 면마과 쇠고사리속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달림. 엽병은 길이 15-25㎝로서 앞쪽에 홈이 파지고 연한 볏짚색에 밝은 갈색이 돌지만 밑부분은 흑갈색이며 엽축및 우축과 더불어 반투명한 비늘조각이 달린다. 엽신은 길이 25-40㎝, 폭 20-35㎝이고 4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양면에 털이 있고 잿빛이 도는 녹색이다. 우편은 첫째것이 가장 크며 길이 15-35㎝로서 길이 1.5-3㎝의 대가 있고 뒤쪽 첫재 잔깃조각이 길게 자라므로 잎 전체가 오각형 비슷하게 된다. 최종열편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톱니 또는 결.. 2017. 5. 19.
참나도히초미 Polystichum ovatopaleaceum var. coraiense 예전에 자주 다니던 등산로, 앉은부채와 비늘고사리를 자주 관찰했던 언덕에 관중이라 생각하고 무심히 보아 넘겼던 고사리가 관중이 아니라 참나도히초미라는 것을 가까이에 다가서 살펴보고서야 알게 되었다. 의심하지 않으면 발견도 없음을 새삼 느낀다.  참나도히초미는 면마과 나도히초미속으로 지리개관중(Polystichum ovatopaleaceum)의 변종(var. coraiense)이다.    2017. 04. 02.  남한산성 계곡             ● 참나도히초미 Polystichum ovatopaleaceum var. coraiense  ↘  고사리목 관중과 나도히초미속 여러해살이풀근경은 덩이같고 잎이 더북이 나옴. 엽병은 길이 20-40㎝로서 엽축과 더불어 표면에 홈이 있으며 비늘조각이 밀생하고 엽병.. 2017. 4. 7.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비늘고사리는 난온대 식물종 가운데 가장 추운 곳까지 북상해 살아가는 내한성이 탁월한 상록 양치식물. 한겨울 중부지방에서도 산기슭에 푸른 잎이 싱싱하게 살아 있는 모습을 흔히 만날 수 있다. 동강 옆 산기슭에서 만난 비늘고사리는 겨울에는 말라 버려 보기 어려운 포자엽이 싱싱한 모습을 그대로 보여 주고 있어 이채롭다.    2017. 03. 26.  정선    어린 개체    포자엽은 급격히 좁아지는 엽신 끝에 달리며 성숙하면 말라 버려 겨울에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이것은 마르지 않고 월동한 것으로 보이는데, 특이한 경우로 보인다.       잎자루의 인편       ● 비늘고사리 Dryopteris lacera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반상록 다년초 짧고 덩어리같은 근경에서 잎이 모여나기한다. 잎은.. 2017. 3. 31.
좀나도히초미 Polystichum braunii 포자를 단 잎 그대로 푸르게 월동을 한 것으로 보이는 고사리. 관중인가 싶어 보니 상록성이 아닌 나도히초미 종류로 보인다. 참나도히초미일까 싶어 보니 포자낭군이 소우편(열편) 중륵 가까이에 붙어 있어 좀나도히초미로 동정한다. 잎몸 아랫부분이 급히 좁아지는 것도 좀나도히초미의 특징이다. 명지산 ● 좀나도히초미 Polystichum braunii ↘ 고사리목 관중과 나도히초미속(십자고사리속) 근경은 짧고 잎이 더북이 나옴. 엽병은 길이 5-25㎝로서 짙은 갈색이며 비늘조각이 밀생. 엽신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25-60㎝, 폭 7-22㎝로서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밑에서 1/3부분의 우편은 밑으로 갈수록 짧아짐. 엽축의 비늘조각은 퍼지거나 뒤로 젖혀지고 흔히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우편은 수평으로 퍼지고 피.. 2017. 3. 21.
참나도히초미 Polystichum ovatopaleaceum var. coraiense 명지산 골짜기에서 만난 참나도히초미. 잎을 보니 새잎이 아니고 월동한 듯한 모습인데, 마치 상록성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 정도이다. 국생정에서는 "울릉도 성인봉과 광릉숲에서 자란다."고 기재되어 있는데,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2017. 03. 10.  명지산              ● 참나도히초미 Polystichum ovatopaleaceum var. coraiense  ↘  고사리목 관중과 십자고사리속 여러해살이풀 근경은 덩이같고 잎이 더북이 나옴. 엽병은 길이 20-40㎝로서 엽축과 더불어 표면에 홈이 있으며 비늘조각이 밀생하고 엽병에 달린 작은 비늘조각은 길이 2-4mm이다. 엽신은 이회깃모양겹잎이며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40-100㎝, 폭 15-30㎝로서 밑부분이 좁.. 2017. 3. 21.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남부 해안과 서해안 지역 돌틈에 자라는 관중과 쇠고비속의 상록 고사리로, 쇠고비(C. fortunei)에 비해 잎이 가죽질이고 작은 잎 끝부분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종명 falcatum은 '낫 모양'이라는 뜻으로 깃조각이 낫 모양으로 생겼음을 나타낸 이름이다. 추자도 ●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 Hollyfern ↘ 고사리목 면마과 쇠고비속 상록 양치식물 근경이 짧고 굵으며 끝에서 잎이 모여나기한다. 잔뿌리가 나 있다. 근경 끝에서 잎이 모여나기한다. 엽병은 길이 15-40cm로서 밑부분에 비늘조각이 밀포하고 비늘조각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1-2cm로서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위로 갈수록 좁아져서 선형으로 된다. 잎.. 2017. 3. 12.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남부 해안과 서해안 지역 돌틈에 자라는 관중과 쇠고비속의 상록 고사리로, 쇠고비(C. fortunei)에 비해 잎이 가죽질이고 작은 잎 끝부분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종명 falcatum은 '낫 모양'이라는 뜻으로 깃조각이 낫 모양으로 생겼음을 나타낸 이름이다. 홍도 ●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 Hollyfern ↘ 고사리목 면마과 쇠고비속 상록 양치식물 근경이 짧고 굵으며 끝에서 잎이 모여나기한다. 잔뿌리가 나 있다. 근경 끝에서 잎이 모여나기한다. 엽병은 길이 15-40cm로서 밑부분에 비늘조각이 밀포하고 비늘조각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길이 1-2cm로서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위로 갈수록 좁아져서 선형으로 된다. 잎은.. 2017. 3. 5.
가는쇠고사리 Arachniodes aristata 제주도와 남해안의 일부 섬 상록수림에 자생하는 관중과 쇠고사리속의 상록 양치식물이다. 좀쇠고사리(A. sporadosora)와 가장 유사하지만 잎은 서로서로 떨어져 나고 엽신과 기부 우편은 상부를 향하여 갑자기 좁아지며, 정우편이 뚜렷한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홍도 ● 가는쇠고사리 Arachniodes aristata | East Indian hollyfern ↘ 고사리목 관중과 쇠고사리속 상록 여러해살이 양치식물 근경은 지면 가까이에서 길게 뻗으며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엽병은 앞면에 홈이 지고 길이 30-60㎝로서 비늘조각이 드문드문 달리며 밑부분과 근경에 달린 비늘조각은 길이 4-7mm, 폭 1m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엽신은 달걀모양이고 길이 20-40㎝이며 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우편은 .. 2017. 3. 4.
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hikonensis 제주도와 남부 지방의 해안과 섬 지역에서 분포하는 관중속의 상록 고사리이다. 소우편 최종 열편의 가장자리가 이 모양 톱니아 있고 잎자루 밑부분 비늘조각이 흑색인 점에서 다른 족제비고사리류와 구분된다. 비늘조각 밑부분이 주머니처럼 부풀고, 잎은 다소 상부에서 갑자기 좁아지며 맨 아래 깃조각의 바깥쪽 소우편의 길이가 인접한 소우편보다 훨씬 크다. 홍도 ● 큰족제비고사리 Dryopteris hikonensis ↘ 고사리목 관중과 관중속 상록 양치식물 근경은 굵고 짧으며 끝에 잎이 모여나기한다. 엽병은 길이 20-50㎝로서 비늘조각이 밀생하고 비늘조각은 흑갈색 또는 흑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실처럼 길며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지고 짧아진다. 엽신은 길이 30-60㎝,폭 20-40㎝로서 넓은 달걀모양이고 윗부분이 갑자.. 2017.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