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숙성20

동티베트(14) 샤허, 쇄불대에서 바라본 라부렁스 사원 ● 2014년 7월 29일 화요일 오후. 샤허 오후 세 시쯤 샤허에 도착. 배낭을 숙소(616호)에 내려 놓고 네 시쯤 라부렁스로 향한다. 그저께 미처 보지 못한 라부렁스 사원 전경을 본 다음 각자 자유롭게 사원을 돌아보고 하룻밤을 머물게 된다. 사원까지는 도보로 이동, 입구에서 수박을 사서 나눠 먹고 천변 도로를 따라 코라를 돈다. 마니차 회랑 바깥의 도로에는 매끈한 바닥돌을 깔아 놓은 바람에 차량들이 달릴 때마다 먼지가 심하게 인다. 그냥 흙길로 놓아 두는 게 좋았을 것을 사원을 지나치게 현대화하면서 먼지가 날리는 사원이 되었다. 코라를 돌며 내내 마니차를 돌린다. 어느 사이 우리가 티베탄 정서에 젖어들었나 싶다. 사원 복원 공사를 벌이는 현장. 출입문의 정교한 목조 조각 무슨 건물인지... 안내 팸.. 2014. 10. 15.
동티베트(13) 허쭤, 시내를 내려다보는 그림 같은 천장터 ● 2014년 7월 29일 화요일 오후, 허쭤 천장터(天葬垈) 허쭤에 도착하자마자 '국색천품(國色川品)이란 식당에 다시 들러 점심을 먹는다. 그저께 이곳에서 밀라레빠 불각을 돌아본 다음에 점심을 먹었던 곳. 그 땐 가지 요리와 김치콩나물국처럼 시원하던 탕이 인상 깊었는데, 오늘은 이 얇게 저민 돼지고기 요리가 입맛을 개운하게 만든다. 식사 후 그저께 멀리서 바라보았던 허쭤의 천장터를 한 바퀴 돌아보기로 한다. 마을과 멀리 떨어진 산 속에 있는 랑무스의 천장터와는 달리, 이곳의 천장터는 높지 않은 구릉에 자리잡고 9만 인구가 살고 있는 간난티베트자치주 정부 소재지 허쭤 시내를 굽어보고 있다. 입구에서부터 양들이 풀을 뜯는 목가적 풍경... 돌아보니 허쭤 시내가 그림처럼 앉아 있다. 오토바이가 달리고 자동차.. 2014. 10. 14.
동티베트(12) 간난초원의 최대 호수, 가하이(尕海) ● 2014년 7월 29일 화요일 오전, 가하이(尕海) 호수 아침부터 교통이 번잡할지 모른다고 경모 씨가 일찍 출발하자고 하여 6시 30분에 일어나 7시 아침식사를 한다. 숭늉 같은 멀건 쌀죽에 삶은 달걀과 옥수수만두를 간단히 먹고 7시 반에 호텔을 출발한다. 오늘은 허쭤의 천장터를 보고 샤허로 돌아가 하루를 머물게 된다. 랑무스를 벗어나는 길, 카하이 호수가 있는 분지의 초원을 향하여 좁은 골짜기를 따라 오른다. 랑무스가 있는 이곳은 장강(長江) 수계로 골짜기의 모든 물은 홍성향으로 흐르는 백룡강(白龍江)을 이룬다. 모두 황하 수계인 이번 여행에서 이곳 랑무스만 유일한 장강 수계에 속한다. 이른 아침 골짜기의 초원은 더욱 싱그럽고 아름답다. 장강 수계를 벗어나 분지로 들어서는 데는 시간이 얼마 걸리지 .. 2014. 10. 13.
랑무스의 풀꽃 (5) 황추탁오, 전엽탁오, 천감화융초, 장모풍모국, 성상설토자 사천성 랑무스 건너편 산 아래 언덕에서 만난 풀꽃들 ● 향청(香青)속. 담황향청(淡黄香青) Anaphalis flavescens) ? ● 황추탁오(黄帚橐吾) Ligularia virgaurea 갯취와 아주 닮은 꽃이다. ● 전엽탁오(箭叶橐吾) Ligularia sagitta ● 천감화융초(川甘火绒草) / Leontopodium ch.. 2014. 10. 13.
랑무스의 풀꽃 (4) 사천마선고, 관상장화마선고, 중국마선고, 남백용담, 삼맥매화초, 자망용담 사천성 랑무스(郞木寺) 건너편 산언덕에서 만난 풀꽃들 ● 사천마선고(四川马先蒿, 사천송이풀) / Pedicularis szetschuanica ● 범꼬리=권삼(拳参) Polygonum bistorta ● 향청(香青)속. 담황향청(淡黄香青) Anaphalis flavescens ? 우리의 다북떡쑥이나 구름떡쑥과 유사종이다. ● 관상장.. 2014. 10. 13.
랑무스의 풀꽃 (3) 중국송이풀, 긴꽃송이풀, 사천송이풀, 앉은좁쌀풀(단선소미초) 감숙성 랑무스 뒷산 천장터 주변에서 만난 현삼과의 풀꽃들이다. ● 중국송이풀 = 중국마선고(中国马先蒿) / Pedicularis chinensis ● 긴꽃송이풀 = 장화마선고(长花马先蒿) / Pedicularis longiflora ● 사천송이풀(四川马先蒿) / Pedicularis szetschuanica 감숙송이풀에 비해 꽃차례가 풍.. 2014. 10. 12.
랑무스의 풀꽃 (2) 자망용담, 수염용담(편뢰), 후모화, 타원잎닻꽃 감숙성 랑무스 뒷산 천장터 주변 구릉에서 만난 용담과의 풀꽃들이다. ● 자망용담(刺芒龙胆) / Gentiana aristata ● 수염용담 = 편뢰(扁蕾) / Gentianopsis paludosa 우리 나라에서는 백두산 지역에 분포하는 용담과의 풀로 수염용담이라 하며, 중국명은 편뢰... ● 후모화(喉毛花) / Comastom.. 2014. 10. 12.
랑무스의 풀꽃 (1) 피뿌리풀, 황금, 노예조두, 열엽독활, 녹화매화초, 향청, 장모풍모국, 조초 감숙성 랑무스 뒷산 천장터 주변에서 만난 야생 풀꽃들이다. ● 피뿌리풀 =낭독(狼毒) Stellera chamaejasme 서향과의 풀. 낭독(狼毒)이라 통칭하며 내몽고에서는 단장초(断肠草), 하북성에서는 발몽복(拔萝卜), 연자화(燕子花), 청해성에서는 만두화(馒头花)라 부른다. ● 황.. 2014. 10. 11.
동티베트(11) 학승들의 사원, 사천성 랑무스 ● 2014년 7월 28일 월요일 오후, 사천성 랑무스 큰불이 일어나 백성들을 구하려던 용이 두 눈에서 흘린 눈물이라는 백룡강은 힘차게 북쪽을 향해 흐른다. 이렇게 흘러내린 물은 사천 랑무스 앞을 지나 감숙 랑무스 앞에서 동류하면서 마침내 장강의 물줄기로 합류할 것이다. 돌아서서 바라본 나모대협곡 입구 사원 쪽으로 내려가다 보니 원형의 깊고 커다란 연못이 나타는데, '용담(龍潭)'이란 이름이 붙어 있다. 백룡강의 전설에서 유래한 이름인 듯하다. 그리고 용담과 백룡강 사이로 높이 솟은 언덕에는 삼나무로 보이는 숲이 솟아 있는데, 바로 얼마 전까지 학승들이 시끄럽게 흔히 '변경(辯經)'이라고 말하는 경전 교리 토론('체니')를 벌인 곳('최라')이다. 최라를 여는 이 숲을 '변경림(辯經林)', 또는 '문사림.. 2014. 10. 11.
동티베트(10) 나모대협곡, 랑무스의 유래가 서린 전설의 계곡 ● 2014년 7월 28일 월요일 오후, 사천성 랑무스와 나모대협곡 점심 식사를 마친 뒤 호텔 로비에서 만나 사천성 랑무스를 돌아보기로 하였는데, 약속 시간이 지나도록 사람들이 오지 않는다. 지영 샘은 천장터에서 일행과 따로 떨어진 뒤 점심도 못 먹은 채로 왔다. 오후의 일정은 현옥, 예주, 지영 세 분과 함께 하게 되었다. 뜨거운 해가 천중에 솟아 있는 한낮이라 사원 앞 언덕을 지나 초원 구경을 하며 랑무스대협곡을 먼저 돌아보고, 오후 늦은 시간에 사원을 돌아보기로 한다. 멀리 우뚝 솟은 냔칭산(念靑山, 4100m)과 화카이산(华盖山, 4200m)에 벋어 내려온 초원의 구릉을 배경으로 백룡강 계곡 언덕에 자리잡은 사천 랑무스 사원은 승사(僧舍)에 둘러 싸여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평화로운 풍경이 되어 .. 2014. 10. 9.
동티베트(9) 화려한 금빛 사원, 감숙성 랑무스 ● 2014년 7월 28일 월요일 오전, 감숙성 랑무스(郞木寺) 처음 본 천장터는 내 영혼을 오래도록 아리게 했다. 나는 왜 천장에 담긴 그 성스러운 의미에 마음이 움직이지 못하고 신체의 절단이라는 시각적 끔직성에만 전율하는 것일까. 게다가 나보다 두어 달 전에 다녀간 어느 블로거가 올린, 제대로 해체되지 않고 버려진 섬뜩한 인골 사진을 본 다음에 마치 영혼이 망치에 얻어맞은 듯한 둔중한 아픔이 오래도록 지속되었다. 마음의 무거움을 달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멀리 평화로운 풍광을 바라보는 것! 그나마 천장터 주변에 흐드러지게 핀 야생화들을 만나는 기쁨에 이런 전율을 진정한 것은 참으로 다행이었다. 천장터를 내려오면서 나는 자꾸만 건너편 사천 랑무스와 그 뒤로 대협곡을 거느린 '중국의 알프스'를 바라보았다... 2014. 10. 7.
동티베트(8) 눈 시리게 푸른 하늘 아래, 랑무스 천장터 ● 2014년 7월 28일 월요일 오전, 랑무스(郞木寺) 천장터 자고 일어난 새벽, 창을 여니 서늘한 공기가 기분 좋게 얼굴을 어루만지며 매캐한 연기가 코끝을 간질인다. 민가 여기저기서 아침 짓는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나무를 구하기가 쉽지 않아 아마도 말린 소똥을 연료로 쓰겠지... 하늘은 눈이 시리게 푸르고, 투명한 햇살은 사원과 바위봉우리와 초원을 따뜻이 어루만지고 있다. 아침 식사(쌀죽, 짠지, 만두, 삶은 달걀)를 마치고 천장터(天葬垈)로 출발한다. 주검을 독수리에게 먹게 하는 티베트 사람들! 티베트 사람들은 새에게 몸을 먹힘으로써 땅, 물, 불, 바람이라는 우주의 근원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믿는다. '신의 사자'라고 믿는 독수리에게 육신을 보시하는 이 장례의식을, 그래서 조장(鳥葬)이라 일컫.. 2014. 10. 6.
동티베트(7) '중국의 알프스', 랑무스! ● 2014년 7월 27일 일요일 오후, 랑무스(郞木寺) 저녁 6시. 거세게 내리는 비를 뚫고 랑무스에 도착하였는데, 숙소에 이르자 거짓말처럼 비는 그치고 점차 하늘이 맑게 개기 시작한다. 숙소에 들어가 짐을 내려 놓고 창 밖을 내다보니 어느 새 햇살이 환하게 빛나고 하늘은 파란 얼굴을 드러내고 있다. 사천 랑무스 사원이 한눈에 들어온다. 씻은 듯 투명한 풍경! 사천 랑무스의 중심 전각, 문사학원(聞思學院) 사찰 주변으로 보이는 집들은 전부 승려들이 거주하는 곳! 미륵해탈탑. 오래된 목제탑이다. 저녁 식사 시간까지 한 시간이나 남아 있어 그냥 시간을 보내기 아까워 룸메이트 홍식 씨와 주변 산책을 나섰다. 숙소에서 바라보았던 사원 뒷산 언덕 쪽으로 올라가 보기로 한다. 사원 뒤 초원의 언덕으로 올라서자마자.. 2014. 10. 5.
동티베트(6) 허쭤에서 랑무스 가는 길 ● 2014년 7월 27일 일요일 오후, 허쭤에서 랑무스 가는 길 점심 식사 후 랑무스를 향하여 출발. 허쭤에서 랑무스까지는 162km. 구글맵에서는 자동차로 3시간 40분 걸린다고 나온다. 시속 40km 정도로 달릴 수 있다는 이야기다. 구글맵으로 오늘의 여정을 확인해 본다. 오전에 샤허에서 허쭤까지 올 때에는 하천을 끼고 들판이 제법 넓게 보이기도 했지만, 허쭤에서부터는 경작지가 보이지 않고 오로지 초원만 펼쳐질 뿐이다. 간혹 숲을 이룬 곳이 없진 않지만 높이 솟은 산들조차 온통 융단을 깔아놓은 듯한 초원이다. 산의 능선에도, 낮은 평원에도, 곳곳에 유목민들의 여름 천막이 자리잡고 주변에는 오색의 타르촉이 만국기처럼 펄럭이고 있다. 유목민들의 땅, 티베트인들의 삶의 터전에 들어섰다는 것을 실감한다. .. 2014. 10. 3.
허쭤의 풀꽃들 (1) 감숙송이풀, 노예조두, 중국물망초, 다후리카용담, 하지초, 점모서미초, 밀화향유 다음은 허쭤 밀라레빠불각 뒤편 산언덕을 돌아 내려오면서 만난 풀꽃들이다. ● 등대풀 = 택칠(泽漆) Euphorbia helioscopia ● 박삭초(薄蒴草) Lepyrodiclis holosteoides 석죽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중국 중서부 고산지에서부터 이란, 코카서스, 터키에 이르는 고산지역에 분포하는 박삭초속의 유일한 종이다. ● 감숙송이풀(甘肃马先蒿), Pedicularis kansuensis 중국에서는 송이풀을 마선호(马先蒿)라 부른다. 감숙성 고원지대 곳곳에 꽃밭을 이루고 있는데, 구름송이풀과 거의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 长柱沙参 Adenophora stenanthina 줄모양의 잎을 가진 잔대 ● 노예조두(露蕊乌头) = 택란(泽兰), 罗贴巴 Aconitum gymnandrum 투구.. 2014.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