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덩굴별꽃 어린풀 명지산 계곡 ● 덩굴별꽃 어린풀 Cucumbalus baccifer var. japonicus / 석죽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덩굴줄기가 길이 1.7m 정도로 벋으며 가는 줄기에 꼬불꼬불한 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길이 2∼5cm, 나비 7∼20mm.. 2016. 4. 19.
애기송이풀 Pedicularis ishidoyana 가평 ● 애기송이풀 Pedicularis ishidoyana /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가 없고 전체에 잔털이 다소 있다. 잎은 뿌리 끝에서 뭉쳐나고 1회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다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0~15㎝이고 전체 길이는 25~30㎝이다. 꽃은 5~6.. 2016. 4. 19.
돌단풍 Mukdenia rosii 4월의 계곡은 흰 꽃을 피운 돌단풍이 한창이다. 계곡 바위틈에서 단풍잎 닮은 잎을 달고 자란다고 해서 돌단풍이라 부른다. 명지산 계곡 ● 돌단풍 Mukdenia rosii / 범의귀과 돌단풍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굵고 줄기는 짧고 비늘조각 모양의 막질로 된 포가 붙는다. 잎은 뿌리에서 모.. 2016. 4. 19.
자주괴불주머니 Corydalis incisa ● 자주괴불주머니 Corydalis incisa / 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풀 긴 뿌리 끝에서 여러 대가 나와서 높이 20∼50cm까지 자라고 능선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작은잎이 3장씩 2번 나오며 작은잎은 3장씩 나온 잎과 비슷하다. 줄기에서 나온 잎도 뿌리에서 나.. 2016. 4. 18.
산자고(까치무릇) Tulipa edulis 까치무릇이라는 정다운 우리 이름을 두고 표준명은 산자고로 되어 있다. 튤립속에 속하는 유일한 자생 백합과 여러해살이풀로 중부 이남의 양지바른 산과 들에서 이른봄 붉은 무늬가 있는 흰 꽃을 피운다. 비슷한 시기에 꽃을 피우는 중의무릇처럼 가늘고 긴 꽃줄기 끝에 피는 꽃은 대개.. 2016. 4. 18.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높이는 10∼20cm로 자라며 어긋나게 달리는 잎자루는 길고 꽃은 단성화로 암수한그루이고 4월에 핀다. 수꽃은 연두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암꽃은 연한 붉은색으로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물통이 종류와는 달리 꽃의 모양이 육안으로도 관찰되는 정도의 크기와 모습을 가졌다. 꽃잎은 없지만 수꽃은 긴 꽃대 끝에 다섯 개의 수술이 태엽처럼 말려 있다 별 모양으로 펼쳐지면서 꽃가루를 멀리 뿌리고, 암꽃은 잎겨드랑이 짧은 꽃대에 달린다. 튕긴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다른 꽃의 암술에 날아가서 가루받이가 된다. 제주도와 전남 백양산, 전북 선운산 등 산지 계곡부에 자라는 쐐기풀과 나도물통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16. 04. 09.  전북 고창                         .. 2016. 4. 18.
아기장구채 어린풀 Melandryum apricum 선운산 ● 애기장구채 Melandryum apricum /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전초에 회색 잔털이 밀생하며 줄기는 높이 20~50㎝이다. 잎은 마주나고 선상 피침형,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으로 길이 2~8㎝, 너비 2~15mm이며 끝은 뾰족하다. 꽃은 5~8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며 2개씩 갈라지는 취산화서에 달린다. 포.. 2016. 4. 18.
보춘화 Cymbidium goeringii '봄소식을 전하는 난초'라는 뜻의 보춘화(報春花). 사람들은 보통 '춘란(春蘭)'이라 부른다.  선운사 참당암을 들렀다 내려오는 계곡에서 딱 한 송이 꽃을 피운 이 보춘화를 만나 한동안 놀았다. 고요한 숲에는 이 난초와 나 외에는 아무도 없는 듯... 그 모습이 그 모습인데도 자꾸만 셔터를 눌러대며 시간을 보낸 흔적...     2016. 04. 09.  고창      ● 보춘화(報春花) Cymbidium goeringii  ↘  난초목 난초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높이 20~24cm로 산지 건조한 숲에서 자란다. 육질인 굵은 뿌리는 수염같이 벋고 흰색이다. 공 모양의 비늘줄기는 밀접하게 옆으로 이어지고 윗부분이 시든 잎의 밑동으로 싸인다. 잎은 모여나고 상록이며 길이 20~50cm, 나비 6~10mm의 .. 2016. 4. 15.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물통이와 닮았다고 해서 나도물통이라 부르며 물통이속(Pilea)과 다른 나도물통이속(Nanocnide) 2종 중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제주도와 전남북의 그늘진 산골짜기에 자생한다. 물통이 종류와는 달리 꽃의 모양이 육안으로도 관찰되는 정도의 크기와 모습을 가졌다. 꽃잎은 없지만 수꽃은 긴 꽃대 끝에 다섯 개의 수술이 태엽처럼 말려 있다 별 모양으로 펼쳐지면서 꽃가루를 멀리 뿌리고, 암꽃은 잎겨드랑이 짧은 꽃대에 달린다. 튕긴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다른 꽃의 암술에 날아가서 가루받이가 된다. 수꽃의 꽃싸개는 5갈래이고 암꽃의 꽃싸개는 4갈래라고 하는데, 암꽃은 아직 성숙하지 못한 듯 관찰할 수 없었다.    2016. 04. 09.  선운산             수꽃은 수술이 5개로, 말려 있던 수술이 펼.. 2016. 4. 14.
천일담배풀 어린풀 선운산 어느 계곡에서 만난 어린 풀의 로제트. 곰보배추(뱀차즈기)처럼 잎이 쪼글쪼글한데 두꺼운 잎에는 톱니는 없고 털이 밀생하고 있다. 그러니 곰보배추도 아니고 차즈기라는 이름이 붙은 종들과도 다르다.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은 담배풀인데, 이런 모양의 담배풀은 처음이다. 야생.. 2016. 4. 13.
연복초 Adoxa moschatellina 연복초(連福草)는 연복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이름의 유래는 복수초와 함께 자라는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도 하고 복수초가 지고난 뒤 이어서 꽃이 피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연복초 꽃은 독특하다. 하나의 꽃대 위에 연두빛 꽃을 다섯 송이씩 피우는데, 하늘을 향해 피는 하나의 꽃.. 2016. 4. 12.
개족도리풀 Asarum maculatum 족도리풀과 달리 잎에 무늬가 있어서 개족도리풀이라고 한다. 비슷한 무늬가 있는 무늬족도리풀은 녹색을 띤 자주색의 꽃에 점박이 무늬가 있어서 개족도리풀과 구별된다. 우리 나라 특산식물로 제주 한라산과 남부지방의 산지 숲속에서 자란다.     2016. 04. 09.  선운산          ● 개족도리풀 Asarum maculatum  ↘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비스듬히 벋으며 마디에서 흰색 뿌리가 난다. 뿌리줄기 윗부분에는 달걀 모양의 적갈색 비늘조각이 1∼3개 붙는다. 잎은 심장 모양으로 1∼2개 나오고 털이 없으며 길이 8cm, 나비 7cm 정도이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흰색 무늬가 불규칙하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뒷면에 털이 약간 나는 것도 있고 잎자루.. 2016. 4. 12.
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adoxoides 개구리에 발톱이 있을까마는 개구리발톱이라는 재미있는 이름의 풀이 꽃을 피웠다. 작을 뿐이지만 잎과 꽃 모양은 매발톱을 빼닮았는데, 학명을 보면 매발톱속(Aquilegia)을 반쯤 닮았다는 뜻의 Semiaquilegia라는 이름을 붙여 놓았다. 선운사 계곡 ● 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adoxoides / 미나리아.. 2016. 4. 12.
보춘화(춘란) Cymbidium goeringii 한란에 비해서 잎은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어 만지면 까칠까칠하며, 꽃은 보통 1개씩 피므로 구분된다. 이른 봄에 꽃이 피어 봄을 알리는 꽃’이라는 뜻의 보춘화(報春花)라는 이름이 붙었다.  강원 이남에 자생하며,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2016. 04. 09.  고창      ● 보춘화(報春花) Cymbidium goeringii / 난초과 보춘화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높이 20~24cm로 산지 건조한 숲에서 자란다. 육질인 굵은 뿌리는 수염같이 벋고 흰색이다. 공 모양의 비늘줄기는 밀접하게 옆으로 이어지고 윗부분이 시든 잎의 밑동으로 싸인다. 잎은 모여나고 상록이며 길이 20~50cm, 나비 6~10mm의 줄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잎집은 잎 밑부분에 있고 나비.. 2016. 4. 12.
미치광이풀 Scopolia japonica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부 이북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독성이 강한 식물로 사람이 먹으면 미쳐 버린다고 해서 미치광이풀이라 부른다. 광대작약, 초우엉이라고도 하며 한방에서는 낭탕이라 하여 약용한다. 산림청 지정 희귀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외국 반출 승인 대상.. 2016.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