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넓은잎외잎쑥 ▶ 남한산 넓은잎외잎쑥 Artemisia stolonifer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상부에서 짧은 가지로 갈 라지며 땅속줄기가 사방으로 뻗으면서 퍼져 나가고, 처음에는 식물체가 거미줄 같은 털로 덮인다. 높이 50∼100cm이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쯤 되면 사.. 2008. 8. 2. 옥잠난초(구름나리란) 열매 좀 늦은 계절에 만난 탓으로 옥잠난초는 꽃이 지고 곤봉 모양의 열매가 성숙하고 있는 모습이다. 옥잠난초는 입술꽃잎이 뒤로 급하게 구부러지고 끝이 보통 자른 것처럼 납작한데, 유사한 나리난초는 입술꽃잎이 둥근 난형으로 더욱 크고 끝이 납작하게 되지 않는 점으로 구별된다. 2008. 07. 13. 남한산성 ● 옥잠난초 Liparis kumokiri ↘ 난초과 나리난초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2개가 전년도의 줄기 옆에서 나오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5-12㎝, 나비 2.5-5㎝로서 가장자리에 주름이 지고 밑부분이 엽병의 날개처럼 되어 서로 마주 안는다. 높이 20-31cm이다. 구경은 지름 1~1.5cm이다. 위인경(僞鱗莖)은 난상 구형이며 흔히 지상에 나와있고 .. 2008. 8. 2. 파리풀 ▶ 남한산 파리풀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파리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높이 50∼70cm이다. 포기 전체에 털이 나며 줄기가 곧게 서고 줄기의 마디 바로 윗부분이 특히 굵어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7∼9cm, 나비 4∼7cm로서 잎자.. 2008. 8. 2. 탑꽃속 억센 털이 난 풀 => 두메층층이(?) 양지쪽에는 늘 눈에 익은 층층이꽃이 흔하게 보이는데, 골짜기쪽 그늘에는 꽃색이 훨씬 맑고 꽃부리가 큰 층층이꽃 닮은 꽃이 피어 있다. 아무리 봐도 두 종은 다르다. 모가 둔한 줄기와 억센 털, 예두예저인 잎모양이나 등이 남한 땅에서는 보기 어려운 털향유를 연상시키는데 털향유에 비해 가지가 없고 꽃이 훨씬 크다. 특징을 정리해 보면 첫째로 전초가 녹색이고, 둘째로 줄기와 잎에 털이 밀생하고, 셋째로 근처에 있는 층층이꽃에 비해 전초가 크고 꽃이 훨씬 크며, 넷째로 꽃차례가 줄기 위쪽에 몰려 있다. 이런 특징을 가진 층층이속 자생종이라면 두메층층이가 아닐까? 아직 한번도 만나보지 못한 종이고, 인터넷으로 검색되는 자료들도 제각각이라 일단 추정으로 정리해둔다. 남한산 .. 2008. 8. 2. 나도잠자리란 Tulotis ussuriensis 남한산 계곡 활엽수 그늘 ● 나도잠자리란 Tulotis ussuriensis /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다년초로 뿌리는 길고 약간 굵어지며 그중 1개에서 눈이 생기고 줄기는 섬세하며 높이 15~35㎝이다. 잎은 호생하고 하부의 2개는 크며 좁은 장타원형 또는 넓은 도피침형으로 길이 5~15㎝, 너비 1~3㎝이고 끝.. 2008. 8. 2. 긴제비꿀 줄기에서 가지가 나오고 가지 끝에 달린 잎은 세 갈래로 갈라지는데 두 잎은 짧고 가운데 잎은 길쭉하다. 그 잎의 겨드랑이에 꽃이 달린다. 줄기에서 나온 가지가 제비꿀과는 달리 두드러지게 길어 보인다. 제비꿀의 꽃은 대개 5갈래로 갈라지지만 아래의 꽃은 4갈래로 갈라진 점이 특이하다. 서울 대모산 ● 긴제비꿀 Thesium refractum | Long-leaf thesium ↘ 단향목 단향과 제비꿀속의 반기생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이다. 다른 식물의 뿌리에 기생한다. 보통 여러 대가 나오며 포기 전체에 털이 없고 흰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며 길이 2∼5㎝, 나비 1∼3㎜로서 윗부분은 2∼3갈래로 완전히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빛깔은 흰빛이 도는 녹색이.. 2008. 7. 28. 방울비짜루 암꽃 자세히 보기 암수딴그루인 방울비짜루의 암꽃은 긴 대롱 모양의 수꽃과 달리 쌀알형으로 둥글다. 꽃이 피었을 때 암술머리가 화관 밖으로 살짝 드러나 보인다. ▶ 대모산 암꽃 가득 핀 방울비짜루 암그루 긴 대롱 모양의 수꽃과 달리 화관이 짧아 쌀알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암술머리가 화관 밖으로 살짝 드러.. 2008. 7. 28. 방울비짜루 수꽃 자세히 보기 방울비짜루 암꽃 화관이 쌀알 모양인 데 비하여 수꽃은 긴 대롱 모양이어서 맨눈으로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 대모산 ▶ 방울비짜루 수꽃 그루 전초 => http://blog.daum.net/kheenn/15203954 ▶ 방울비짜루 암꽃 자세히 보기 => http://blog.daum.net/kheenn/15204146 2008. 7. 28. 방울비짜루 수꽃 그루 맥문동과는 달리 방울비짜루는 암수딴그루인 백합과 여러해살이풀이다. 수그루에 피는 수꽃은 화관이 암꽃에 비해 길쭉한 모습을 하고 있어 맨눈으로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수꽃 그루이니 꽃만 화려할 뿐 꽃이 지고 나면 열매가 달리지 않는 쓸쓸한 모습이 된다. ▶ 대모산 양지바른 언덕 ▶ 방울비.. 2008. 7. 28. 솔나물 ▶ 대모산 풀밭 언덕 솔나물 Galium verum var. asiaticum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풀 큰솔나물·송엽초·황미화·봉자채라고도 한다. 들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70∼100cm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8∼10개씩 돌려나고 줄 모양이며 뒷면에는 마디·꽃이.. 2008. 7. 28. 우엉꽃, 주홍날개꽃매미 약충과 성충 ▶ 대모산 기슭 우엉꽃 주홍날개꽃매미 약충 중국에서 들어와 최근 폭발적으로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는 곤충이다. 가죽나무 잎에서 사는 것을 자주 볼 수 있고, 참죽나무에서도 무더기로 관찰한 바 있다. 검은 색의 약충이 자라면 붉은 색의 벌레로 붉은 색의 벌레는 다시 분홍날개를 단 성충으로 자.. 2008. 7. 28. 노루오줌과 왕팔랑나비 ▶ 서울 대모산 노루오줌 꽃 피기 시작하는 모습 2008. 7. 28. 개별꽃 폐쇄화, 뿌리, 여름형 전초 ▶ 대모산 개별꽃 폐쇄화 꼭대기 넓은 잎 위에는 정상화 마른 화경이 둘 보이고 수분이 끝나고 달린 폐쇄화 열매가 화경이 거의 없는 모습으로 여러 개 달려 있다. 그리고 낙엽 속에 덮여 있는 마디에 달린 폐쇄화가 보인다. 위쪽 마디에도 폐쇄화를 볼 수 있는데 마디마다 여러 개의 폐쇄화가 달리는 .. 2008. 7. 28. 덩굴박주가리(Cynanchum nipponicum) ▶ 대모산 그늘진 숲속 2008. 7. 28.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서울 대모산 그늘진 숲속에는 덩굴박주가리가 산다. 덩굴박주가리는 박주가리에 비해서 전체가 많이 작은 덩굴성 풀로 제주도, 지리산 및 강원 북부에 분포한다. 습기가 많으며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도감이나 사전에서는 꽃의 색을 노란색이라고 적고 있으나, 아래에서처럼 적색인 경우가 많다. 꽃과 잎 꽃 피기 전, 덩굴 모습 곧게 서는 어린풀 ●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여러해살이 덩굴풀 길이 40∼100cm이다. 곱슬거리는 털이 약간 있고 밑부분이 곧게 서며 윗부분은 덩굴성이다. 잎은 마주나고 곧게 선 부분의 잎은 크며 막질(膜質)이고 넓은 바소꼴 또는 긴 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 끝은 길고 뾰족하며 밑부분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 2008. 7. 28. 이전 1 ··· 150 151 152 153 154 155 156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