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물봉선 Impatiens textori var. textori 남한산 ● 물봉선 Impatiens textori var. textori / 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 잎은 호생하며 넓은 피침형이고 끝은 뾰족하고 기부는 좁아져서 엽병에 이르며 엽병을 제외한 길이 6~15cm, 폭은 3~7cm로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화서의 잎은 엽병이 거의 없다. 높이가 60cm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 2008. 11. 26. 새삼 꽃 Cuscuta japonica 새삼은 실새삼에 비해 크고 억세며, 특히 줄기가 철사처럼 굵다. 실새삼이 들판이나 길가에 자라는 풀들에 기생하여 자라는 데 비해 새삼은 숲 가장자리에서 나무를 타고 오르며 기생하여 산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실새삼이나 미국실새삼과 달리 새삼은 동북아에 분포한다. 2008. 08. 31. 남한산성 ● 새삼 Cuscuta japonica ↘ 가지목 메꽃과 새삼속의 한해살이 덩굴풀양지바른 풀밭에서 다른 식물의 가지에 기생하는 덩굴성 식물이다. 숙주 식물을 감아 돌며 자라는 줄기에서 수많은 기생뿌리가 나와 숙주 식물의 피질에 침투한다. 줄기는 지름 2mm, 털이 없으며 황적색이다. 잎은 퇴화되어 비늘 같고 길이 2mm, 삼각형이다. 꽃은 8-10월에 연한 황백색으로 .. 2008. 11. 26. 장대여뀌 Persicaria posumbu var. laxiflora 줄기 전체에 털이 없고, 검은 무늬가 있는 잎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며, 꽃차례에 연한 분홍색 꽃이 듬성하게 달린다. 남한산성 골짜기 ● 장대여뀌 Persicaria posumbu var. laxiflora / 마디풀과 여귀속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30-60cm, 전체에 털이 없으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땅에 닿.. 2008. 11. 26. 쥐깨풀 Mosla dianthera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들깨풀, 산들깨 등과 모양이 비슷하고 비슷한 시기에 핀다. 들깨풀에 비하여 잎이 작아 쥐깨풀이라 불린다. 잎자루가 상대적으로 길어 보이고 잎끝과 잎밑이 뾰족하며 톱니도 3 ~ 5쌍 정도로 적은 편이다. ↓ 남한산 ● 쥐깨풀 Mosla dianthera / 통화식물목 꿀풀과 쥐깨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20~60cm로 곧추 서고 네모지며 가지가 갈라지고 능상에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고 마디에는 흰색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형 또는 네모꼴 달걀형으로 길이 2~4cm, 나비 1~2.5cm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거의 털이 없거나 표면에 압모가 산생하고 잎자루는 길이 1~3cm이다. 꽃은 7~9월에 희거나 연붉은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 2008. 11. 26. 긴두잎갈퀴 Hedyotis diffusa var. longipes, 꽃과 열매 백운풀의 변종으로 꽃자루가 아주 짧은 백운풀에 비해 꽃자루가 열매보다 2~3배로 길다. 기재문에는 백운산과 제주도에 분포한다고 하는데, 남부지방 곳곳에서 자생하는 것이 확인된다. 아래는 태릉의 어느 학교 정원에서 바르는 것인데, 종자가 정원 조성에 사용된 조경수 흙에 묻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2008. 08. 30. 서울 긴두잎갈퀴 전초 긴두잎갈퀴의 꽃 긴두잎갈퀴 열매 ● 긴두잎갈퀴 Hedyotis diffusa var. longipes ↘ 용담목 꼭두서니과 수염치자풀속 한해살이풀높이 10-30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거나 곧추선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양끝에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지만 깔깔하며 길이 1-3.5cm, 폭 1.5-3mm로서 주맥.. 2008. 11. 25. 영아자 ※ 공주 마곡사 계곡 영아자 Asyneuma japonicum (Miq.) Briq.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장란형으로 길이 5~12cm, 나비 2.5~4cm이며 양끝이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하부의 잎은 엽병이 있고 중부의 것은 기부에 날개가 있는 짧은 자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소형으로.. 2008. 11. 23. 큰쐐기풀 Girardinia cuspidata 큰쐐기풀은 중부 이북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쐐기풀과 비슷하지만 줄기와 잎이 훨씬 크고 잎이 마주나는 쐐기풀과 달리 잎이 어긋난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분포지가 많지 않은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이다. 모시풀과 마찬가지로 줄기 섬유는 방직 원료로 쓰일 수 있다. 2008. 08. 24. 공주 마곡사 계곡 ● 큰쐐기풀 Girardinia cuspidata | cuspidate girardinia ↘ 쐐기풀목 쐐기풀과 큰쐐기풀속의 여러해살이풀25~80cm 높이로 자라며 줄기에 가시털(刺毛)이 성글게 있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형 또는 원형에 가깝고 잎끝은 꼬리 모양이고 잎밑은 둥글거나 편평하며 가장자리에 결각상 톱니가 있고 톱니 끝이 뾰족하.. 2008. 11. 23. 단풍마 Dioscorea quinqueloba 마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잎에 털이 없고 잎 옆쪽 갈래는 둥글거나 둔하며, 잎자루 아래에 2개의 돌기가 있다. 다른 마종류에 비해 꽃이 황색으로 화려하다. 중부지방에서는 보이지 않고 남부지방 해안 가까운 산지에서 종종 만날 수 있다. 2008. 08. 23. 군산 선유도 암수딴그루로 수꽃이 핀 수 그루다. 다른 마 종류에 비해 꽃이 황색으로 화려하다. ● 단풍마 Dioscorea quinqueloba | maple-leaf mountain yam / 백합목 마과 마속 여러해살이 덩굴풀줄기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물체에 감기면서 길게 뻗는다. 돌기같은 털이 있고,뿌리는 굵으며 옆으로 자란다. 긴 잎자루의 기부에 1쌍의 작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폭은 4-10cm이며.. 2008. 11. 23. 눈비수리 Lespedeza cuneata var. serpens ? 군산 선유도 해안에서 만난 비수리는 줄기가 곧게 서는 비수리와는 달리 한쪽으로 누워 있는 모습이다. 또 하나 눈에 띄는 특징은 보랏빛 무늬가 기판 안쪽에 두 줄로 나 있고 끝부분에도 있는 점. 혹시 비수리의 변종으로 온산 앞바다 목도에 자생하다 사라졌다고 하는 눈비수리와 같은 .. 2008. 11. 23. 털도깨비바늘 Bidens biternata 도깨비바늘의 꽃잎이 1~3개라면 털도깨비바늘은 꽃잎 5개를 유지한다. 꽃잎이 아예 없는 것을 울산도깨비바늘이라 하며 꽃잎이 흰 흰도깨비바늘은 그 변종이다. 군산 선유도 경남 합천 ● 털도깨비바늘 Bidens biternata ↘ 초롱꽃목 국화과 도깨비바늘속 한해살이풀 잎은 대생하고 중앙부의 잎은 길이 5㎝ 정도의 엽병과 더불어 길이 9-15cm로서 양면에 털이 많으며 1-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정열편은 난형이며 짧은 예첨두이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측열편은 난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때로 우상으로 중앙까지 갈라진다. 높이 30-150cm이고 원줄기는 다소 네모가 지며 굽은 잔털이 약간 있다. 노란색꽃이 핀다. 총포편은 8-10개이며 길이 3-6.5mm로서 선형 예두이고 바깥쪽 화상(花床)의 인편은 길.. 2008. 11. 23. 나문재 Suaeda glauca '갯솔나물'이라는 딴이름으로도 불리는 명아주과 나문재속의 한해살이 염생식물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고 줄 모양의 다육질 잎은 빽빽하게 어긋나며 꽃은 8-10월에 잎겨드랑이에 1-3개씩 달리며 녹색이다. 열매는 조금 납작하며 씨가 1개씩 들어 있고 화피가 남아 별 모양으로 된다. 전체에 털이 없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며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08. 08. 23. 선유도 ● 나문재 Suaeda glauca ↘ 중심자목 명아주과 나문재속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곧게 서며 가늘고 긴 가지를 치며 높이가 1m 정도이고 회백색을 띤 녹색이지만 가을에 밑 부분부터 붉은 색으로 변한다. 잎은 다닥다닥 붙어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다. 녹색이며 줄 모양으로 길이가 1∼3cm.. 2008. 11. 23. 해홍나물 Suaeda maritima 먕아주과 나문재속의 한해살이 염생식물로, 나문재와 비슷하지만 포과가 작고 꽃자루가 없으며, 3~5송이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린다. 중부 이남의 해변에 분포한다. 2008. 08. 23. 선유도 ● 해홍나물 Suaeda maritima ↘ 석죽목 명아주과 나문재속의 한해살이 염생식물잎은 호생하고, 총생하며 다육질의 좁은 선형이고 길이 1-3cm로서 끝이 뾰족하며 엽병은 없다. 털이 없으며 높이 30-50cm로서 곧게 자라고 줄기는 원주형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다육질이다.꽃은 7-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3-5송이씩 모여 달리고 녹황색이며 화병이 없고 꽃 아래 3개의 포는 막질이며 극히 소형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타원형으로서 열매가 익어도 커지지 않는다. 수술은.. 2008. 11. 23. 모래지치 Argusia sibirica 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 나라 전 해변의 모래밭에 자란다. 선유도 ● 모래지치 Argusia sibirica / 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4~10cm, 나비 7~3mm이며 끝은 둔하고 밑은 좁아져 엽병이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질이 두껍다. 줄기는 .. 2008. 11. 23. 솔장다리 Salsola collina 솔장다리는 수송나물에 비해 줄기는 직립하고 털이 다소 있으며, 잎은 선형이고 단면은 원형이며, 꽃은 긴 이삭꽃차례에 달리고, 해안과 내륙에 모두 분포하는 점이 다르다. 중부 이북의 해안 모래땅에서 자란다. 한국, 중국, 중앙아시아, 러시아 극동부, 유럽 등에 분포한다. 전초를 '저모채(猪毛菜)'라 하며 약용한다. 2008. 08. 23. 군산 선유도 ● 솔장다리 Salsola collina ↘ 명아주과 수송나물속의 한해살이풀높이가 30cm에 달하고 밑부분에서부터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라고 처음에는 연하지만 점차 딱딱해진다. 포기가 반구형을 이룬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고 육질로서 원주형이지만 굳어지면서 끝이 가시처럼 되며 길이 3cm 정도이다. 꽃.. 2008. 11. 23. 돌콩 Glycine soja 붉은 덩굴줄기의 새팥과 엉켜 있는 모습이다. 녹색 덩굴줄기와 잎자루와 긴잎을 가진 것이 돌콩이다. 군산 선유도 ● 돌콩 Glycine soja | Soybean /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길이 7-16cm로서 길며 우상(羽狀)3출복엽이며 짧은 털이 있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3-.. 2008. 11. 23. 이전 1 ···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