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038 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큰땅빈대는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유럽과 아시아에 귀화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중부와 남부 지방 하천변 고수부지 풀밭에서 자란다. ● 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20-60cm이고 원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 2006. 9. 22. 쇠비름의 씨앗 Portulaca oleracea ●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ㅣ Purslane / 중심자목 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 이른 봄에 발아하며, 다육성으로 약간 광택을 띠는 적자색이다. 지면 가까이에서 누워서 사방으로 퍼지고, 끝이 위로 향해 자라며, 전체에 털이 없다. 어긋나거나 마주나며(互生 또는 對生), 긴 타원형이다. 잎자루가 .. 2006. 9. 22.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온 몸이 털투성이에다 꽃가루가 덕지덕지 달려 있는 모습이 지저분하기만 하다. 이름도 돼지풀, 번식력도 엄청나 환경위해식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사람의 발길이 닿는 곳에 이 풀이 없는 곳이 없을 정도다. 돼지풀에는 단풍잎돼지풀, 둥근잎돼지풀이 더 있는데, 돼지풀에 비해 훨씬 대.. 2006. 9. 22. 큰낭아초 Indigofera amblyantha 큰낭아초는 중국 쓰촨 산시 허난 등 중남부가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절개지 녹화용으로 심은 것이 널리 퍼졌다. 하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아직 등재되지 않은 상태이다. 큰낭아초는 사람 키를 넘을 정도로 높게 자라고 관목상이 뚜렷하지만, 토종 낭아초는 큰낭아초에 비해 아주 작.. 2006. 9. 21. 어저귀 전초, 꽃, 열매 어저귀는 인도 원산의 아욱과 여러해살이풀이다. 섬유식물로 한때 많이 재배하였는데 들로퍼져 나간 귀화식물이며, 줄기에서 윤기가 나는 섬유를 채취하여 로프와 마대를 만들고 찌꺼기는 종이 원료로 쓴다. 중국 환인 흘승골성(오녀산성) 가는 길 이하 태릉의 마을 공터에서 어저귀 어.. 2006. 9. 21. 무당거미 Nephila clavata 여름부터 가을까지 호랑거미와 함께 큰 그물을 치는 가장 눈에 띄는 거미다. 호랑거미보다 훨씬 크고 복잡한 거미줄을 치며 거미줄은 눈에 잘 띄는 노란색을 띈다. ● 무당거미 Nephila clavata / 거미목 왕거미과의 절지동물 몸길이는 암컷이 20.0~30.0mm, 수컷이 6.0~10.0mm로 수컷이 암컷에 비해 .. 2006. 9. 21. 닭의장풀(달개비) Commelina communis 닭의장풀은 해가 뜨면 꽃이 피고 해가 지면 꽃이 진다. 나비 모양의 파란 꽃잎과 독특한 모양의 노란 꽃술이 아름다운 풀인데, 꽃잎의 모양새가 닭 벼슬을 닮은 데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한다. 민가 주변이나 들판의 공터 등에 자라는 잡초로 생명력이 뛰어난다. 맨 위쪽에 네 갈래로 갈라.. 2006. 9. 21. 명아자여뀌(큰개여뀌) Persicaria nodosa 큰개여뀌로 불렸던 명아자여뀌, 마을 주변 또는 들판의 빈터나 길가에서 흔히 무리 지어 자라는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이다. ● 큰개여뀌 Persicaria nodosa /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0.5∼1m이고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흔히 붉은빛이 돌고 마디가 굵으며 검은빛이 도.. 2006. 9. 21. 이질풀 Geranium thunbergii ● 이질풀 Geranium thunbergii /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50cm이다. 뿌리는 곧은뿌리가 없고 여러 개로 갈라지며, 줄기가 나와서 비스듬히 자라고 털이 퍼져 난다. 잎은 마주달리고 3∼5개로 갈라지며 나비 3∼7cm이고 흔히 검은 무늬가 있다. 갈래조각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 2006. 9. 21. 들깨풀 Mosla punctulata 꿀풀과 쥐깨속(Mosla)의 한해살이풀로 쥐깨풀, 산들깨풀 등과 비슷한 모습이다. 쥐깨풀(M. dianthera )에 비해서 잎은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두껍고, 잎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의 한쪽에 6-13개의 톱니가 있고, 꽃받침잎은 끝이 뾰족하므로 구분된다. 산들깨풀은 들깨풀에 비해 꽃을 받치고 있는 포엽이 크고 뚜렷한 점으로 구별된다. 2006. 09. 14. 서울 태릉 ● 들깨풀 Mosla punctulata / 통화식물목 꿀풀과 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네모지며 자줏빛이 돌며 꽃받침과 더불어 가는 털이 있다. 높이는 20∼60cm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의 바소꼴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다. 잎은 길이 2∼4cm, 나비 1∼2.5cm로서 앞면에 잔 털이 있고 뒷.. 2006. 9. 21. 벌사상자 Cnidium monnieri 사상자속(Torilis)인 사상자와는 계통이 다른 천궁속(Cnidium)의 한두해살이풀이다. 사상자에 비해 꽃차례가 훨씬 크다. 2006. 10. 03. 서울 양재천, 탄천 ● 벌사상자 Cnidium monnieri / 산형화목 산형과의 한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 속이 비어 있고, 세로로 능선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3회 깃꼴로 갈라지며, 마지막갈래조각은 나비 1∼2mm의 줄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잎자루는 밑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싸고 위로 올라가면서 잎집으로 되며, 잎몸은 작아진다. 꽃은 8월에 흰색으로 피고 복산형꽃차례에 달린다. 작은꽃자루는 15~300개 정도.(비교: 사상자는 작은 우산꽃차례의 꽃대가 5~9개다.)로서 잔털과 능선이 .. 2006. 9. 21. 사데풀 Sonchus brachyotus 지금까지 만난 사데풀들은 키가 그리 높지 않고 모두 잎가장자리가 밋밋한 것이었는데... 담장 너머 빈 공터에 핀 노란 꽃들, 꽃만 보면 사데풀인데 잎은 가시상추처럼 붉은빛이 돌고 왕고들빼기처럼 깊게 패였다. 사데풀의 또다른 이름이 왜 '거채(巨菜)'인지 비로소 깨닫는다. '커다란 .. 2006. 9. 21. 매듭풀 Kummerowia striata 2006. 09. 14 / 태릉 ● 매듭풀 Kummerowia striata /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10∼3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는 가늘고 갈라져 옆으로 자라는데 아래쪽을 향해 잔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3개의 작은잎이 모여 있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15mm, 나비 5∼8mm이며 끝이 둥글며 .. 2006. 9. 20. 가시상추의 꽃, 열매 Lactuca serriola 유럽 원산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 길가·논둑·밭둑·개울가·빈터 등에서 잘 자란다. 한국에는 1990년대 이후 수입농산물에 섞여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한반도 중부 이남의 들판에 두루 서식하며, 분포지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90% 정도는 초본층으로, 5% 정도는 관목.. 2006. 9. 20. 능조라로 부르기도 하는 둥근잎유홍초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 2006. 9. 20. 이전 1 ··· 658 659 660 661 662 663 664 ··· 7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