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038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꽃과 열매 영롱한 구슬 같은 열매가 보랏빛으로 물들어가는 한편에서 보랏빛 꽃도 피고 있다. 꽃은 아름답지만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보랏빛으로 풍성하게 달리는 열매가 아름다워 조경수로 인기가 많다. 작살나무가 잎 전체에 톱니가 있고 잎끝이 꼬리 모양으로 길게 뾰족해지고 꽃차례가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데 비해, 좀작살나무는 잎 아래쪽에 톱니가 없고 잎 윗부분이 급히 뾰족해지며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1-4mm 위쪽에 달리는 점에서 작살나무와 구별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타이완, 일본, 중국 중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4. 08. 25. 서울 2024. 08. 28. 서울 ●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 purple beautyberry,.. 2024. 9. 9. 노란대망그물버섯(밤색망그물버섯) Retiboletus ornatipes 망그물버섯속의 버섯으로,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약간 비로드상이며 올리브 암갈색에서 황색을 띤 갈색으로 변한다. 자루는 노란색으로 거의 전면에 도드라진 그물무늬가 있으며 밑동은 흰 균사가 덮여 있다. '밤색망그물버섯'이라고도 한다. 조덕현 도감에서는 밤색망그물버섯을 노란대망그물버섯과는 다른 Retiboletus retipes라는 학명을 쓰고 있는데, 북미에서 두 종이 형태학적 해부학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종이라고 한다. 참나무류 등 활엽수림의 땅에 난다. 우리나라, 일본, 북미에 분포한다. 대체로 식용 버섯으로 분류하지만 쓴 맛이 나서 먹기에 부적합한 경우도 있는 듯하다. 2024. 08. 22- 09. 06 서울 ● 노란대망그물버섯 Retiboletus ornatipes .. 2024. 9. 9. 애우산광대버섯 Amanita farinosa 오후 늦은 시각, 리기다소나무가 숲을 이룬 능선 등산로에서 몇 개체가 흩어져 난 애우산광대버섯을 만난다. 광대버섯속으로는 자실체가 작다. 갓과 자루 밑부분에 회색 분질물이 덮여 있고 턱받이는 없으며 자루 밑부분이 구근 모양인 점이 특징적이다. 여름~가을철 적송 또는 침엽수와 참나무 혼합림 지역, 특히 점토질을 선호하여 홀로 또는 흩어져 발생한다. 한국, 일본, 줄국, 북미, 호주에 분포한다. 위장관 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2024. 08. 22. 서울 ● 애우산광대버섯 Amanita farinosa | American floury amanita ↘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갓의 직경은 3~6cm이고 구형에서 편평하게 전개된다. 갓표면은 회색~갈회색.. 2024. 9. 9. 젖무덤광대버섯 Amanita eliae 자루 기부에 부숴지기 쉬운 대주머니의 잔존물도, 턱받이도 보이지 않는데, 모두 탈락한 형태로 보인다. 갓 표면에 탈락하기 쉬운 회백색 외피막 잔존물이 잔뜩 붙어 있는 있으며 자루 밑부분의 자루주머니는 연약하고 부실하며 불분명한 형태를 보인다. 독버섯으로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또는 혼합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드문 종이라는데 자주 만나진다. 2024. 08. 22. 서울 2024. 09. 09. 서울 ● 젖무덤광대버섯 Amanita eliae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8cm로 처음에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어릴 때 백색의 외피막으로 덮이나 곧 찢어져서 사마귀 반점으로 되며 쉽게 탈락한다. 균모가 완전히 펴지면.. 2024. 9. 8. 우산광대버섯 Amanita vaginata 우산 모양의 광대버섯으로 턱받이가 없고 회색~회갈색의 갓 표면은 방사상의 주름이 또렷하며, 떨어진 주름살은 흰색이고 비교적 촘촘하다. 침엽수림과 활엽수림내 땅 위에 홀로 또는 흩어져 발생한다. 식용하기도 하는데, '국립수목원 독버섯 바로 알기'에서는 독버섯으로 소개하고 있다. 2024. 08. 22. 서울 ● 우산광대버섯 Amanita vaginata | grisette, grisette amanit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갓의 직경은 5~7cm이고 난형에서 종형~반구형을 거쳐 편평하게 전개된다. 갓표면은 회색~회갈색으로 가끔 백색의 외피막 파편이 부착되며 갓 둘레에 방사상의 홈선이 있다. 주름살은 떨어진형이며 백색이고 성글다. 자루의 크기는 9~12×1~1.5cm.. 2024. 9. 8. 녹황색송편버섯(돌기가죽질구름버섯) Trametes strumosa(Coriolopsis strumosa) 갓은 소형으로 반원~조개껍질 모양이고 표면은 황록갈색으로 매끄럽고 테 무늬가 있으며 가장자리는 흰색이다. 살은 가죽질이며 관공은 흰색에서 황록색으로 변해가며 원형~다각형으로 밀도는 매우 촘촘하며 상처 시 암갈색으로 변한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구멍장이버섯과 가죽질구름버섯속(Coriolopsis)으로 '돌기가죽질구름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송편버섯속(Trametes)으로 이속되었다. 여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나뭇 가지 위에 발생한다. 한국, 일본, 호주 동부, 북미 동부와 남부, 아프리카 중남부에 분포한다. 2024. 08. 22. 서울 ● 녹황색송편버섯 Trametes strumosa ↘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갓은 지름 3~5㎝정도로 반원모양 내지는.. 2024. 9. 8. 넓적배사마귀(Hierodula patellifera) 허물 앞산 산책길에서 같은 종으로 보이는 곤충의 흔적을 거듭 만난다. 무슨 곤충인지, 사체인지, 허물인지 분간이 잘 안 되는데 곤충 전문 카페에 도움 청하니 넓적배사마귀의 허물(탈피각)이라는 답변이다. 이 허물만 남기고 어디로 갔나... 유충일 때 배를 뒤로 접어서 다니는 독특한 사마귀이다. 앞가슴이 배에 비해 짧고, 앞다리에 황색 돌기가 나 있으며, 앞날개에 하얀 반점이 1개씩 있다. 덩치가 커서 다리의 굵기나 배의 굵기는 국내 최대종인 왕사마귀와 엇비슷한데, 몸 길이가 짧아 늘씬한 왕사마귀에 비해 작아 보인다. 2024. 08. 22. 서울 ● 넓적배사마귀 Hierodula patellifera ↘ 절지동물문 곤충강 사마귀목 사마귀과 넓적배사마귀속 몸길이는 4~7cm 정도이다. .. 2024. 9. 8. 밀랍흰구멍버섯 Perenniporia minutissima 앞산 산책길에서 두 그루의 노린재나무 죽은 줄기에서 밀랍흰구멍버섯을 만난다. 제법 자라서 선반처럼 만들어진 갓인데 관공을 살피려고 붙잡으니 금방 부숴져 버린다. 깨지기 쉬운 조직이다. 갓 표면은 담갈색에서 적갈색으로 불규칙한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고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크림색이며 관공은 매우 작다. 노린재나무 등 주로 관목의 줄기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한다. 2024. 08. 19. 서울 ● 밀랍흰구멍버섯 Perenniporia minutissim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갓의 지름은 10cm 안팎으로 반원형 혹은 부채형이다. 갓 윗면은 짙은 갈색에서 녹슨 갈색을 띠며, 건조하면 크림색으로 변한다. 표면에는 불규칙한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2024. 9. 7. 좀나무싸리버섯 Artomyces pyxidatus(Clavicorona pyxidata) 아주 연하고 부드러운 육질로 산호형이며 높이 5~10cm이다. 밑부분에서 가지가 풍성하게 벌어지며 가지는 얇고 1마디에서 3~6가지를 내며 빽빽하게 반복적으로 가지를 내며 가지 끝은 잔 모양이다. 나무가지 같은 자실체 표면 전체에 자실층이 분포한다. 싸리버섯과 형태적으로 비슷해 보이나, 싸리버섯이 나팔버섯목 나팔버섯과에 속하는 데 비해 무당버섯목 솔방울털버섯과에 속해 계통적으로 아주 다른 버섯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죽은 활엽수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발생한다. 식용 가능하다. 2024. 08. 19. 서울 2024. 09. 09. 서울 ● 좀나무싸리버섯 Artomyces pyxidatus | crown coral, crown-tipped coral ↘ 무당버섯목 솔방울털버섯과.. 2024. 9. 7. 송이과 미동정, 과일향 나는 황갈색 버섯 상큼한 과일향이 나는 육질이 통통한 버섯이다.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는데도 아직 그 정체가 알려지지 않고 있다. 2024. 08. 19. 서울 2024. 09. 15. 서울 ● ↘ 높이 ○ ※ 참고 자료 : • ☞ 더 보기 => 2024. 9. 6. 황금고약버섯 Crustodontia chrysocreas 나무껍질에 황색으로 넓게 퍼져 발생하고 떨어지지 않는다. 처음에는 둥글게 작은 박막이 형성되고 중앙은 난황색∼오렌지황색이며 가장자리는 회황색을 띤다. 5% KOH액을 바르면 자주색으로 변한다. 종소명 'chrysocreas'는 황금색이라는 뜻이다. 일년 내내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배착생으로 난다. 동북아시아, 북미 동부, 남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중부 등에 분포한다. 2024. 08. 19. 서울 2024. 08. 29. 경기 구리 ● 황금고약버섯 Crustodontia chrysocreas ↘ 구멍장이버섯목 아교버섯과 고약버섯속 자실체 전체가 배착생, 나무껍질에 넓게 퍼져 발생하고 떨어지지 않는다. 길이 3~8cm, 폭 1~3cm 정도. 다소 두껍다. 자실층은 .. 2024. 9. 6. 순백파이프버섯 Henningsomyces candidus 짧은 흰 대롱 모양으로 민산호먼지와 형태나 크기가 아주 비슷하나, 시각적으로 더 딱딱해 보이고 변형균이 아닌 낙엽버섯과 버섯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육안으로는 무수한 흰 점이 가득한 모습이나 긴 종 모양에 까깝고 외벽에는 가는 털이 밀생하고 있다. 낙엽버섯과 파이프버섯속의 버섯이다. 여름~가을 숲속의 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썩은 나무에 땅 쪽을 향해서 군생한다. 한국, 일본,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브라질 남부 2024. 08. 19. 서울 2024. 08. 30. 서울 ● 순백파이프버섯 Henningsomyces candidus | white tubelet ↘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파이프버섯속 자실체는 침 모양으로 활엽수의 썩은 나무에 나며 기질의 땅 쪽에 난다. 자.. 2024. 9. 6. '초롱먼지(초롱점균)' Physarella oblonga 초산책길을 지나더 어제 초롱먼지를 만났던 곳을 살폈더니, 어제 본 깔때기 모양의 균들은 죄다 잿빛보라 털뭉치 모양의 세모체로 바뀌어 있다. 그리고 옆의 다른 자리에서 어제 보았던 것과 같은 형태의 깔때기형 균들이 또 자라나고 있다. 자루먼지과의 변형균으로 에서 쓰는 '초롱점균'이라는 신칭을 따라 '초롱먼지'로 표기한다. 2024. 08. 19. 서울 ● 초롱먼지 Physarella oblonga ↘ 변형균강 자루먼지목 자루먼지과 Physarella속 고착성 변형균으로 무수히 무리지어 발생하며 높이 3mm로 자루가 있고 포자낭은 원통형, 컵 모양, 깔때기 모양으로 지름은 최대 1mm 정도이며 직립하나 숙이기도 한다. 자낭각은 노란 비늘을 두른 적갈색 끼가 있는 녹색빛이고 위로부터 파.. 2024. 9. 4. 부채벌집겨우살이버섯(작은너도겨우살이버섯) Coltriciella pusilla 주먹사마귀버섯 주변 작은 그루터기 밑부분에서 손톱보다 더 작은 부채벌집겨우살이버섯들을 만난다. 썩어가는 재목과 비슷한 어두운 색깔이어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갓 지름 3~10mm 정도로 작은데 갓 모양은 톱니겨우살이버섯과 유사하다. '작은너도겨우살이버섯'이라고도 한다. 여름∼가을 썩은 나무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한국과 일본, 태평양 연안 지역에서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2024. 08. 19. 서울 ● 부채벌집겨우살이버섯 Coltriciella pusilla ↘ 소나무비늘버섯목 소나무비늘버섯과 벌집겨우살이버섯속자실체 전체가 암갈색 가죽질로 질기다. 갓 지름 3~10mm로 반원형 또는 부채형이며 표면은 갈색~암갈색의 동심원상의 테무늬가 있으며 방사상의 섬유상 결이 있다. 자루는 한.. 2024. 9. 4. '술장식광대버섯' Amanita vestita '술장식광대버섯'과 잿빛가루광대버섯은 형태가 유사하여 혼동하기 쉽다. 여기에 중국광대버섯이나 일본광대버섯, 회색귀신광대버섯도 유사한 면이 있어 동정에 유의해야 한다. 두 버섯은 회색 분말이 갓과 자루에 많고 갓 가장자리에 솜털상의 외피막 조각들이 잔뜩 붙어 있는 점들이 닮았다. 동남아에서 보고된 아열대성 버섯인 '술장식광대버섯'은 잿빛가루광대버섯에 비해 작고 갓 가장자리에 테두리 모양의 무늬가 또렷하다. ('술장식광대버섯'은 에서 사용한 신칭이다.) 2024. 08. 19. 서울 2024. 08. 25. 서울 ● '술장식광대버섯' Amanita vestita | leggings lepidell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갓은 너비가 20-45 mm이며, 중심이 약간.. 2024. 9. 4.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7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