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릉수목원80

범부채 꽃은 범의 무늬를 닮았고 잎은 부채꼴이니 그래서 범부채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꽃이다. 2008. 10. 23.
참당귀 2008. 10. 23.
벗풀(Sagittaria trifolia | arrowhead) 수꽃과 암꽃 수꽃 암꽃 전초 벗풀 Sagittaria trifolia | arrowhead 외떡잎식물 소생식물목 택사과의 여러해살이풀 습지나 얕은 물에서 자란다. 옆으로 뻗어가는 가지 끝에 작은 알줄기가 달린다. 잎은 밑에서 서로 감싸면서 총생하고 잎자루의 길이는 30∼60cm이다. 화살촉 모양으로 갈라진 잎몸의 양쪽 갈래조각은 길게 자.. 2008. 10. 23.
눈비녀골풀? 2008. 10. 23.
홍릉수목원의 계요등, 흰배롱나무, 참당귀, 긴담배풀, 장구밤나무, 나무수국, 산닥나무 계요등 흰배롱나무 반하 미나리 낙지다리 눈비녀골풀? 날개골풀? 좀고추나물 벗풀 방울고랭이 파란여로 범부채 참당귀 긴담배풀 뚝갈 참나물 장구밥나무 이삭여뀌 영아자 토현삼 나무수국 산닥나무 볼레괴불나무라는 라벨이 붙은 녀석 볼레괴불나무는 씨방에 털이 없다는데 이 녀석은 .. 2008. 10. 18.
빗속 수목원의 개동청, 음나무, 이노리나무, 물골풀, 모시대, 광릉갈퀴 관목원을 향해서 걸어가는데 마당 끝에 쪼란히 서 있는 나무들이 눈에 익다 했더니 개동청나무 아닌가. 일본에서 들어온 늘푸른나무인데 어느 새 열매가 매달렸다. 개동청나무 열매를 찍고 있는데 김쌤께서 저~기에 핀 흰 꽃이 뭐냐고 관목 덤불 위를 가리킨다. ㅎㅎ 배꼽꽃 계요등이 피.. 2008. 7. 25.
큰조롱, 여로, 장구밥나무, 토현삼, 시호, 여우오줌 꽃 피는 홍릉수목원 토요일. 날씨가 고르지 못하여 해가 쨍쨍 내리쬐다가도 금방 어두운 구름이 덮기도 한다. 퇴근하다가 발길을 바로 홍릉으로 돌린다. 새비나무 꽃, 큰조롱 꽃 등 확인하고 싶은 꽃이 많다. 제일 먼저 꽃이 피는 줄도 모르기 십상인 댑싸리 꽃을 살피는 것으로 시작한다. 하도 '다북'하게 자.. 2008. 7. 25.
홍릉수목원의 '꽃말발도리' '꽃말발도리'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데 아마도 만첩빈도리의 딴이름이거나 잘못된 이름 같다. 만첩빈도리 Deutzia crenata for. plena Schneid 범의귀과의 낙엽활엽관목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예첨두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 폭 1.5-3㎝로서 표면은 회록색.. 2008. 7. 5.
대황 어린풀 Rheum undulatum 대황은 마디풀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중국 서장·청해 지방이다. 아래 오른쪽 개체가 자라 한 해를 넘긴 모습이다. ● 대황 Rheum undulatum | 大黃, rhubarb /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황색 뿌리가 있고, 지하부는 수직으로 내린 원뿌리에 우엉 모양의 뿌리가 많이 붙어 있다. 곧.. 2008. 7. 5.
이노리나무 열매, 꽃봉오리 Crataegus komarouii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관목으로 경북, 설악산 이북 북부지방과 중국(만주)에 분포한다. 이 나무와 비교해서 형질이 큰 것을 왕이노리나무(var. major), 털이 많이 나는 것을 털이노리나무(var. pilosa)라고 한다. 열매 꽃봉오리 나무 모양 ● 이노리나무 Crataegus komarouii | Komarov's hawthorn ↘ 장미목 장미과 산사나무속의 낙엽활엽 소교목 깊은 산 중턱에서 자란다. 높이 약 5m이다. 어린 가지에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3∼6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의 밑은 심장 모양이거나 일(一)자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뒷면에 흰빛을 띤다. 맥과 잎자루에 털이 나지만 잎자루에는 점점 없어진다. 턱잎은 작고 떨어진다. 꽃은 4∼5월에.. 2008. 7. 5.
회목나무 Euonymus pauciflorus 회목나무는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이다. 깊은산에서 자라는 희귀종이지만 서울 주변의 산에서도 드물게 만날 수 있다. 추위에 잘 견디며 양지나 음지를 가리지 않고 자라고 바닷가에서도 잘 자란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1-3개씩 달리며 꽃잎은 4개로 5~6월에 붉은갈색 꽃이 잎의 중앙에 붙어서 핀다. 꽃잎은 넷이며 실처럼 가느다란 꽃줄기는 길이 2cm로서 잎 표면 가운데 맥을 따라 납작 붙어 있으며, 그 끝에 단추모양의 꽃이 달려 있는 모습이 특이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 회목나무 Euonymus pauciflorus | Few-flower spindletre ↘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낙엽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는 녹색이며 사마귀 같은 점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긴 달걀 모양 또.. 2008. 7. 5.
도깨비부채 열매 Rodgersia podophylla 범의귀과 도깨비부채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중부 이북의 심산지역 응달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 도깨비부채 Rodgersia podophylla ↘ 장미목 범의귀과 도깨비부채속 여러해살이풀 잎은 장상복엽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5소엽으로서 큰 것은 지름 5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것은 1-4개의 소엽으로 된다. 소엽은 도란형이고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길이 15-35cm, 폭 10-25cm로서 뒷면 맥위에 엽병의 윗부분과 더불어 털이 있다. 근경은 비대하고 옆으로 뻗는다. 높이가 1m에 달한다. 꽃은 6-7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취산형 원추화서를 이루며, 화서는 길이 20-40cm이고 유두상의 털이 있으며 가지끝이 처음에는 말려 있다. 꽃받침잎은 4-8개이고 길이 2-4mm로서.. 2008. 7. 5.
빈도리 2008. 7. 5.
꼬리진달래(참꽃나무겨우살이) Rhododendron micranthum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소백산맥과 그 인근 지대에서 흔히 분포하는 진달래과의 관목으로 양지바른 산지에 자생한다. ● 꼬리진달래 Rhododendron micranthum | Spike rosebay / 진달래과의 낙엽활엽관목 높이 1-2m이고 가지가 한 마디에서 2-3개씩 나오며 잔털 또는 인편이 있고 2년지는 갈색이 돌며 털.. 2008. 7. 4.
꼬리진달래(참꽃나무겨우살이) Rhododendron micranthum 참꽃나무겨우살이라고도 하며, 경북, 충북, 강원, 경기 남부 등 백두대간 가까운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 꼬리진달래 Rhododendron micranthum / 진달래목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활엽 관목 높이 1~2m. 줄기는 잔털 또는 비늘조각이 있고 이년지는 갈색이 돌며 털이 있고 재부는 황록색이며 속은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도란상 타원형 또는 거꿀피침형이며 첨두 예형이고 길이 2~3.5cm로, 표면은 녹색이고 흰색 점이 있으며, 뒷면은 갈색 비늘조각이 밀생하고 잎자루 길이는 1~5mm로 짧은 털과 비늘조각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총상꽃차례에 20개씩 꽃이 모여 달리고, 포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꽃대 길이 6~8mm로 흰색 샘이 있으며, 꽃받침조각은 작으며 샘이 있고 밑부분에 2개.. 2008.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