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홍릉수목원80

홍릉수목원의 쪽, 도꼬마리, 층층고랭이, 당귀, 시호, 개시호, 흰고려엉겅퀴 수목원 입구 담장 위에 핀 계요등 쪽풀이 꽃잎을 열었다. 붉은 빛이 살짝 감도는 흰 꽃잎 속에 드러나는 하얀 수술... 도꼬마리의 꽃을 들여다보는 사람은 드문 듯하다. 무조건 렌즈를 들이대고 접사를 한 후 살펴보니 꽃밥을 단 수술이 돌기처럼 솟아나 있다. 개똥쑥도 꽃을 흐드러지게 .. 2009. 9. 26.
홍릉수목원의 강화산닥나무, 섬바디, 토대황, 뿔남천 열매, 담쟁이, 닭의덩굴 홍릉수목원의 강화산닥나무, 섬바디, 토대황, 뿔남천 열매, 담쟁이, 닭의덩굴 2009. 07. 04. 토요일 수목원 연구동 뜰의 명물 능소화가 화려한 꽃을 피웠다. 섬유를 얻기 위해 재배했다는 강화산닥나무 작은 꽃을 담느라 애를 먹는다. 흰해당화 꽃이 피었던 것으로 기억하는 녀석의 열매를 담았다. 늘 무심.. 2009. 7. 26.
홍릉수목원의 큰조롱, 구릿대, 박새, 붉은여로, 푸른여로, 후피향나무, 황칠나무 홍릉수목원의 큰조롱, 구릿대, 박새, 붉은여로, 푸른여로, 후피향나무, 황칠나무 2009. 07. 04. 토요일 시험 끝나는 날, 그냥 집으로 갈까 하다 수목원을 들렀다. 파드득나물이 좁쌀만한 하얀 꽃을 다닥다닥 피웠다. 꽃등에 한 마리가 날아 드는데 초점 안에 들지 못했어. 작년 이맘때쯤 우거진 덩굴을 이루.. 2009. 7. 26.
홍릉수목원의 까마귀베개. 사람주나무, 만병초, 정금나무, 합다리나무, 꼬리진달래, 왕자귀나무 홍릉수목원의 까마귀베개. 사람주나무, 만병초, 정금나무, 합다리나무, 꼬리진달래, 왕자귀나무 2009. 06. 14. 일요일 봄에 이 곳을 찾았을 때 수꽃이 핀 것을 보고 가래나무라고 소개했던 나무를 보고 아뿔사, 싶다. 열매를 보니 길고 뾰족한 가래가 아니라 탁구공처럼 동그란 호두 아니냐, .. 2009. 7. 3.
홍릉수목원의 대황, 창포, 종덩굴. 도루박이, 개시호, 냉초, 쥐방울덩굴, 오리방풀 홍릉수목원의 대황, 창포, 종덩굴. 도루박이, 개시호, 냉초, 쥐방울덩굴, 오리방풀 2009. 06. 14. 일요일 햇살만큼 습도도 짙어 후덥지근한 날, 정오가 가까운 시간에 홍릉수목원을 찾는다. 먼저 약초원을 한 바퀴 둘러 본다. 그늘진 풀섶 여기저기에 석잠풀 꽃이 피었다. 대황이 최대한으로 .. 2009. 7. 2.
들현호색, 쥐오줌풀, 산작약, 가침박달 꽃 피는 홍릉수목원 풀꽃나무 산책 때 아닌 감기에 온 몸이 나른한데 이노리나무 꽃 핀 모습 보고 싶어서 수목원을 찾는다. 햇살은 여름날처럼 따가운데 수목원 약초원의 화단은 생명의 기운으로 가득하다. 붉은 빛이 강한 들현호색은 멀리서 보면 자운영이 아닐까 착각하게 한다. 이곳에 양고추냉이(horse radish)라는 것이 있는 것을 왜 .. 2009. 5. 7.
영춘화, 좀매실나무, 장수만리화, 털조장나무 꽃 피는 홍릉수목원의 봄 영춘화, 좀매실나무, 장수만리화, 털조장나무 꽃 피는 홍릉수목원의 봄 2009. 03. 14 (토) < 앞글에 이어 > 두 주 전까지도 앙상한 줄기만 보이던 가지에 거짓말처럼 샛노란 영춘화가 화려하게 피었다. 영춘화(迎春花)는 이름 그대로 봄맞이꽃이니 내가 쓰는 별명과 같아 더욱 마음이 끌리는 꽃인데 (물.. 2009. 3. 26.
까치무릇, 기름나무, 히어리, 미선나무 꽃 피는 홍릉수목원의 봄 까치무릇, 기름나무, 히어리, 미선나무 꽃 피는 홍릉수목원의 봄 2009. 03. 14 (토) 기막히게 환하게 햇살 내리는 토요일, 부장인 친구가 점심이나 함께 먹고 퇴근하잔다. 그러잖아도 엊저녁 이 친구의 제안에 부서 사람들과 수락산입구에까지 가서 마신 몇 잔 술에 속이 편하지 않던 차에 얼씨구나 마음 .. 2009. 3. 26.
꽃눈 기지개 켜는 홍릉수목원의 봄 겨울잠 자던 개구리가 봄기운에 놀라 뛰어나온다는 경칩도 지났으니 어쩌면 꽃망울 터뜨리는 풀과 나무들이 있으리라는 기대를 안고 을 향한다. 바람도 별로 없는 화창한 날씨는 봄나들이를 즐기기에 안성맞춤이어서 꽃탐방객으로 붐빌 거라고 생각랬는데 수목원은 생각보다도 한산하다. 한 무리의 .. 2009. 3. 15.
홍릉수목원의 고려엉겅퀴,조밥나물, 가는오이풀, 고욤나무 탱자 나도밤나무 털조장나무 열매, 놋젓가락나물이라는 이름표를 단 것은 투구꽃(그늘돌쩌귀) 줄기 마디마디에 혹이 달린 혹쐐기풀과 열매의 모습 조밥나물 분취 가는오이풀 토대황의 열매 철 늦게 핀 남산제비꽃 고려엉겅퀴 이삭여뀌 뻐꾹나리의 씨방 나비나물 열매 나도밤나무 열매 털조장나무 열매 고욤나무 열매 탱.. 2008. 12. 7.
홍릉수목원의 께묵,기생여뀌, 그늘돌쩌귀, 좀작살나무 열매, 개산초 열매, 정금나무 열매 등 께묵 쪽 이고들빼기 기생여뀌 개부처손 고본 우렁이 알 물달개비 강활이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는 것은 잎의 모양으로 보아 궁궁이로 보는 것이 바를 듯하다. 놋젓가락나물이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지만, 나무를 타고 오르는 덩굴성인 놋젓가락나물이 아니고 그늘돌쩌귀(투구꽃)이다. 그.. 2008. 12. 7.
꽃댕강나무(아벨리아) 학명이 국립수목원 도감에서는 Abelia mosanensis, 두산백과사전에서는 Abelia grandif1ora로 각각 다르게 표기하고 있다. 국립수목원 도감이 꽃댕강나무(Abelia mosanensis)가 "중국산 댕강나무 사이에서 원예종으로 잡종육성된 중간 잡종이며, 1930년경 일본으로부터 도입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두산백과사전.. 2008. 10. 24.
토현삼 Scrophularia koraiensis 홍릉수목원 ● 토현삼 土玄蔘 Scrophularia koraiensis /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5m이다. 줄기는 사각형이며 곧게 서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달리고 잎자루가 짧으며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10∼15cm, 나비 4∼7cm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2008. 10. 23.
참나물 2008. 10. 23.
좀담배풀 Carpesium cernuum ● 좀담배풀 Carpesium cernuum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150cm,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겉에 부드러운 흰 털이 있다. 뿌리잎은 모여 나며 일찍 시든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아래에 달리는 잎은 주걱 모양, 길이 9-25cm, 폭 4-6cm, 밑은 좁아져서 잎자루의 날개로 된다. 중간에 .. 2008.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