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나비과15 사향제비나비 Byasa alcinous, 애벌레 노구소교 다리를 건너 임도로 들어서기 전 농로길, 철조망을 덮은 쥐방울덩굴에서 사향제비나비 애벌레를 만난다. 사향제비나비 애벌레의 먹이는 바로 쥐방울덩굴, 등칡 등과 같은 쥐방울덩굴과 식물이다. 원통형 몸은 검고 제3∼4배마디에 흰 가로띠가 있으며 허리에는 육질의 긴 돌기가 줄지어 있다. 수컷 몸에서 사향 냄새가 난다. 긴꼬리제비나비와 흡사하나 가슴과 배의 측면에 붉은 털이 나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애벌레에 기생하는 사향제비나비납작맵시벌 등의 천적에 의해서 수가 조절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사향제비나비 Byasa alcinous(Atrophaneura alcinous) | Chinese windmill ↘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호랑나비과몸에서 사향냄새.. 2024. 6. 25. 애호랑나비 Luehdorfia puziloi 애호랑나비는 호랑나비과 모시나비아과의 나비로 이른 봄에 나타나는데 진달래 꽃을 좋아한다. 4월말 족도리풀 잎 뒷면에 알을 낳고 애벌레는 족도리풀 잎을 먹고 자라 초여름에 번데기가 되어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나비가 된다. 애호랑나비는 특이하게도 교미한 다음 암컷의 배끝에 교미주머니(交尾囊)가 달려 생식기를 봉인해 버린다고 한다. 한번 교미한 암컷은 두번 다시 다른 수컷과 교미를 할 수 없는데, 이런 습성은 모시나비류에서도 관찰된다. 곰배령 ● 애호랑나비 Luehdorfia puziloi ↘ 나비목 호랑나비과 모시나비아과 이깔나무잎벌속 앞날개의 길이 27~33mm이다. 앞날개 바깥가두리를 따라 있는 노랑색 띠는 앞끝에서 약간 안으로 휘어지며, 뒷날개 바깥가두리의 무늬는 노랑색을 띤다. 번데기 상태로 월동하였.. 2016. 4. 28. 애호랑나비 Luehdorfia puziloi 애호랑나비는 호랑나비과의 나비로 이른 봄에 나타나는데 진달래 꽃을 좋아한다. 4월말 족도리풀 잎 뒷면에 알을 낳고 애벌레는 족도리풀 잎을 먹고 자라 초여름에 번데기가 되어 월동하여 이듬해 봄에 나비가 된다. 애호랑나비는 특이하게도 교미한 다음 암컷의 배끝에 교미주머니(交.. 2014. 5. 16. 파르나시앙나비, 모시나비 Parnassius stubbendorfii 천마산 호평동 계곡, 5월의 따스한 햇볕을 받고 모시나비들이 힘찬 날개짓을 하며 분주히 날아다닌다. 모시나비는 호랑나비과의 한 종류로 중앙아시아의 가우토니우스모시나비가 조상나비이다. 모시나비계통의 나비들은 빙하시대의 추운 기후를 극복하고 살아남은 생명력이 강한 종으.. 2011. 6. 16. 사향제비나비 Atrophaneura alcinous 긴꼬리제비나비와 흡사하나 가슴과 배의 측면에 붉은 털이 나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애벌레의 먹이는 쥐방울덩굴, 등칡과 같은 쥐방울덩굴과의 식물이다. 애벌레에 기생하는 사향제비나비납작맵시벌 등의 천적에 의해서 수가 조절된다. 2009. 08. 13. 소금강 계곡 ● 사향제비나비 Atrophaneura alcinous / 곤충강 나비목 호랑나비과 몸에서 사향 냄새가 나며, 날개 길이 41∼55 mm의 대형나비이다. 몸은 검으나 암컷의 날개는 둘레와 맥을 빼고는 암회색을 나타내며 뒷날개 바깥선두리에는 뒷면과 같은 등황색의 활 모양 무늬가 줄지어 있다. 뒷날개의 후각에서 나오는 꼬리 모양 돌기는 길다. 암컷에는 뚜렷하게 반달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수컷은 날개 윗면이 검고 약간의 .. 2009. 9. 11. 사향제비나비 Atrophaneura alcinous ↓ 청송 주산지 부근 ● 사향제비나비 Atrophaneura alcinous / 나비목 호랑나비과 몸에서 사향 냄새가 나며, 날개 길이 41∼55 mm의 대형나비이다. 몸은 검으나 암컷의 날개는 둘레와 맥을 빼고는 암회색을 나타내며 뒷날개 바깥선두리에는 뒷면과 같은 등황색의 활 모양 무늬가 줄지어 있다. 뒷.. 2009. 9. 9. 꼬리명주나비 Sericinus montela 수컷 처음으로 만난 나비, 길다란 두 개의 꼬리가 먼저 눈에 띄고 흰 바탕에 붉은 무늬, 푸른 점 등이 몹시 화려한 느낌이 든다. 나는 모습이 마치 연을 띄우기 위해 연줄을 잡아챌 때 방배연이 바람을 거슬러 끄떡끄떡 떠오르는 듯하였다. 잠시도 가만 있지 않아서 촬영이 쉽지 않았다. 정지 비.. 2009. 8. 1. 호랑나비 Papilio xuthus 경남 합천 ● 호랑나비 Papilio xuthus / 나비목 호랑나비과 성충은 날개를 편 길이가 80~120mm인 아름다운 나비이다. 월동한 번데기에서 우화한 봄형은 여름형에 비해 작고 무늬가 선명하다. 제2화 및 그 이후의 것은 여름형이 된다. 여름형은 수컷이 암컷보다 앞날개 끝의 돌출이 강하며, 뒷날.. 2008. 11. 30. 호랑나비 Papilio xuthus 남한산 ● 호랑나비 Papilio xuthus / 호랑나비과(Papilionidae) 호랑나비아과(Papilioninae) 하형은 춘형보다 현저히 크고, 뒷날개 아외연부의 검은색 띠가 넓어진다. 간혹 날개의 색상에 황색감이 강한 개체(7g)가 있는데, 도서 지방산과 제주도산에서 그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개체 간에는 날개 윗.. 2008. 11. 29. 제비나비 암컷(?) 경남 합천군 가회면 2008. 11. 2. 춤추는 한 쌍의 호랑나비 ▶ 경남 합천군 가회면 집 앞을 흐르는 개울 언덕에 흐드러지게 핀 누리장나무 꽃덤불 위에서 춤추는 한 쌍의 호랑나비 2008. 11. 2. 호랑나비 08-2 ▶ 남한산 등산로 부근 호랑나비 Papilio xuthus 나비목[鱗翅目]호랑나비과의 곤충 주로 동양권에 분포하는 대표적 나비로 옛명칭은 호접(胡蝶)이라 한다. 봄형과 여름형이 있으며 암컷은 수컷보다 조금 크다. 애벌레는 다 자라면 몸길이가 45mm에 이르며 몸빛깔은 녹색이고 셋째마디에 뱀눈 모양의 무늬가.. 2008. 7. 24. 호랑나비 ▶ 남한산 등산로 주변 호랑나비 Papilio xuthus 나비목[鱗翅目]호랑나비과의 곤충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아무르 ·미얀마 서식장소 : 집주변, 공원, 들이나 밭 한살이 : 갖춘탈바꿈 크기 : 봄형 몸길이 20∼24mm, 날개 편 길이 70∼75mm, 여름형 몸길이 27∼30 주로 동양권에 분포하는 대표적 나비로 .. 2008. 7. 24. 애호랑나비 Luehdorfia puziloi 이른봄에 나타나는 작은 호랑나비라는 뜻에서 이른봄애호랑나비로도 불리는 애호랑나비. 이름처럼 이른봄 산기슭을 가장 먼저 날아다니는 나비가 애호랑나비이다. 진달래를 좋아하여 4월의 산을 부지런히 날아다니며 진달래가 질 무렵부터 족도리풀에 알을 낳는다. 애벌레는 족도리풀.. 2008. 4. 17. 산호랑나비 찔레나무 위에 앉았다. 번데기로 겨울을 나는데 영하 120도에도 견디는 강인한 나비라고 한다. 산호랑나비 Papilio machaon 나비목[鱗翅目] 호랑나비과의 곤충 몸과 날개는 노란색으로 검은 줄무늬가 있다. 호랑나비와 매우 닮았으나 앞날개의 밑부분이 옅은 검정색으로 검은 줄무늬가 없고 대체로 노란색.. 2007. 12.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