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협죽도과17

일일초 Vinca rosea(Catharanthus roseus) = 마다가스카르 페리윙클 원산지는 마다가스카르와 서인도로, 관상용으로 비교적 널리 기르는 협죽도과 빈카속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흰색, 분홍색, 자주색 등 다양하며, 여러 품종들이 있다. 마다가스카르페리윙클 외에 bright eyes, Cape periwinkle, pink periwinkle, rose periwinkle, old maid, graveyard plant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Vinca속은 서아시아와 유럽에 5종이 분포하며, 국내에는 일일초(V. rosea)와 빈카마이너(V. minor)가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잎 추출물에 백혈구 및 림프샘, 비장의 암세포를 억제하는 항산화 활성 성분이 있다. 독성이 있으므로 사람이나 가축 대상의 사용은 금한다.      2022. 09. 15. 연천 어느 민가.. 2022. 9. 29.
개정향풀 Trachomitum lancifolium => Apocynum lancifolium 개정향풀은 협죽도과 개정향풀속(Trachomitum)으로 분류되었으나 수궁초속(Apocynum)으로 이속되었다. 수궁초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정향풀(Amsonia elliptica)을 닮은 데서 이름이 유래되었는데, 푸른 빛이 도는 정향풀과는 달리 꽃이 자줏빛이 돌고 정향풀에 비해 줄기나 잎이 가늘고 작다. 태안 ● 개정향풀 Apocynum lancifolium | Sword-leaf dogbane ↘ 용담목 협죽도과 개정향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40-80cm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는 가늘고 분백색이 돈다. 근경은 목질. 잎은 원줄기에서는 어긋나기하며 가지에서는 마주나기하고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며 둥근 끝에 잎맥의 연장인 돌기가 있고 길이 2.5~5.5cm, 나비 5-17mm로서 밑부분이 둔하거나 둥글며.. 2017. 6. 25.
베트남의 식물(2) 크레이프재스민 Tabernaemontana divaricata 인도 원산으로 동남아에서 널리 기른다. 협죽도과의 관목으로 1.5~1.8m 로 자라고 가지는 둘로 나뉜다. 줄기 끝에서 피는 바람개비 모양의 흰 꽃은 같은 협죽도과 덩굴 관목인 마삭줄 꽃과 아주 비슷하다. 영명 : 크레이프재스민(crape jasmine), 핀휠재스민(pinwheel flower) 학명 : Tabernaemontana divaric.. 2015. 2. 14.
만데빌라 산데리 Mandevilla sanderi 만데빌라는 협죽도과의 덩굴나무로 원산지는 브라질이다. 옛날 속명인 디플라데니아(Dipladenia)로도 통용되어 왔으며 브라질재스민, 동백재스민, 주홍별봄맞이꽃이라고도 불리운다. 나팔 모양으로 피는 붉은 꽃이 화려하다. 꽃은 자생지에서는 연중 피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초여름부터 초가을까지 핀다. ● 만데빌라 산데리 Mandevilla sanderi | Rose Dipladenia, Woodson / 협죽도과의 목본덩굴식물 잎은 상록성으로 마주나며 난형의 끝이 뾰족한 모양으로 10~15cm이며 녹색이다. 꽃은 자생지에서는 연중 피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초여름부터 초가을까지 핀다. 꽃줄기에 3~5개의 나팔형 꽃이 모여서 피는데, 통꽃으로 길이는 6~8cm 정도이고 지름은 약 5cm이며 끝은 5개로 갈라지며 .. 2014. 6. 12.
털마삭줄 Trachelospermum jasminoides 털마삭줄은 마삭줄에 비해 어린가지와 잎 뒷면, 꽃차례, 꽃부리에 털이 있고, 수술은 꽃부리 통부 중앙쯤에 붙어 꽃밥이 밖으로 나오지 않으므로 구분된다. 신구대식물원의 온실에 있는 마삭줄속의 나무는 털마삭줄로 보인다. 잎맥이 뚜렷하지 않고 잎이나 꽃이 크고 많이 피는 점으로 보면 마삭줄은 아니다. 그냥 마삭줄의 대형종인 백화등일까 싶기도 하지만 꽃의 형태를 보니 백화등과도 다르다. 화관과 암술대가 짧으며 꽃밥이 밖으로 보이지 않고, 꽃차례와 화통 입구에 털이 있는 점 등으로 털마삭줄로 보인다. 털마삭줄 꽃은 백화등보다 크다 한다. 신구대식물원 / 2013. 06. 02 ● 털마삭줄 Trachelospermum jasminoides | confederate jasmine, star jasmine ↘ 용담목 .. 2014. 6. 11.
정향풀 Amsonia elliptica 협죽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정향나무가 그런 것처럼 꽃 모양이 옆에서 보면 '정(丁)'자처럼 보이는 풀이어서 '정자초(丁字草)'라 불리던 것이 '정향풀'로 불리게 되었다. 완도·대청도 등 바닷가 풀밭이나 모래땅에서 자란다. 신구대식물원 / 2013. 06. 02 ● 정향풀 Amsonia elliptica | Asian bluestar ↘ 용담목 협죽도과 정향풀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고 높이 40∼80cm이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에서는 마주나고 바소꼴이다. 잎자루가 거의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화관 통부는 길이 8mm이며 갈래조각은 통부와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 2014. 6. 10.
정향풀 Amsonia elliptica 정향풀은 협죽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 모양이 옆에서 보면 '정(丁)'자처럼 보이므로 정향풀이라고 한다. 완도·대청도 등 바닷가 풀밭이나 모래땅에서 자란다. 자생지가 제한적이고 훼손되고 있어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정향풀 Amsonia elliptica | Asian bluestar ↘ 용담목 협죽도과 정향풀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고 높이 40∼80cm이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에서는 마주나고 바소꼴이다. 잎자루가 거의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화관 통부는 길이 8mm이며 갈래조각은 통부와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5개이고 통부에 붙어 있으며, 암술은 1개이.. 2014. 5. 13.
마다가스카르재스민 Stephanotis floribunda 마다가스카르재스민은 용담목 협죽도과 박주가리아과의 상록 덩굴식물로 마다가스카르가 원산지이다. 꽃 모양이 재스민을 연상시키고 꽃에서 재스민과 같은 향기가 나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Jasminum)의 재스민과는 전혀 다른 종류이다. 영명은 Madagascar Jasmine 외에도 Bridal Wreath(신부 화환), Hawaiian Wedding Flower, Clustered Wax-flower 등으로 다양한데, 결혼과 관련된 이름이 많은 것이 눈에 띈다. 결혼식에서 신부 화환이나 부케로 많이 이용되는 꽃인 듯하다. 높이 5m 내외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타원형으로 짙은 녹색이며 혁질로 광택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며 순백색이고 6~7송이가 모여 잎.. 2011. 8. 26.
빈카페어리스타 Catharanthus roseus 협죽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일일초(Catharanthus roseus)의 개량종. 영명은 Vinca Fairy Star, 흔히 유통명으로 페어리스타로 불린다. 원산지는 열대 아시아로 여름철에 특히 강한 꽃으로 4~11월 연중 화분 가득 작고 귀여운 꽃들을 가득 피운다고 한다. 꽃말은 '좋은추억', 또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 2011. 6. 14.
만데빌라 산데리 Mandevilla sanderi | Rose Dipladenia ● 만데빌라 산데리 Mandevilla sanderi | Rose Dipladenia, Woodson / 협죽도과의 목본덩굴식물 원산지는 브라질이다. 브라질재스민, 동백재스민, 주홍별봄맞이꽃이라고도 불리운다. 꽃이 아름다운 식물로 옛날 속명인 디플라데니아(Dipladenia)로도 통용되어 왔다. 양지에서 자란다. 꽃은 자생지에서는 연중 피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초여름부터 초가을까지 핀다. 꽃은 나팔형인데 길이는 6-8cm 정도이다. 매력적인 덩굴식물로 붉은 꽃이 화려하다. 원예에서 이용되는 종으로서는 만데빌라 아마비리스(M.×amabilis), 로즈 자이언트, 보리비엔시스(M.boliviensis), 락사(M.lxa), 산데리(M.sanderi) 등이 있다. 산데리 이외는 덩굴이 자라므로 사방등 만들기의.. 2009. 10. 18.
협죽도(유도화) Nerium indicum 협죽도의 인도 원산의 협죽도과 관목으로 제주도 및 남부 각지에서 재배한다. 군산 선유도 ● 협죽도 Nerium indicum | Common Oleander, Rosebay / 협죽도과의 상록활엽관목 잎은 윤생하고 선형이며 두껍고 길이 7~15cm, 나비 8-20㎜로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없고 길쭉하다. 높이가 3m에 달하.. 2008. 11. 23.
만데빌라산데리 Mandevilla sanderi 만데빌라산데리는 협죽도과의 목본 덩굴식물로 원산지는 브라질이다. 브라질재스민, 동백재스민, 주홍별봄맞이꽃이라고도 불리운다. 옛날 속명인 디플라데니아(Dipladenia)로도 통용되어 왔으며, 붉게 피는 꽃이 화려하고 아름다워 관상용 식물로 사랑받고 있다. ● 만데빌라 산데리 Mandevi.. 2008. 4. 22.
빈카마이너(좁은잎빈카), 또는 페리윙클 Vinca minor 빈카마이너는 협죽도과 빈카속의 늘푸른 덩굴식물로 원산지는 유럽이며 온실 분화초로 재배되고 있다. '좁은잎빈카'라고도 한다. ● 빈카마이너 Vinca minor | periwinkle / 용담목 협죽도과 빈카속의 덩굴성 상록 여러해살이풀 포복성으로 길이 60cm 정도로 자란다. 포복경 중간에서 뿌리를 내어 잘 번식한다. 3~5월경에 30cm 정도의 줄기에 바람개비 모양의 청, 핑크,백색의 5판화가 차례로 핀다. 변이종으로 잎가장자리에 노란 테두리가 있는 무늬페리윙클(무늬빙카)가 있는데, 페리윙클보다 큰 바이올렛 5판화의 꽃이 핀다. 탄닌과 알카로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민간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잎에 강장, 수렴작용이 있어 내출혈, 월경 출혈 감소 등에 쓰며 궤양, 인후염, 고혈압 치료제로 뇌의 혈류를 원활하.. 2007. 5. 15.
빈카(일일초, 매일초) Vinca rosea 협죽도과의 한해살이풀로 꽃이 매일 피기 때문에 매일초라고 한다. 원산지는 마다가스카르·자바섬·브라질 등의 열대지방으로 여러해살이풀이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한해살이풀이다. ● 매일초 Vinca rosea(Catharanthus roseus) | Madagascar periwinkle / 용담목 협죽도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한두 .. 2006. 11. 6.
털마삭줄 Trachelospermum jasminoides var. pubescens 남해안에 가야 볼 수 있는 상록 덩굴나무 마삭줄을 서울에서 만난다. 바람을 막아주는 나무들이 울을 이룬 북쪽 산발치에 기대어 남쪽으로 볕바라기하는 따뜻한 민가... 갓 피기 시작한 꽃까지 마주하니 참으로 행운이다. 그냥 마삭줄인 줄 알았더니 화통에 털이 있고 화통 밖으로 꽃밥이.. 2006.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