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나무과19

사스레피나무 Eurya japonica 사스레피나무는 차나무과의 관목으로 난대림 지대에서 가장 흔하게 만나는 상록수이다. 꽃다발에서 푸른 바탕을 장식하는 소재로 우리에게 친숙한 나무이다. 암수딴그루로 수수 종자처럼 작은 꽃이 땅을 향해 촘촘히 매달린다. 꽃의 절정기에 상록수림을 걸을 때 닭똥 같은 퀴퀴한 냄새.. 2017. 4. 13.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삼학도 시린 겨울 하늘에 숯불보다 붉은 꽃을 피웠다. '다홍으로 불이 붙는' 동백꽃, 들여다보고 있는 이의 심장에도 뜨거운 불길이 인다. 설산을 이고 있는 화산처럼 가슴앓이하는 불길이다. 이글이글 타오르던 불꽃송이는 그대로 떨어진다. 시든 꽃잎을 날리는 구차함을 보이지 않는다. 곤충이 사라진 차가운 겨울에 꽃을 피우는 동백나무는 조매화(鳥媒花)다. 향기 없는 꽃, 동백은 숯불보다 붉은 꽃을 피워 동박새를 부르고 꿀을 제공해 줌으로써 꽃가루받이를 한다. 목포 삼학도 ●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 Common Camellia ↘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동백나무속 상록 소교목 높이가 7m에 달하고 기부에서 갈라져 관목상으로 되는 것이 많으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평활하며 일년생 가지는 갈색이다... 2017. 1. 23.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꽃봉오리 차나무과 노각나무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붉은 갈색의 아름다운 얼룩무늬 수피가 아름다워 비단나무, '금수목(錦繡木)'으로 불리기도 한다. 소백산 이남의 높은 산지에 자생한다. 차나무와 달리 낙엽성이지만 차나무 꽃과 아주 닮은 노란 꽃술을 담은 흰 꽃을 피운다. 가야산 ●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 Korean stewartia ↘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노각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 높이 7~15m이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없다. 나무껍질은 검은 적갈색으로 벗겨져 매끈해진다. 잎은 길이 4~10cm, 나비 2~5cm로서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어긋나기로 예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표면에 견모가 있으나 없어지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 톱니가 있다. 꽃은 암.. 2016. 6. 16.
우묵사스레피 꽃 Eurya emarginata 차나무과의 상록관목, 우묵사스레피나무 까맣게 달리는 열매 모양 때문에 섬쥐똥나무라고도 불리고, 사스레피나무와 비슷하다 하여 개사스레피나무라고도 한다. 잎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뚜렷한 사스레피나무(E. japonica)와는 달리 잎끈티 둥글고 톱니가 희미하다. 우묵사스레피는 암수딴.. 2014. 11. 26.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노각나무는 차나무과의 교목으로 모과나무를 연상시키는 수피가 아름답고 6월에 피는 흰 꽃은 차나무 꽃을 그대로 닮았다. 세계적으로 7종의 노각나무가 있다고 하는데 한국 품종이 가장 아름답다고 한다. 생장 속도가 느린 점이 흠이다. 영명은 Korean stewartia인데 국립수목원에서는 korean mountain camellia라 명명해 놓았다. '한국 산동백'쯤 되는데, 흰 꽃이지만 꽃 모양이 같은 차나무과인 동백을 닮았다. 지리산 ●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 Korean stewartia ↘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노각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 높이 7~15m이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없다. 나무껍질은 검은 적갈색으로 벗겨져 매끈해진다. 잎은 길이 4~10cm, 나비 2~5cm로.. 2012. 6. 29.
처연한 아름다움, 동백나무 꽃 백설(白雪)이 눈부신 하늘 한 모서리 다홍으로 불이 붙는다. 차가울사록 사모치는 정화(情火) 그 뉘를 사모하기에 이 깊은 겨울에 애태워 피는가. 정훈의 '동백'이라는 시이다. '다홍으로 불이 붙는' 동백꽃, 그 꽃송이를 들여다보고 있는 이의 심장에도 뜨거운 불길이 인다. 하지만 그 불.. 2011. 5. 18.
애기향동백(Camellia lutchuensis) 중국 남동부, 대만 및 류큐 제도에 분포하고 있다. 높이는 3~8m로 가지는 가늘고 잎은 긴 타원형이며 미세한 톱니가 있다. 12월부터 2월에 걸쳐 잎겨드랑이에서 작은 하얀꽃을 피운다. 꽃잎은 6개로 동백 중에서도 향기가 가장 강하고 달콤하다. 2011. 3. 1.
우묵사스레피 Eurya emarginata, 꽃 우묵사스레피는 제주도와 남해안에서 자라는 차나무과의 늘푸른 떨기나무다. 사스레피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뒤로 말려 우묵한 모양이므로 우묵사스레피라고 한다. '개사스레피나무'라 불리기도 하고, 바닷가에서 자라고 열매가 까맣게 익은 모습이 쥐똥을 닮아서 '갯쥐똥나무'라고도 한다. 잎이 크고 끝이 뾰족한 사스레피나무와 달리 우묵사스레피는 잎이 상대적으로 작고 잎끝이 둥글다. 꽃은 늦은 가을(10~11월)에 피며 녹색빛이 감도는 흰 꽃이 1~3송이씩 달리는데, 암수딴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다른 나무에 달린다. 열매는 둥근 장과로 검붉은빛으로 익는다. ● 우묵사스레피 Eurya emarginata | Emarginate eurya ↘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사스레피나무속 상록 활엽 관목 일년생가지에 연한 황갈색 털이 .. 2010. 12. 19.
사스레피나무(Eurya japonica) 꽃 사스레피나무는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늘푸른 떨기나무이다. 동백나무, 노각나무 등이 같은 차나무과이다. 세푸랑나무, 가새목, 무치러기나무, 섬사스레미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학명은 Eurya japonica, 영명은 Jaoanese Eurya. 가장 추운 달이 월평균기온 -2℃ 이상인 남부지방 바닷가 산기.. 2010. 3. 21.
차나무 꽃 Camellia sinensis 차나무는 중국 원산으로 약 1,000년 전에 도입되었는데, 9세기 신라 42대 홍덕왕 때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김대렴이 차나무 씨앗을 가지고 와 지리산에 심었던 것이 시초라고 한다. 전국 각 처의 사찰에 식재하며, 지금은 야생화하여 경남 전남 지역의 따뜻한 곳에서 자연상으로 나타난다.. 2009. 11. 25.
후피향나무 Ternstroemia japonica 차나무과의 난대성 상록 소교목으로 전남과 경남의 해변, 제주도에 자생한다. 상록성에 윤기나는 푸른 잎, 붉은 빛이 감도는 새잎과 붉은 열매, 다듬지 않아도 만들어지는 수형이 아름다워 정원수로 심고 '목향'이라는 이름으로 화분 식물로 기르기도 한다. ↓ 홍릉수목원 ↓ 완도수목원 ● 후피향나무 厚皮香 Ternstroemia japonica | ternstroemia /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후피향나무속 상록 소교목 수고 7m, 직경 20㎝에 이른다. 가지는 돌려나기하며 굵다. 나무껍질은 붉은 갈색이 나고, 일년생가지는 녹갈색이며 털이 없다. 원뿌리와 곁뿌리가 발달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모여나기하고 가죽질이며 거꿀피침모양, 피침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3-7cm, .. 2009. 7. 27.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노각나무는 차나무과의 낙엽 교목으로 한때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보기도 했다. 수피가 모과나무, 배롱나무와 같이 껍질이 벗겨지고 아름다운 흑황색 얼룩무늬가 있어 '비단나무' 또는 '금수목(錦繡木)'이라 불리기도 한다. 차나무와 꼭 닮은 노란 꽃술을 담은 흰 꽃을 피운다. ↓ 지리산 ●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 Korean mountain camellia /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노각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 높이 7~15m이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없다. 나무껍질이 벗겨져 흑황색 얼룩무늬가 있어 아름답다. 잎은 길이 4~10cm, 나비 2~5cm로서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어긋나기로 예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표면에 견모가 있으나 없어지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2009. 7. 10.
우묵사스레피 Eurya emarginata 우묵사스레피는 남해안에 분포하는 차나무과의 관목으로 '섬쥐똥나무', '갯쥐똥나무' 등의 딴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소매물도 ● 우묵사스레피 Eurya emarginata | Emarginate Eurya / 차나무과의 상록 관목 높이 2-3m쯤 자란다. 잔가지에 연한 황갈색 털이 촘촘히 나고 능각이 있으며 나무모양이 .. 2009. 2. 19.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차나무과의 한국 특산나무, 여름에 접어들 무렵 피는 하얀 꽃송이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독특한 색상과 질감을 보여주는 나무껍질의 미감 또한 그에 못지 않다.노각나무속으로 전 세계에 7종이 있다고 하는데 한국산 노각나무가 가장 아름답다고 한다. 홍릉수목원 ● 노각나무 Stewartia pseudocamellia | Korean stewartia ↘ 물레나물목 차나무과 노각나무속 낙엽 활엽 교목 높이 7~15m이고 일년생가지에 털이 없다. 나무껍질은 검은 적갈색으로 벗겨져 매끈해진다. 잎은 길이 4~10cm, 나비 2~5cm로서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어긋나기로 예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표면에 견모가 있으나 없어지고 뒷면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 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한꽃으로서 .. 2008. 7. 26.
차나무 Camellia sinensis 한겨울에 부풀어 오른 차나무의 하얀 꽃봉오리 차나무의 열매 ● 차나무 Camellia sinensis | tea-plant / 차나무과의 상록교목 또는 관목 차나무에는 변종이 많으며, 이들 변종은 그 모양이 각기 크게 다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 재배되는 소엽종은 자연 상태에서도 높이가 2∼3m이고, 인도 아삼 지방의 대엽종은 높이가 15m에 달하므로 재배할 때에는 가지치기를 하여 높이가 0.5∼1m 되도록 한다. 뿌리는 아래로 곧게 뻗고 깊이가 2∼4m이며, 곁뿌리는 길이가 15∼20cm이고, 가는 뿌리가 많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6∼20cm, 폭 3∼4cm의 긴 타원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끝과 밑 부분이 뾰족하다. 잎의 질은 단단하고 약간 두꺼우며 표면에 광택이 있다. 꽃은 10∼11.. 2008.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