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약과7

백작약 Paeonia japonica 금대봉에서 거다란 흰 꽃을 피운 백작약을 만난다. 우아한 이름다움을 자랑하는 꽃, 자생지에서 만나는 꽃이라 각별한 느낌이 든다. 꽃이 너무 큰데 좁은 곳에서 100mm 렌즈로 찍게 되어 아름다운 자태를 제대로 담지 못해 아쉽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인데도 종소명이 'japonica'로 .. 2015. 5. 23.
노란 꽃 작약 '함박꽃'이라 불리기도 하는 작약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같은 작약과 작약속으로 모란는 목본이지만 작약은 초본으로 구별된다. 꽃이 풍성하고 화려하기도 하지만 뿌리는 안식향산과 아스피라긴 등이 함유되어 있어 진통, 해열에 사용하는 약용식물이다. 모란과 함께 미인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으로 예로부터 그림이나 자수 등의 문양 소재가 되어 왔다. 꽃색이나 모양 등에서 다양한 품종이 있다. 꽃말은 '부끄러움' 신구대식물원 ● 작약 芍藥 Paeonia lactiflora | Peony root ↘ 물레나물목 작약과 작약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개가 한 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높이 60cm 정도이며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뿌리는 여러 개가 나오지만 가늘고 양끝이 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다. 잎은 .. 2014. 6. 12.
작약 Paeonia lactiflora 꽃이 크고 탐스러워서 함박꽃이라고도 하는데, 산목련의 정명인 함박꽃나무가 따로 존재한다. 뿌리를 말린 것은 쌍화차의 주재료가 된다. 속명 'paeony'는 그리스신화에서 이 식물을 약용으로 최초 사용한 'Paeon'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 작약 芍藥 Paeonia lactiflora | Peony root / 작약과(또는 .. 2010. 6. 14.
소녀의 '수줍음'처럼 청초한 흰 꽃 , 백작약 / 작약속 8종 원예용이나 재배용으로 기르는 작약은 키가 보통 50~80cm 정도로 크지만 백작약은 40~50cm 정도로 그보다 훨씬 작아서 아담하다. 꽃은 순백으로 하얗게 피는데 꽃잎은 작약의 절반 크기로 작아서 순결하고 청초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꽃잎의 수도 일반 작약이 10개 정도인데 백작약은 대개 5개(많은 것은 7개 가량)이니 소박함이 절로 느껴진다. 전체적으로 크고 풍성하고 화려한 작약에 비해 백작약은 작고 아담하고 소박하고 청초한 느낌이 드는 꽃이다. 무엇보다 백작약은 꽃잎을 활짝 열지 않고 꽃잎 끝을 살짝 오무리고 있어 수줍은 소녀의 모습을 연상신다. 작약의 꽃말이 '수줍음'이라고 하는데, 화려하고 풍성한 꽃을 피우는 재배용 작약보다는 작고 하얀 꽃을 피우는 산작약에 딱 잘 어울리는 꽃말이라는 생각이.. 2010. 5. 19.
백작약의 성숙한 씨앗, 미성숙한 씨앗 백작약은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4~5월에 원줄기 끝에 커다란 흰 꽃이 한 송이씩 피는데, 초가을 열매가 익어 벌어지면 가장자리에는 성숙하지 못한 붉은 씨앗이 자리잡고 가운데에는 잘 익은 검은 씨앗이 달린 모습을 드러낸다. ↓ 홍릉수목원 ● 백작약 Paeonia japonica / Paeoniace.. 2009. 9. 27.
작약 열매, 백작약 열매 ● 작약 열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끝이 갈고리 모양으로 굽으며 내봉선을 따라 갈라지고 종자는 구형이다. ● 백작약 열매 골돌은 길이 2-3cm 정도로 2-4개가 긴 타원형이고, 벌어지면 안쪽이 붉어지고 가장자리에 자라지 못한 적색종자와 익은 흑색종자가 달린다. 2009. 7. 6.
백작약 Paeonia japonica, 참작약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백작약은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숲이 잘 보존된 전국의 산지에 자생하나 개체수가 빈약한 귀한 풀이다. ● 백작약 Paeonia japonica / 작약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높이 40~50cm이고 밑부분이 비늘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잎자루가 길고 잎은 3~4개가 어긋나며 3개씩 2회 갈라진다. .. 2009. 5.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