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버섯과58 솔버섯(붉은털무리버섯) Tricholomopsis rutilans 솔버섯은 송이버섯과 솔버섯속의 버섯으로 갓과 자루가 노란색 바탕에 붉은 갈색의 비늘조각이 덮여 있다. 북한명은 '붉은털무리버섯'이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침엽수의 썩은 나무나 그루터기에 뭉쳐서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식용버섯이나 설사를 일으키기 때문에 서양과 중국에서는 독버섯으로 취급한다. 제왕산 ● 솔버섯 Tricholomopsis rutilans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솔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4~20cm로 처음에 종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노란색 바탕에 어두운 붉은 갈색 또는 어두운 붉은색의 작은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고 연한 가죽과 같은 느낌이 든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 또는 홈파진주름살로 촘촘하며 노란색이고 가장자리에는 아주 작은 가루 같은 것으로 덮여 있다. 버섯대는 길이 6.. 2016. 9. 22. 밀꽃애기버섯(Gymnopus confluens) = 밀애기버섯(Collybia confluens) 밀애기버섯(Collybia confluens)은 애기밀버섯 또는 밀버섯이라고도 하는데, 북한에서는 나도락엽버섯으로 부르고 있다고 한다. 식용버섯이다. 하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국명과 학명을 밀꽃애기버섯(Gymnopus confluens)으로 선택하고 있다. 예전에는 송이버섯과로 분류되던 낙엽버섯과로 새롭게 분류되면서 속명도 바뀐 것이다. 가야산 ● 밀꽃애기버섯 Gymnopus confluens ↘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밀버섯속 여름에서 가을까지 활엽수림의 땅 또는 낙엽 사이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뭉쳐서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1~3.5㎝로 둥근 산 모양이다가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밋밋하고 살구색에서 색이 바래 전체가 흰색으로 변하며 가운데가 진하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 또는 올린주름살로 촘촘하고.. 2016. 8. 2. 백청색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glaucocana 송이버섯과 자주방망이버섯속으로 여름에서 가을까지 낙엽이나 풀 사이에 균륜을 만들고 무리를 지어 자란다. 갓 표면은 푸른 자줏빛 흰색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설악산 ● 백청색자주방망이버섯 Lepista glaucocana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자주방망이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50~150㎜로 처음에 반구 모양에서 돋보기 모양으로 변하고 나중에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푸른 자줏빛 흰색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살은 흰색으로 두껍고 부드러우며 밀가루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좁고 잘 벗겨지며 처음에 흰색이다가 나중에 분홍빛 황갈색으로 변한다. 버섯대는 50~78×10~25㎜로 원통 모양이며 구부러져 있고 기부는 불룩하다. 갓 표면은 흰색으로 단단하다. 2016. 7. 28.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뽕나무버섯은 송이버섯과의 버섯이다. 지방명이 다양한데, 북한명으로는 개암버섯, 강원도지역에서는 가다발버섯으로 부르고 있다. 식용버섯으로 이용되고 약용되기도 하지만 생식하거나 많은 양을 먹으면 중독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되는 버섯이다. 봄부터 늦은 가을까지 활.. 2012. 10. 29. 굽은꽃애기버섯(애기버섯) Gymnopus dryophila '애기버섯'이라 부르고 송이버섯과 애기버섯속(Collybia)의 버섯으로 분류해 왔는데 국생정에서는 굽은꽃애기버섯이라 부르고 낙엽버섯과 밀버섯속(Gymnopus)으로 분류하고 있다. '굽은애기무리버섯'이라고도 한다. 밀꽃애기버섯에 비해서 갓 색깔이 옅고 부드러운듯... 특히 철쭉과의 나무 밑에 많이 난다고 한다. 식용 버섯이다. ↓ 2012. 08. 25. 대암산 ● 굽은꽃애기버섯 Gymnopus dryophila ↘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밀버섯속 갓의 지름은 1~4cm 정도이며, 초기에는 둥근 산모양이지만 성장하면서 거의 편평한 모양으로 되고 가장자리가 위로 올라가며, 표면은 매끄럽고 황토색이나, 마르면 색이 연해진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형으로 흰색 또는 연한 크림색.. 2012. 10. 15. 끈적긴뿌리버섯 Oudemansiella mucida 끈적긴뿌리버섯은 주름버섯목 송이과의 버섯으로 북한명은 진득고리버섯이다. 갓의 표면은 끈적거리는 물질이 있는데, 이름처럼 실제로는 뿌리가 길지 않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숲 속의 죽은 나무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버섯으로 이용되며 항암작용을 하여 약용으로도 쓴다. 대암산 ● 끈적긴뿌리버섯 Oudemansiella mucida ↘ 송이과 긴뿌리버섯속의 버섯 버섯갓은 지름 3~8cm로 처음에 둥근 산 모양이다가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흰색이고 가운뎃부분은 회갈색 또는 살색이며 축축하면 점성이 많고 줄무늬가 조금 나타난다. 살은 흰색으로 부드럽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이며 흰색으로 반투명하고 촘촘히 나 있다. 버섯대는 굵기 3~7mm, 길이 3~7cm이고 연골질로서 단단하다. 버섯대의 속은 차 .. 2012. 10. 15. 검은애기무리버섯 Clitocybula abundans(추정) 대암산에서 만난 버섯. 썩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라는 이 버섯은 아직 우리 이름이 없는 듯하다. 애기무리버섯(Clitocybula familia)과 같은 속으로 보이는 버섯으로 추정된다.(다음카페 김창환님 조언) ↓ 2012. 08. 25. 양구 대암산 ● 검은애기무리버섯 Clitocybula abundans ↘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애기무리버섯속균모의 지름은 2~4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며 가끔 중앙은 배꼽형인 것도 있다. 표면은 방사상의 섬유실이고 노쇠하면 역시 방사상으로 갈라지며 숯색-회색에서 회갈색을 거쳐 베이지 회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퇴색하고 예리하다. 살은 백색이며 얇다. 맛은 온화하다. 주름살은 올린 주름살에서 넓은 바른 주름살로 백색이며.. 2012. 10. 15. 썩은 나무에 무리지어 자라는 부채버섯 Panellus stypticus 황매산에서 모산재로 내려오는 길목에서 썩은 나무 그루터기에 다닥다닥 무리지어 자라고 있는 손톱처럼 작은 버섯 무리를 만난다. 이름을 확인해 보니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의 부채버섯으로 보인다. 전체가 연한 황갈색으로 가죽질이며 질기고 나무에 붙어 자라며, 독성이 있어 식용할 수 없는 버섯이라 한다. 2011. 09. 12. 황매산 갓이 너무 작아 부채버섯이라는 이름이 그리 어울리지 않는다 싶은데, 갓 한쪽으로 대가 달려 부채살처럼 퍼지는 버섯 모양이 부채를 연상시켜 붙은 이름인가 싶다. ● 부채버섯 Panellus stypticus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부채버섯속여름에서 가을에 활엽수의 썩은 나무나 잘라낸 나무의 그루터기 위에서 무리를 지어 겹쳐서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1.. 2011. 10. 31. 예쁜 보랏빛 버섯, 자주졸각버섯 Laccaria amethystea 도봉산에서 아름다운 보라색 버섯을 만난다. 꽃보다도 더 선명한 보랏빛을 띤 버섯 이름은 자주졸각버섯. 송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분류되었으나 새분류법에 따라 자색돌버섯과에 속하게 되었다. 갓 표면은 초기나 습할 때에는 짙은 보라색을 띠나, 건조해지면 퇴색하여 옅은 회갈.. 2011. 10. 18. 밀꽃애기버섯(밀애기버섯, 밀버섯 ) Gymnopus confluens 흔히 '밀버섯'이라고도 하며 국립수목원의 표준명은 '밀꽃애기버섯'이고, 북한명은 '나도락엽버섯'이다. 송이과 애기버섯속(Collybia)으로 분류되어 왔으나 낙엽버섯과로 밀버섯속(Gymnopus)으로 변경되었다. 봄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버섯으로 맛과 향이 부드러운 식용 버섯이다. 주름살이 좁고 빽빽하며, 대의 표면에 미세한 털이 밀포되어 있다. 외대덧버섯(Rhodophyllus crassipes)도 '밀버섯'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서로 다른 버섯이다. ↓ 합천 가회 ● 밀꽃애기버섯 Gymnopus confluens ↘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밀버섯속 여름에서 가을까지 활엽수림의 땅 또는 낙엽 사이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뭉쳐서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1~3.5㎝로 둥근 산 모양이다가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2011. 9. 3. 애기낙엽버섯 Marasmius siccus 송이버섯과 낙엽버섯속의 버섯으로 북한명은 '쇠줄락엽버섯'이다. 갈색의 갓 윗면은 우산살 모양의 깊은 골이 있고, 버섯대는 철사처럼 가늘다. ↓ 주왕산 ● 애기낙엽버섯 Marasmius siccus /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낙엽버섯속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낙엽 위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1~2cm로 종 모양이거나 둥근 산 모양이다. 갓 표면은 황토색, 육계색, 연한 홍색, 자홍색이며 방사상의 줄무늬 홈이 나 있다. 살은 종이처럼 아주 얇고 가죽질이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 또는 떨어진주름살로 흰색이고 13~15개가 있다. 버섯대는 굵기 1mm, 길이 4~7cm로 철사처럼 생겼으며 윗부분이 흰색이고 그 밖의 부분은 검은 갈색이다. 홀씨는 18~21×4~5㎛로 가늘고 길며 홀씨 무늬.. 2009. 9. 7. 앵두낙엽버섯? 애기낙엽버섯? ※ 남한산 반음지 풀섶 이끼 낀 바위 위에서 2008. 11. 7. 애기낙엽버섯? 종이꽃낙엽버섯? 남한산성 계곡 종이꽃낙엽버섯 애기낙엽버섯 2008. 8. 2.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