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뽕나무과36

뽕나무 닮은 잡초, 뽕모시풀(Fatoua villosa) 이야기 가을이 되면 가장 눈에 잘 띄는 잡초 중의 하나가 뽕모시풀이 아닌가 싶습니다. 날씨가 싸늘해지며 많은 한해살이풀들이 풀이 꺾이며 스러진 자리에 뽕모시풀은 푸른 잎을 홀로 자랑하며 자신의 존재를 뽐내고 늦은 꽃을 피웁니다. 숲 가장자리나 들판의 덤불 주변은 물론, 길가의 풀섶.. 2010. 11. 5.
돌뽕나무 암꽃과 수꽃, 잎과 수피 Morus cathayana 누에를 기를 때 쓰는 보통의 뽕나무와는 아주 다른 느낌을 주는 나무. 굴업도 큰말 뒷산 능선길 주변에서 군락으로 흔하게 만나는 뽕나무를 마을 주민들은 '개뽕나무'라고 부른다. 잎이나 줄기가 비슷한 찰피나무와 섞여 자라고 있어 찰피나무와도 혼동하게 만든다. 이 땅에 자생하는 뽕나무로는 국가표준목록상 기본종인 뽕나무를 비롯하여 산뽕나무, 돌뽕나무, 섬뽕나무, 몽고뽕나무, 꼬리뽕나무, 처진뽕나무, 꾸지뽕나무 등이 있고 가새뽕나무, 왕뽕나무 등의 변이종들이 있다. 그런데 이 나무는 이 중에서 어떤 나무에 속하는 걸까. 톱니가 예리하게 뾰족하다는 몽고뽕나무는 아닌 듯하고, 잎에 윤채가 나고 톱니가 불규칙하며 꼬리가 기다란 섬뽕나무도 아닌 듯하고, 꼬리가 긴 산뽕나무나 꼬리뽕나무는 더구나 아닌 듯하다. 그렇다면 남.. 2010. 7. 15.
뽕잎을 닮은 뽕모시풀(Fatoua villosa) 뽕잎을 닮아 뽕잎풀이라고도 불리는 뽕나무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어린 시절 묘하게도 뽕나무밭 그늘 언덕에서 많이 자라는 이 풀을 보고 뽕나무 어린 개체가 아닐까 생각하기 했는데 가을이면 시들어 버리는 걸 보고 혼란스러워했던 기억이 있기도 하다.  꽃과 잎 등 전체적으로 보면 쐐기풀과의 물통이와 닮았다는 생각도 든다. 하긴 뽕나무과도 쐐기풀목에 속하니 그리 먼 족보는 아니긴하다. 숲 가장자리, 길가 또는 그늘진 빈터에서 자란다. 일본·중국에 분포한다.    2009. 10. 25.  서울               ● 뽕모시풀 Fatoua villosa  ↘  쐐기풀목 뽕나무과 뽕모시풀속 한해살이풀 높이 30∼80cm이며 곧게 서고 잔털이 밀생하며 녹색이지만 간혹 검은 자줏빛이 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 2009. 11. 22.
주머니 속 붉은 꽃차례, 무화과(Ficus carica | Fig Tree) 꽃이 피지 않은 열매라고 해서 무화과란 이름이 붙었지만, 꽃이 피지 않는 나무가 있겠는가. 무화과는 봄에서 여름에 걸친 시기에 연한 붉은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리는데, 이들은 모두 꽃대가 두툼하게 자라 이루어진 주머니 모양의 꽃차례이다. 폐쇄된 주머니 모양의 열매 속에 자.. 2009. 11. 22.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줄기(수피) 단풍섬 ●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소교목 가지에 가시가 있고,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달걀 모양인 것이 있다. 3갈래로 갈라지는 잎은 끝이 둔하고 밑이 둥글다. 달걀 모양의 잎은 끝과 밑이 뾰족하고 길이 6∼10cm, 폭 3∼6cm로 .. 2009. 6. 16.
꾸지뽕나무의 겨울(줄기의 수피와 가시) 풍도 ●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소교목 가지에 가시가 있고,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달걀 모양인 것이 있다. 3갈래로 갈라지는 잎은 끝이 둔하고 밑이 둥글다. 달걀 모양의 잎은 끝과 밑이 뾰족하고 길이 6∼10cm, 폭 3∼6cm로 표.. 2009. 3. 9.
천선과나무 Ficus erecta 열매와 수피 고무나무나 무화과나무와 같은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의 관목! 열매가 젖꼭지를 닮아 젖꼭지나무라고도 한다. 소매물도 수피 나무껍질은 평활하며 가지는 회백색이고 털이 없다. ● 천선과 Ficus erecta / 쐐기풀목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의 낙엽 관목 높이 2∼4m이고 나무껍질은 밋밋하며 .. 2009. 2. 22.
뽕모시풀(뽕잎풀) Fatoua villosa 경기도 이남에 분포하며 풀과 잎의 모습이 뽕나무를 닮아 뽕잎풀이라고도 불린다. 국내에 분포하는 뽕나무과(Moraceae) 식물 중에서 유일한 초본으로 한해살이풀이며, 취산꽃차례인 점이 다르다. 서울 가락동 아파트 공터 뽕모시풀 암꽃과 수꽃 ● 뽕모시풀(뽕잎풀) Fatoua villosa | Mulberry-weed .. 2009. 1. 11.
꾸지나무일까... 닥나무일까, 꾸지나무일까, 아니면 민꾸지나무일까... ※ 홍릉수목원 2008. 12. 7.
꾸지나무 열매, 닥나무속 5종 구분 선유도에서 만난 닥나무속의 열매, 붉은 과육의 작은 열매가 구형의 이삭에 달려 있는 모습이 이채롭다. 닥나무인지, 꾸지나무인지 판단이 쉽지 않은데, 잎자루가 길어 보이는 점으로 일단 닥나무로 동정한다. (남부지방 영남쪽으로 꾸지나무가 주로 분포하고 닥나무는 충청도와 호남 지방에 분포하는 점에서 닥나무일 가능성도 있다.) 군산 선유도 ● 꾸지나무 Broussonetia papyrifera | Paper Mulberry / 쐐기풀목 뽕나무과 닥나무속의 소교목 높이는 12m이며 작은가지에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어긋나거나 또는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원 모양으로 끝이 꼬리처럼 길며 대개 가장자리가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이다. 잎 길이는 7∼20cm이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있고.. 2008. 11. 23.
모람과 열매 Ficus nipponica 모람은 뽕나무과의 상록 덩굴나무이다. 무화과나무, 천선과나무와 같은 Ficus속으로 꽃이 공 모양의 숨은꽃차례(은두화서)로 달린다. 선유도 모람 열매 ● 모람 Ficus nipponica / 뽕나무과의 상록 덩굴나무 줄기는 길이 2-5m, 지름 8cm까지 자라며 기근(氣根)을 형성하여 바위 또는 나무줄기에 붙.. 2008. 11. 23.
뽕나무 Morus alba 열매(오디) 보리가 누렇게 익어갈 무렵 학교가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 시골 아이들은 뽕밭에 들어 앉아 오들개(오디) 따 먹는 재미에 시간 가는 줄 몰랐다. 누에치기(양잠)를 하는 집들이 대부분이라 뽕밭이야 흔했다. 뽕나무 한 그루에 달리는 오디만해도 한 녀석이 다 먹을 수 없을만큼 달렸다.. 2008. 6. 16.
닥나무 암꽃과 수피 Broussonetia kazinoki 줄기의 겁질 섬유로 한지를 만드는 닥나무는 뽕나무과의 나무이다.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서 피는데, 이는 뽕나무나 꾸지나무와 다른 점이다. 암꽃이 진 자리에는 붉은 열매가 성숙하게 된다. 닥나무 암꽃 닥나무 줄기 ●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 paper mulberry /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관.. 2008. 5. 12.
섬뽕나무 섬뽕나무 Morus bombycis var. maritima Koidz. 뽕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 높이 7-8m, 지름 1m에 이르며 줄기가 곧고 많은 가지가 뻗어 나오며 작은가지는 잔털이 있거나 없고 점차 흑갈색으로 된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길이 2-22㎝, 나비 1.5-14.0㎝로서 두껍고 윤채가 있다. 잎은 달걀꼴 또는 넓은 달걀꼴이.. 2007. 12. 11.
꾸지나무 Broussonetia papyrifera 울릉도 도동 해안 기슭 산책로 주변에 꾸지나무가 많이 자생하고 있다. 꾸지나무는 닥나무(B. kazinoki)와 같은 뽕나무과로 여러 모로 비슷하지만 키가 10m에 이를 정도로 교목에 가깝고 암수딴그루인 점 등이 관목상이고 암수한그루인 닥나무와 다르다. 꾸지나무가 털이 많고 잎자루가 긴 .. 2007.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