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가리과44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따가운 햇살에도 주차장 보도 옆 작은 참느릅나무를 타고 박주가리가 솜털 보송한 꽃을 피웠다. 볕이 잘 드는 빈터 어디에나 흔하게 볼 수 있는 덩굴식물이다. 꽃이 지고 난 가을, 긴 열매가 반으로 갈라지며 솜실 모양의 털을 단 종자를 바람에 날리는 모습이 그려진다. 큰조롱에 비해 꽃이 크고 연한 보라색으로 꽃부리 안쪽에 뽀송한 긴 털이 많다.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곳에 흔하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열매 속 씨앗에 달린 우산털은 인주를 만드는 데 쓴다. 줄기와 뿌리를 약으로 쓴다. 2024. 08. 27. 서울 ●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 rough potato ↘ 목련강.. 2024. 9. 11.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시원스럽게 넓은 잎이 마주난 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로 흰 꽃이 핀 모습이 아름답다. 검붉은 꽃이 피는 백미꽃에 비해서 꽃은 흰색이며 꽃자루는 길이 1.5~2cm로 길고 꽃부리는 털이 없는 점으로 구분된다. 또 꽃이 연한 노랑 또는 자주색이고 꽃자루가 짧은 선백미꽃과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 풀밭이나 숲 가장자리에 자생한다.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 목련강 국화아강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60cm,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전체에 가는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 또는 난형, 길이 8~15cm, 폭 4~8cm, 가장.. 2024. 5. 28. 선백미꽃(자주)과 열매 Cynanchum inamoenum 선백미꽃은 분포지는 제한되어 있지만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는 특징을 보인다. 두산 백과에는 자생지를 경남·전북·강원이라고 하는데 세 지역의 높은 산에서 자생하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대덕산 ●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 2016. 7. 2.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선백미꽃은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6월에 대개 노란 꽃을 피우는데, 대덕산의 선백미꽃처럼 자줏빛을 띠기도 한다.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꽃줄기에 산형으로 달리는 긴 소화경에 꽃이 다닥다닥 달린다. 경남 가야산, 지리산, 전북 덕유산, 강원도 대덕산 등에 자라며 일본, 만주, 중국, 러시아 우수리, 사할린 등에 분포한다. 2016. 06. 12. 가야산 ●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60cm이며 짧은 털이 있고 자르면 우윳빛의 즙액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 또는 좁은 타원 모양이며 길이가 6∼10cm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2016. 6. 17. 넓은잎큰조롱 Cynanchum boudieri, 꽃과 열매 넓은잎큰조롱은 큰조롱과 아주 유사한 중국 원산의 박주가리과의 백미꽃속의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한국에서도 도입종이 재배되고 있다. 뿌리를 '이엽우피소(耳葉牛皮消)'라 부르는데, 큰조롱에 비해 잎이 넓고 크며 꽃받침이 벌어져 젖혀지고 열매 꼬투리가 작고 색이 진한 점 등으로 구별된다. 2015. 09. 24. 남한산성 큰조롱 열매 ● 넓은잎큰조롱 Cynanchum boudieri ↘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덩굴줄기는 직립하거나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지하경이 있다. 뿌리는 섬유질, 목질, 육질이다. 잎은 마주나는데 드물게 돌려나기도 한다. 잎겨드랑이에 때로 작은 턱잎처럼 생긴 잎이 있다. 잎몸은 막질, 가는 털이 있으며, 넓은 난형 내지 난상 긴 원형, 길이 4~12cm, 너비 4.. 2015. 10. 11.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여러해살이풀, 선백미꽃은 크기와 잎 모양이 백미꽃과 비슷하다. 백미꽃이 검은 자주색인 데 비해 선백미꽃은 연한 황색이다. 높은 산지의 능선 및 풀밭에 자란다. 운장산 ●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 Upright Asian swallow-wort ↘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60cm이며 짧은 털이 있고 자르면 우윳빛의 즙액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 또는 좁은 타원 모양이며 길이가 6∼10cm 폭이 3~6㎝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가 7∼10mm이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짧은 꽃줄기가 나오는데 6월에 우산살 모양으로 올라가며 연한 황색, 또는 자주잿으로 피고 지름이 약 0.7㎝ .. 2015. 6. 9.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백미꽃에 비해서 꽃은 흰색이며, 꽃자루는 길이 1.5~2cm로 길고, 꽃부리는 털이 없으므로 구분된다. 또한 꽃의 지름이 5mm 정도로 연한 노랑 또는 자주색이며, 꽃자루가 짧은 선백미꽃과 구별된다. 풀밭이나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2015. 05. 31. 천마산 ●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 목련강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잔털이 있고 높이가 30∼60cm이다. 줄기를 자르면 우유 같은 유액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8∼15cm, 폭 5∼7cm의 타원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타원형이며 끝 부.. 2015. 6. 5.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태백 ●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60cm이며 짧은 털이 있고 자르면 우윳빛의 즙액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 또는 좁은 타원 모양이며 길이가 6∼10cm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 2015. 5. 24.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열매 처음 만나는 박주가리과 식물이다 싶었는데 민백미꽃이다. 줄기가 워낙 튼튼한데다 잎도 크고 잎끝이 비교적 둥근 모습이 육지의 민백미꽃과는 느낌이 사뭇 달라 보인다. 2013. 07. 13. 한라산 영실 ●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의 여러해살이풀 키는 30~60㎝이고, 잎은 길이가 8~15㎝, 폭은 4~8㎝로 양면에 잔털이 있으며 타원형이고 마주난다. 꽃은 백색이고 지름이 약 2㎝로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펼쳐지듯 달린다. 꽃 안에 들어 있는 백색은 삼각형이고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8~9월 경에 달리고 종자는 익으면 흰색털이 달려 있다. 2014. 7. 13.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검은 자주색의 꽃이 피는 백미꽃(C. atratum )에 비해 흰 꽃이 피며 꽃자루는 길이 1.5-2cm로 길고 꽃부리는 털이 없는 점으로 구분된다. ●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 Cruel Plant ↘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잔털이 있고 높이가 30∼60cm이다. 줄기를 자르면 우유 같은 유액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8∼15cm, 폭 5∼7cm의 타원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타원형이며 끝 부분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잔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 굽은 털이 있다. 꽃은 5∼7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과 줄기 윗부분에 있는 잎겨드랑이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5∼6개.. 2014. 5. 13.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 열매 산해박은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볕이 잘 드는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는데 무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선형에 가까울 정도로 긴 잎을 보면 벼과의 풀잎을 연상시키지만 꽃과 열매를 보면 박주가리과의 특성이 그대로 보인다. 열매를 맺.. 2012. 9. 8. 왜박주가리 Tylophora floribunda 경남 합천, 고향 뒷산에서 왜박주가리를 처음으로 만난다. 이렇게 작은 댕댕이덩굴이 다 있는가 하고 살펴본 덩굴풀은 왜박주가리였다. 꽃의 크기가 4~5mm라는데, 좁쌀보다도 더 작고 잎은 사진 크기가 실물 크기일 정도로 작다.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왜박주가리는 중부지방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고 되어 있으나 제주 전남 등 남부지방에도 자생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좀양반풀', '양반박주가리', '나도박주가리'라고도 한다. 국가 단위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덩굴을 뒤집어서 드러난 잎 뒷면 ● 왜박주가리 Tylophora floribunda | Many-flower tylophora ↘ 용담목 박주가리과 왜박주가리속 덩굴풀 줄기는 가늘고 길다. 근경이 짧고 뿌리가 수평으로 퍼진다. 잎 표면 맥위에만 곱.. 2011. 9. 2. 마다가스카르재스민 Stephanotis floribunda 마다가스카르재스민은 용담목 협죽도과 박주가리아과의 상록 덩굴식물로 마다가스카르가 원산지이다. 꽃 모양이 재스민을 연상시키고 꽃에서 재스민과 같은 향기가 나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Jasminum)의 재스민과는 전혀 다른 종류이다. 영명은 Madagascar Jasmine 외에도 Bridal Wreath(신부 화환), Hawaiian Wedding Flower, Clustered Wax-flower 등으로 다양한데, 결혼과 관련된 이름이 많은 것이 눈에 띈다. 결혼식에서 신부 화환이나 부케로 많이 이용되는 꽃인 듯하다. 높이 5m 내외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타원형으로 짙은 녹색이며 혁질로 광택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며 순백색이고 6~7송이가 모여 잎.. 2011. 8. 26.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민백미꽃은 전국의 산과 들에 자라는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영명은 Cruel Plant, Mosquito Plant라고 하는데 어째서 '잔인한 풀' '모기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이름의 유래가 궁금하다. ↓ 천마산 ●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 2011. 6. 17. 민백미꽃(Cynanchum ascyrifolium) 민백미꽃은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무릎높이 정도로 곧게 자라며, 원줄기를 자르면 하얀 유액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이고 잎자루는 길이 1~2cm이다. 5-7월에 흰 꽃이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산형꽃차례에 지름은 2cm 정도 크기로 달린다. 잔인한 풀(Cruel Plant), 모기풀(Mos.. 2011. 6. 1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