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가리과44 민백미꽃(Cynanchum ascyrifolium) 민백미꽃은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5~7월에 흰 꽃이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산형으로 달린다. 꽃의 지름은 2cm 정도로 5개로 갈라진다. ↓ 천마산 2011. 6. 16.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 열매 굴업도 토끼섬에서 보기 쉽지 않은 산해박 열매를 만난다.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꽃이 피는데, 꽃이 진 다음에 성숙한 열매를 달고 있는 모습을 보기는 쉽지 않다. 어쩌다 발견하는 산해박의 열매를 보면 박주가리와 닮았음을 알 수 있다. 산해박의 열매는 골돌과로서 뿔처럼 길고 뾰족한.. 2010. 12. 14. 민백미꽃(Cynanchum ascyrifolium) 전국의 산과 들에 자라고 일본, 만주에 분포하는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30-60cm로서 원줄기를 자르면 하얀 유액이 나오고 녹색이며 곧게 선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2cm이다. 5-7월에 흰 꽃이 원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 2010. 5. 31.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 백령도 ●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 Wilford Swallowwort /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원줄기는 원주형으로 가늘고 왼쪽으로 감아오르며 길이 1-3m이고 상처에서 백색 유액이 흐른다. 뿌리는 깊이 들어간다. 육질의 덩이뿌리는 지름 2-7cm, 길이 10-20cm의 방추형이고 겉이 암갈색이다. 잎은.. 2009. 8. 16.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박주가리과 식물로 박주가리와 닮았지만 잎과 꽃 열매의 모양이 박주가리와는 다소 다르다. 박주가리에 비해 잎과 꽃은 작은데 열매는 더 크다. 잎은 작고 둥글며 잎밑이 둥글게 패인 심장 모양이고 황록색 꽃은 작아 화려함과는 거리가 멀다. 열매는 박주가리가 우둘투둘한 돌기가 있고.. 2009. 7. 31.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큰조롱은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은조롱, 백하수오, 새박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양지바른 산록 풀밭, 돌이 많은 관목림 또는 바닷가 경사지에서 자란다. ↓ 홍릉수목원 ●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 Wilford Swallowwort /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원줄기는 원주형으로 가늘.. 2009. 7. 6. 산해박 Cynanchum paniculatum 국내에 분포하는 백미꽃속(Cynanchum) 식물들에 비해서 산해박은 잎이 가장 가늘고 부화관 갈래는 서로 완전히 떨어져 있거나 아래쪽만 붙은 점으로 구분된다. 대모산 ● 산해박 Cynanchum paniculatum | Paniculate Swal-lowwort /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60cm에 달하며 줄기.. 2009. 6. 22. 박주가리 열매 Metaplexis japonica 왕나비 애벌레는 박주가리를 먹고 자라는데, 나비가 되면 모아둔 박주가리의 독을 이용하여 천적인 새로부터 보호한다고 한다. 박주가리의 줄기나 잎을 자르면 나오는 흰 즙은 작은 곤충이 먹으면 심장마비를 일으킬 정도로 독성이 강하고 맛이 씁스름하다. 박주가리의 꽃은 통이 좁은.. 2009. 3. 1.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합천 가회 ●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땅속줄기가 길게 벋어가고 여기서 자란 덩굴이 길이 3m 정도로 자라며, 자르면 흰젖 같은 유액(乳液)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긴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끝은 뾰족하고 뒷면은 분록색이며 잎자루.. 2008. 11. 4. 산해박 ▶ 남한산 해질 녘 볕 바른 등성이에서 꽃 피기 전의 전초 모습 꽃 핀 모습 ▶ 산해박 꽃과 열매 자세히 더 보기 => http://blog.daum.net/kheenn/14949885 ▶ 산해박의 일생 =>http://blog.daum.net/kheenn/10815905 2008. 10. 5. 덩굴박주가리(Cynanchum nipponicum) ▶ 대모산 그늘진 숲속 2008. 7. 28.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서울 대모산 그늘진 숲속에는 덩굴박주가리가 산다. 덩굴박주가리는 박주가리에 비해서 전체가 많이 작은 덩굴성 풀로 제주도, 지리산 및 강원 북부에 분포한다. 습기가 많으며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도감이나 사전에서는 꽃의 색을 노란색이라고 적고 있으나, 아래에서처럼 적색인 경우가 많다. 꽃과 잎 꽃 피기 전, 덩굴 모습 곧게 서는 어린풀 ●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여러해살이 덩굴풀 길이 40∼100cm이다. 곱슬거리는 털이 약간 있고 밑부분이 곧게 서며 윗부분은 덩굴성이다. 잎은 마주나고 곧게 선 부분의 잎은 크며 막질(膜質)이고 넓은 바소꼴 또는 긴 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 끝은 길고 뾰족하며 밑부분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 2008. 7. 28. 큰조롱(은조롱, 백하수오) ▶ 홍릉수목원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은조롱·새박풀·하수오 라고도 한다. 산기슭 양지의 풀밭이나 바닷가의 경사지에서 자란다. 높이 1∼3m이다. 굵은 뿌리가 땅속 깊이 들어 있고 여기에서 원줄기가 나오며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자르면 흰.. 2008. 7. 25. 산해박 볕 잘 드는 산의 풀밭에 자생하는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이 워낙 날렵해서 이를 처음 접하게 될 때에는 외떡잎식물이 아닌가 하는 착각을 하게 된다. 잎모양만이 아니라 하늘만 보고 길게 자라는 모습도 덩굴식물인 박주가리와는 한참 거리가 있어 보이는데, 꽃이 핀 모습을 만나게 되면 박주.. 2008. 6. 24. 박주가리(양구) Metaplexis japonica 강원도 양구 대암산 부근 ●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 용담목 박주가리과 땅속줄기가 길게 벋어가고 여기서 자란 덩굴이 길이 3m 정도로 자라며, 자르면 흰젖 같은 유액(乳液)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긴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끝은 뾰족하고 뒷면은 분록색이며 잎자루는 .. 2007. 12. 3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