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리아재비과377 개구리갓 => 왜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franchetii 왜미나리아재비는 경기도와 강원도 이북 고산지대의 볕이 드는 골짜기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그 동안 개구리갓과 혼동되어 왔다. 개구리갓의 국생정 사진 자료조차 왜미나리아재비 이미지를 담고 있다. 개구리갓은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하고 있는데, 잎 모양에.. 2008. 5. 25. 모데미풀, 꽃과 열매 모데미풀은 금매화아재비라고도 불리는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특산종이다. 설악산, 소백산, 덕유산, 지리산 등 깊은 산 능선 및 습지에서 자라는데, 신록이 싱그러운 숲속에서 하얗게 피는 꽃이 청초하다. 모데미풀이 필 무렵 주변 숲속에는 복수초, 현호색, 노루귀, 한.. 2008. 5. 25.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계곡 주변의 습윤지, 낙엽수림 하부에 생육하고 개화 및 생육기에는 양지 조건인 곳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Anemone속 식물 중 대표적인 종으로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쌍둥바람꽃처럼 꽃대가 두 개인 녀석들도 간혹 보이는데, 변이라고 봐야 할듯... ● 홀.. 2008. 5. 25.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이라는 이름이 붙은 식물들은 바람에 흔들려 씨앗이 자연스레 주위로 퍼진다. 이는 추운 알래스카 지방부터 열대 지방에 이르기까지 모든 대륙에서 바람꽃을 볼 수 있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회리바람꽃은 가는 꽃.. 2008. 5. 25. 요강나물(선종덩굴) Clematis fusca var. coreana 검은종덩굴(C. fusca)의 덩굴성이 없는 변종으로 선종덩굴로도 불리는,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검은종덩굴은 덩굴식물로 잎은 5-9개의 소엽으로 구성되어 마주나며, 새순 끝의 잎은 덩굴손으로 변하기도 한다. 강원도 이북, 주로 백두대간의 높은 산지에 자생한다. 곰배령 ● 요강나물 Clematis fusca var. corean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낙엽활엽 반관목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선다.잎은 대생하며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엽으로서 깊게 3개로 갈라져 단풍잎처럼 되는 것도 있고 양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화피에 흑갈색 털이 밀포한다. 열매는 도란형으로서 표면에 갈색 털이 있고 암술.. 2008. 5. 24. 동의나물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var. membranacea ㅣ Marsh marigold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다른 이름 : 동이나물, 원숭이나물, 입금화(立金花), 노제초, 수호려 산속 습지나 초원의 물가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이른 봄 다른 야생화들보다 앞서 꽃을 피우기 때문에, 산의 봄을 알리는 전령사 역할을 한다. 여름에.. 2008. 4. 30. 회리바람꽃 08-2 2008. 4. 26. 회리바람꽃 08-1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이라는 이름이 붙은 식물들은 바람에 흔들려 씨앗이 자연스레 주위로 퍼진다. 이는 추운 알래스카 지방부터 열대 지방에 이르기까지 모든 대륙에서 바람꽃을 볼 수 있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회리바람꽃은 가는 꽃줄기에 한 송이씩 .. 2008. 4. 26. 꿩의바람꽃(남한산) 2008. 4. 24. 흰노루귀 2008. 4. 22. 라넌큘러스 Ranunculus asiaticus 장미를 연상시키는 화려한 꽃, 하지만 미나리아재비과의 원예종 구근초인 라넌큘러스이다. 동남유럽에서 서남아시아까지 분포하는 꽃미나리아재비를 개량한 것으로 4월 말~ 5월 초에 꽃이 피며 빨강·분홍·주황·노랑 등 다양한 색깔의 품종이 있다. 꽃잎은 보통 5장이지만, 겹꽃으로 .. 2008. 4. 22.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변산바람꽃, 풍도바람꽃과 함께 너도바람꽃속 자생 3종의 하나로, 너도바람꽃속 바람곷들은 눈 속에서도 필 정도로 바람꽃 종류 중에서 가장 이르게 꽃이 핀다. 종소명 stellata는 5개의 꽃받침잎(꽃)이 별 모양을 닮은 데서 유래한 명칭이다.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Eranthis)의 여러해살이풀로 지리산, 덕유산, 적상산 등 소백산맥 심산지역을 비롯하여 중부지방과 북부지방까지 전국의 깊은 산지 반음지 골짜기에 자란다. ●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 White snowdrop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5cm에 달한다. 둥근 덩이줄기가 있으며 그 선단에서 잎과 꽃대가 자란다. 근생엽은 길이 5-10cm의 긴 엽병이 있으며 3개로 깊게 갈라지며.. 2008. 4. 17.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Eranthis)의 여러해살이풀로 지리산, 덕유산, 적상산 등 소백산맥 심산지역을 비롯하여 중부지방과 북부지방까지 전국의 깊은 산지 반음지 골짜기에 자란다. ●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 White snowdrop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여러해살.. 2008. 4. 17. 복수초 가지복수초나 세복수초의 꽃받침이 5개인 데 비해 복수초의 꽃받침은 8개임을 알 수 있다. 2008. 4. 17.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바람꽃속(Anemone) 자생종 가운데 꽃잎 모양의 꽃받침이 10-30개 정도로 많아서, 대개 5개 정도인 다른 바람꽃 종류들과 쉽게 구분된다. 꽃자루에 요렇게 털이 많은 녀석이 있는데 이렇게 털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도 보인다. ●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 Radde Anemone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의 높이는 10-15cm이다. 근경은 육질이며 굵고 길이 1.5-3cm로서 방추형이며 옆으로 자라고 갈색이며 선단에 막질의 비늘조각이 몇 개 있고 매끈하다. 근생엽은 꽃이 쓰러진 다음 자라며 길이 4-15cm의 엽병이 있고 이회삼출겹잎이며 털이 없거나 긴 털이 성글게 있고 총포조각은 3개이며 짧은 엽병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35m.. 2008. 4. 17.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