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까치밥나무과7

까마귀밥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영흥도 바닷가 언덕에 붉은 열매가 보석처럼 달렸다. 봄에 피는 연한 노란색의 작은 꽃에 비해 가을의 열매는 이처럼 훨씬 화려하다. 열매는 쓴맛이 나며, 10여 개의 종자가 들어 있는데 겉이 끈적끈적하고 연노란색이다. 같은 속의 다른 종들과는 달리 암수딴그루이며 줄기에 가시가 없고 수꽃과 암꽃이 짧은 가지에 몇 개가 모여서 핀다.  예전엔 '까마귀밥여름나무'로 불렸는데 어느 새 '여름'이 빠진 까마귀밥나무로 국명이 간단해졌다. 범의귀과로 분류되던 것이 까치밥나무과로 분리 재배치된 것도 달라진 점이다.  우리나라 전역 산기슭 또는 골짜기에 자라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4. 10. 19.  영흥도      ● 까마귀밥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  목련.. 2024. 11. 8.
까마귀밥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연한 노란색의 작은 꽃이 작은 가지 끝에 모여 피어 있는 모습이 수수하다.  가을에 붉게 익는 열매는 훨씬 화려하다. 같은 속의 다른 종들과는 달리 암수딴그루이며 줄기에 가시가 없고 수꽃과 암꽃이 짧은 가지에 몇 개가 모여서 핀다.   '까마귀밥여름나무'로 불렸는데 어느 새 '여름'이 빠진 까마귀밥나무로 국명이 간단해졌다. 범의귀과로 분류되던 것이 까치밥나무과로 분리 재배치된 것도 달라진 점이다.  우리나라 전역 산기슭 또는 골짜기에 자라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2016. 04. 09.  선운산      ● 까마귀밥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  목련강 장미아강 장미목 까치밥나무과 까치밥나무속 관목 줄기는 가시가 없으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1.0~.. 2016. 4. 18.
개앵도나무 꽃 Ribes mandshuricum f. subglabrum 개앵도나무는 까치밥나무의 품종으로 잎 뒷면 맥 위에만 털이 나고 꽃이삭에 털이 적은 점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까마귀밥, 까치밥나무 등 까치밥나무속 관목들은 범의귀과에서 까치밥까치과로 분리 재배치되었다.    2015. 05. 16.  금대봉         ● 개앵도나무 Ribes mandshuricum f. subglabrum  ↘   장미목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관목 나무껍질은 회색이며 일년생가지는 갈색이고 동아는 달걀모양으로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둥글며 길이 5~10cm, 나비 4~10cm이고 밑은 심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겹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으로 잔털이 있고 뒷면은 백융털이 밀생하며 엽병은 길이 1~6cm이다. 양성꽃으로 5월에 피고 길이 20cm 정도의 총상꽃차례에 많은 꽃이.. 2015. 5. 23.
명자순 Ribes maximowiczianum, 잎과 열매 지리산 능선 길에는 명자순(榠榨荀) 나무를 흔히 만날 수 있다. 가을이라 붉게 익은 열매가 보석처럼 영롱하게 반짝인다. 북부지방과 백두대간을 따라 자생하는 아고산계 식물이다. 명자순은 장미목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의 떨기나무로 까치밥나무나 까마귀밥여름나무와 닮았는데, 까치밥나무가 암수한그루이고 까마귀밥나무가 암수딴그루 또는 암수한그루인 데 비해 암수딴그루이다. '조까치밥나무', '참까치밥나무'라 불리기도 한다. 지리산 ● 명자순 Ribes maximowiczianum | Common Korean currant / 장미목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관목 가지에 털이 없다. 잎은 삼각상 원형이고 3개로 얕게 갈라지며 겹톱니가 있고 첨두이며 예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잎 길이와 폭이 2~cm로 작은 편이고 잎자루는 7~.. 2011. 11. 14.
까마귀밥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열매 '까마귀밥여름나무'로 불려왔던 까마귀밥나무. 까마귀가 즐겨 먹는 열매가 달리는 나무라는 뜻으로 '까마귀밥여름나무'라 부른 것으로 보인다. 가을에 가지마다 가득 달린 붉게 익은 열매들은 보기에도 탐스럽고 먹음직스러워 까막까치들의 먹이로서 손색이 없어 보이는데 보기와는 달리 맛은 다소 텁텁하고 쓰다. (나무의 이름에서 '여름'의 뜻은 계절인 '여름'이라기보다는 '열매'의 옛말 '여름'으로 보인다. 까마귀밥여름나무는 '까마귀 밥인 열매가 달리는 나무'라는 뜻으로 보면 된다.) ▼ 굴업도 같은 범의귀과 유사한 종으로 개당주나무, 까치밥나무, 바늘까치밥나무 등이 있다. 까치밥나무 종류와는 꽃차례가 달라 구별되지만 기본종인 개당주나무(Ribes fasciculatum)는 까마귀밥여름나무와 구별이 쉽지 않다. 옻독을.. 2010. 12. 14.
까마귀밥여름나무, 개당주나무 개당주나무는 까마귀밥여름나무의 기본종이며, 까마귀밥여름나무는 개당주나무의 변종이다. 둘을 구별하는 것은 쉽지 않은데, 개당주나무의 잎자루와 잎맥에는 털이 거의 없고 까마귀밥나무에는 털이 밀생하는 점으로 구별한다고 한다.  수목원에서 만난 까마귀밥여름나무는 꽃이 한창인데 개당주나무는 꽃이 지고 열매가 달렸다.    ● 까마귀밥여름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높이 1∼1.5m이다. 가지에 가시가 없으며 나무껍질은 검은 홍자색 또는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길이 5∼10cm로 3∼5개로 갈라지고 뭉툭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과 잎자루에는 털이 난다. 꽃은 양성화로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 달리는데, 4∼5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수꽃은 꽃자.. 2008. 4. 30.
까치밥나무 Ribes mandshuricum 열매 까치밥나무인지 개앵도나무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개앵도나무는 까치밥나무의 품종으로까치밥나무에 비하여 잎 뒷면 맥 위에만 털이 있고 꽃차례에 털이 적은 점으로 구별된다고 하는데, 비바람 맞으며 흔들리는 열매의 사진 담기조차 쉽지 않다.     2007. 09. 22.  대관령          ● 까치밥나무 Ribes mandshuricum  /  장미목 범의귀과 까치밥나무속 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는 털이 없으며 굵고 동아는 달걀모양이며 털이 있다. 일년생가지에 짧은 털과 지점이 있다 잎은 원형이고 3-5개로 갈라지며 예두 심장저(까마귀밥여름나무의 기부는 심장저 또는 절저임)이고 겹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4-10cm로서 잔털이 산생하며 뒷면에 융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1-6c.. 2007.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