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물버섯과118

왕그물버섯 Hemileccinum impolitum(Boletus impolitus) 유사종 임도를 따라 걷는 둘레길, 절개지 위쪽 벽에 흰 자루에 살구갈색의 갓을 가진 버섯 하나가 보인다. 자실층 관공은 레몬황색으로 변색이 없고 육안으로 보이지 않을 만큼 아주 촘촘하다. 자루는 밑부분을 향해 곤봉처럼 굵어지며 비대한 모습을 보이는데, 자루만 보면 큰둘레그물버섯 비슷해 보인다. 자실층만 보면 산속그물버섯아재비 비슷하지만 그 외 부분은 다르다. 여러 자료를 찾다보니 바랜그물버섯(Imleria pallida), 호두산그물버섯속(Hemileccinum) 버섯인 왕그물버섯(H. impolitum=Boletus impolitus)이나 H. depilatum, 그리고 부속그물버섯(Butyriboletus appendiculatus) 등이 상당히 유사해 보이는데 이들 중 왕그물버섯이 가장 근접한 이미지로 보.. 2023. 10. 29.
분말그물버섯=노란분말그물버섯=갓그물버섯 Pulveroboletus raveneli 갓 표면에 점박이 비늘 무늬가 있는 유형의 분말그물버섯과 달리, 레몬황색의 표면이 갈라져 붉은갈색을 띠는 모습을 보인다. 표먄은 솜 같은 가루 물질로 덮여 있으며, 살은 상처를 받으면 녹청색으로 변한다. 여름~가을 침엽수림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으로 중국에서는 요통, 마비된 팔다리를 치료하고 출혈 방지제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매염제에 따라 노란색, 금색, 녹황색, 주황색, 올리브색 등 다양한 색을 내는 염료로 사용되었다. 2023. 09. 11. 서울 ● 분말그물버섯 Pulveroboletus raveneli i Ravenel's bolete, powdery sulfur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분말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4~10cm로 처음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 2023. 10. 28.
은빛쓴맛그물버섯 Sutorius eximius(Tylopilus eximius) 갓 표면은 초콜릿 자갈색으로 처음에는 독특한 꽃잎무늬가 있다. 영명 lilac-brown bolete은 라일락 꽃 빛깔이 감도는 갈색 갓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살은 흰색에서 분홍색으로 변하고 관공은 어두운 자갈색으로 자루 주변이 침몰하거나 끝 붙은 모양이다. 자루는 원통형으로 속이 차 있으며 표면은 붉은갈색 바탕에 보랏빛 점 같은 비늘조각이 촘촘하다. 여름~가을 혼합림 땅에 홀로 나거나 무리 지어 난다. 독버섯으로 구토, 설사, 메스꺼움과 함께 심각한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2023. 09. 11. 서울 ● 은빛쓴맛그물버섯 Sutorius eximius | lilac-brown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은빛그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12cm로 구형에서 넓은 원추형을 거쳐 차차 편.. 2023. 10. 27.
일본연지그물버섯 Heimioporus japonicus 야산 능선의 한 봉우리 리기다소나무가 작은 숲을 이룬 곳에 뜻밖에 일본연지그물버섯이 몇 군데 작은 무리를 짓고 있다. 이미 노균으로 접어드는 모습인데 아쉽게도 흰 속버섯균들로 감염이 진행된 것이 많다.  다홍색 갓과 자루, 노란 관공의 자실층으로 색감이 곱고 예쁜 그물버섯과의 버섯! 갓 표면은 매끄럽고 분홍색~적갈색이며 살은 연한 황적색이나 약간 청색으로 변색된다. 관공은 노란색~올리브색이며 변색은 거의 없다. 갓과 같은 색의 자루는 속이 차 있고 미세한 반점과 도드라진 그물눈이 있다.  한국,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 지역에 제한된 분포를 보이고 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또는 침엽수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식용 여부는 불분명하다.    2023. 09. 11.  서울          ● .. 2023. 10. 27.
일본연지그물버섯 Heimioporus japonicus 다홍색 갓과 자루, 노란 관공의 자실층으로 색감이 곱고 예쁜 그물버섯과의 버섯이다. 갓 표면은 매끄럽고 분홍색~적갈색이며 살은 연한 황적색이나 약간 청색으로 변색된다. 관공은 노란색~올리브색이며 변색은 거의 없다. 갓과 같은 색의 자루는 속이 차 있고 미세한 반점과 도드라진 그물눈이 있다. 한국,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 지역에 제한된 분포를 보이고 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또는 침엽수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식용 여부는 불분명하다. 2023. 09. 10. 서오릉 ● 일본연지그물버섯 Heimioporus japonicus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연지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5~8cm이고 처음에는 반구형, 이후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한 모양이 된다. 표면은 매끄럽고 자홍색 또는 적갈색이.. 2023. 10. 24.
그물버섯아재비 Boletus reticulatus 비교적 대형 버섯으로 갓 표면은 갈색~올리브 갈색이었다가 갈색~담갈색이 된다. 어릴 때는 미세한 면모가 있고 다소 비로드상이나 성숙한 균모는 일반적으로 표면이 밋밋하고 가끔 균열이 있다. 살은 두꺼우며 흰색으로 변색하지 않는다. 관공은 원형으로 촘촘하며 흰색-회백색에서 담황색~올리브 녹색 등으로 퇴색한다. 자루는 원주형으로 밑동이 다소 굵어지기도 하며 담갈색 바탕에 갈색의 그물눈이 밑동까지 있다.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 숲에서 난다. 유럽에서는 시판되는 식용 버섯으로 맛이 좋다. 2023. 09. 10. 서오릉 ● 그물버섯아재비 Boletus reticulatus | summer bolete, summer cep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6~20cm, 어릴 때는 반구형이며 이후 둥.. 2023. 10. 22.
수원그물버섯 Boletus auripes 갓도 자루도 관공도 살도 모두 노란색~오렌지 갈색인 그물버섯이다. 갓 표면은 노란색에서 갈색빛이 강한 편이고 노란색 살은 공기에 노출되면 색이 더 진해진다. 촘촘한 황색 관공과 자루 위쪽으로 그물무늬가 있는 점 등도 특징이다. 자루 밑부분에는 흰색~황백색 균사가 있고 이를 반영한 듯한 종명 auripes는 '황금발'이란 뜻이며, 영명은 butter-foot bolete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 북동부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또는 혼합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자란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9. 09.  서울      ● 수원그물버섯 Boletus auripes | butter-foot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그물버섯속균모는 지름 6~.. 2023. 10. 21.
붉은쓴맛그물버섯 Tylopilus badiceps 갓 표면은 자갈색~검은 적갈색으로 비교적 밋밋한 편이다. 관공은 흰색에서 살짝 갈색빛이 감돌지만 분홍색으로 물든 모습은 아니며 상처를 주자 갈색으로 물든다. 붉은쓴맛그물버섯(Tylopilus badiceps)의 특징에 가깝다.  북아메리카 남동부에 주로 분포하며, 여름~가을 참나무 숲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9. 08.  서울      ● 붉은쓴맛그물버섯 Tylopilus badiceps | Beveled-cap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쓴맛그물버섯속균모는 지름 4~8cm, 처음에는 둥근 산 모양이다가 넓은 둥근 산 모양으로 변하며 때때로 오래되면 가운데가 들어간다. 가장자리는 고르고, 오래되면 전형적으로 기울지만 비스듬하게 잘린 모양이 되기.. 2023. 10. 18.
미친쓴맛그물버섯 Porphyrellus fumosipes(Tylopilus fumosipes) 갈라진 갈색 갓을 보고 조각해그물버섯이나 노각밤그물버섯인가 했는데 갓 아랫면을 보니 버섯 자루 윗부분이 띠를 두른 듯 푸르고 밑부분은 희다. 미친쓴맛그물버섯의 특징 그대로다. 갓 표면은 어두운 갈색으로 벨벳 모양이며 가늘게 찢어지고 흰 살과 관공면은 공기에 노출되면 푸른색 또는 홍색으로 변한다.  여름~가을 혼효림 내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발생한다. 쓴맛그물버섯속(Tylopilus)에서 미친그물버섯속(Porphyrellus)으로 바뀌었다.    2023. 09. 07.  서울      ● 미친쓴맛그물버섯 Tylopilus fumosipes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쓴맛그물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3~7.5㎝로 처음에 호빵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어두운 갈색 또는 잿빛 갈색으로 벨.. 2023. 10. 15.
녹색쓴맛그물버섯 Chiua virens(Tylopilus virens) 녹황색~올리브 황색의 갓에 연한 황색의 자루가 특징적인 버섯이다. 관공은 연한 홍색이고 살은 황색으로 절단하여도 변색하지 않으며 쓴맛은 없다. 2016년 쓴맛그물버섯속(Tylopilus)에서 녹색그물버섯속(Chiua)으로 이속되었다. 2016년 가야산 버섯 조사에서 보고된 아주 유사한 진노란그물버섯(Chiua olivaceoreticulata)과 유사하다. (참고 : 한반도의 버섯_가야산국립공원 (nibr.go.kr))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남서부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버섯이다. 여름~가을 참나무 등 활엽수림이나 소나무 숲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독버섯으로 위장염이 발생하며 메스꺼움, 구토, 위경련, 설사 등이 있고 발한, 현기증, 오한을 동반한다. 2023. 09. 07. 서울 .. 2023. 10. 15.
은빛쓴맛그물버섯 Sutorius eximius(Tylopilus eximius) 갓 표면은 건조하지만 습할 때는 끈적기가 있으며, 초콜릿 자갈색으로 처음에는 독특한 꽃잎무늬가 있다. 살은 흰색에서 분홍색으로 변하고 관공은 어두운 자갈색으로 자루 주변에 침몰하거나 끝 붙은 관공이다. 자루는 원통형으로 속이 차 있으며 표면은 갈자색 바탕에 자주색 인편이 촘촘하다. 여름~가을 혼합림 땅에 홀로 나거나 무리 지어 난다. 독버섯으로 구토, 설사, 메스꺼움과 함께 심각한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2023. 09. 07. 서울 ● 은빛쓴맛그물버섯 Sutorius eximius | lilac-brown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은빛그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12cm로 구형에서 넓은 원추형을 거쳐 차차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건조하나 습기가 있을 때 끈적기가 있으며, 약간 거칠고.. 2023. 10. 15.
진갈색멋그물버섯(황금씨그물버섯) Xanthoconium affine 황갈색 갓은 밋밋하고 얕은 균열로 살이 노출되기도 하며 살은 희고 벌레 먹은 자리는 녹황색을 띠며 절단하여도 변색하진 않는다. 자루에 대하여 홈 파진 관공으로 구멍은 작고, 유백색-옅은 오렌지색에서 황갈색이 되며 상처 시 진한 색이 된다. 자루표면은 약간 가루상에 꼭대기와 기부는 그을은 갈색으로 흰 세로줄무늬가 있다.  여름~가을 낙엽활엽수림, 특히 자작나무 숲의 땅에 많이 발생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9. 07.  서울   자루의 주위에서 함몰하며 상처 시 진한 색이 된다  살은 희고, 벌레 먹은 자리는 녹황색을 띠며 절단하여도 변색하지 않는다      ● 진갈색멋그물버섯 Xanthoconium affine | Spotted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멋그물버섯속균모는 .. 2023. 10. 13.
수원그물버섯 Boletus auripes 샛노란 자루, 황갈색~밤갈색의 갓... 수원그물버섯의 가장 표준형에 해당하는 버섯인 듯하다. 촘촘한 황색 관공과 자루 위쪽으로 그물무늬가 있는 점 등도 특징이다. 자루 밑부분에는 흰색~황백색 균사가 있고 이를 반영한 듯한 종명 auripes는 '황금발'이란 뜻이며, 영명은 butter-foot bolete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 북동부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또는 혼합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자란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9. 07. 서울 ● 수원그물버섯 Boletus auripes | butter-foot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6~15cm, 반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끈적임이 없고 어릴 때 .. 2023. 10. 13.
수원그물버섯 Boletus auripes 버섯 전체가 황색~황갈색인 것이 특징인 수원그물버섯이다. 잘 안 보이던 이 산에서 9월에 접어들 무렵부터 여기저기 나타나고 있다. 황소둘레그물버섯에 비해서는 색깔이 환하고 관공이 황색이 뚜렷하며 자루 위쪽으로 그물무늬가 있는 점 등으로 알아볼 수 있다. 자루 밑부분에는 흰색~황백색 균사가 있고 이를 반영한 듯한 종명 auripes는 '황금발'이란 뜻이며, 영명은 butter-foot bolete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또는 혼합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자란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9. 06. 서울 ● 수원그물버섯 Boletus auripes | butter-foot bolet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6~15cm, 반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2023. 10. 10.
접시껄껄이그물버섯 Rugiboletus extremiorientalis(Leccinum extremiorientale) 버섯 탐사 산행을 나섰다 산 중턱을 올라서는데 갑자기 비가 쏟아진다. 급하게 하산길을 재촉하는데 지금까지 본 접시껄껄이그물버섯 중 가장 대형이다. 채취하여 손에 드니 무게가 1kg는 넘을 듯하다. 맛없는 식용 버섯이라는 말은 들었지만 워낙 싱싱하여 집에 가져다 발코니에 두었더니, 다음날 녹아내린 까만 액체 덩어리로 변해 있다. 비가 잦은 습한 날씨에는 보관이 어려움을 실감한다.   늦여름~가을에 주로 활엽수림 내에 홀로 나며 활엽수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한국, 일본, 베트남에 분포한다.    2023. 09. 05.  서울       ● 접시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extremiorientale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껄껄이그물버섯속갓은 10~25cm의 대형으로 어릴 때는 반구형이나 후에 둥.. 2023.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