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멍장이버섯과112

삼색도장버섯 Daedaleopsis tricolor 북한 이름은 '밤색주름조개버섯'이다. 구멍장이버섯과이지만 갓 밑면은 조개껍질버섯처럼 주름살 모양이다. 밤나무·벚나무·느티나무 가지, 오리나무 둥치 등의 활엽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 불가. ↓ 양평 어느 밤나무 산 버섯 아랫면 ● 삼색도장버섯 Daedaleopsis tricolor / 담자균류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도장버섯속 버섯갓은 크기 2∼8cm×1∼4cm, 두께 0.5∼0.8cm로 부채꼴이고 편평하며 여러 개가 기왓장 모양으로 겹쳐서 발생한다. 갓 가장자리는 얇고 표면에는 어두운 자줏빛 갈색, 검은색, 갈색 무늬가 나이테처럼 동심원의 고리무늬를 이루며 방사상으로 주름이 져 있다. 살은 잿빛 흰색이고 가죽질이다. 갓 밑면의 자실층은 완전한 주름을 이루고 처음에는 잿빛 흰색이나 .. 2009. 10. 22.
간버섯(진홍색간버섯) Pycnoporus coccineus 간 모양으로 생긴 버섯인데 짙붉은 색이므로 진홍색간버섯이라 한다.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며, 여름과 가을 침엽수와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가지에 홀로 난다. ↓ 양평 어느 밤나무 산 버섯 뒷면 ● 진홍색간버섯 Pycnoporus coccineu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간버섯속 갓은 지름 3~10㎝, 두께 5㎜ 로 반원형이나 부채 모양으로 편평하다. 갓 표면은 선명한 홍등색으로 평활하고 희미한 고리무늬가 있다. 조직은 코르크질, 혁질이다. 자실층은 적홍색이고 관공구는 원형이다. 포자는 장타원형이고 표면은 평활하며 4∼5ⅹ2㎛의 크기이다. ☞ 두산백과사전에서는 간버섯 학명을 'Pycnoporus coccineus'로 표기하고 있는데 국립수목원 균류도감에 따르면 이것은 진홍색간버섯이다. (균류도감에서는.. 2009. 10. 22.
등갈색미로버섯(Daedalea dickinsii)의 생장 과정 양평 서종의 어느 음식점 뜰 구석에 버려진 나무 둥치에 자라고 있는 버섯, 아마도 등갈색미로버섯이 아닐까 싶다. 나무 둥치 위, 아래, 중간에 각각 자라는 버섯의 모습은 조금씩 다른데, 아마도 버섯이 (1) → (3) → (2)의 과정으로 자라는 것이 아닐까 추정해 본다. (2)가 버섯 아랫면 관공이 가장 넓어진 모습이다. (1) 둥치 위쪽에서 자라는 버섯의 윗면과 아랫면 (2) 둥치 중간에서 자라는 버섯의 윗면과 아랫면 (3) 둥치 밑부분에서 자라는 버섯의 윗면과 아랫면 ● 등갈색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 '띠미로버섯'이라고도 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죽은 참나무 줄기, 참나무 박피 밑동, 느티나무 부러진 가지, 딱총나무 죽은 줄기 등에 발생한다.. 2009. 10. 22.
송편버섯 = 흰색향조개버섯 Trametes suaveolens 숲속에서 유난히 하얀 색깔로 눈에 잘 띄는 버섯으로 송편처럼 생겼으며 자루가 없다. '흰색향조개버섯'이라고도 한다. 한가위에 먹는 송편을 닮은 버섯이지만 먹어서는 절대로 안 되는 독버섯이다. ↓ 남한산성 버섯의 갓 아랫면 ●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갓은 두툼한 반원형으로서 갓 표면은 비단이나 융털 모양이나 나중에는 다소 밋밋해진다. 색깔은 대백색에서 회백색, 나중에는 담황갈색으로 바뀌고 평탄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동심환구(環構)가 나있음, 갓테두리는 날카롭다. 살은 코르크질이며 두께는 0.5~2cm 정도이다. 관공의 길이는 0.5~1.5cm이고 공구는 둥근모양 또는 모난모양이며 1mm 사이에 1~3개 있다. 봄부터 가울에 걸쳐 활엽수의 고목 .. 2009. 10. 19.
메꽃버섯부치 Microporus vernicipes 구멍장이버섯과 메꽃버섯속의 버섯으로 북한명은 '반들부채버섯'이다. 버섯대는 아주 짧고 관공은 아주 작아서 잘 보이지 않는다. 주로 침엽수의 살아 있거나 죽은 나무 또는 넘어진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라며, 목재부후균으로 갈색 부패를 일으킨다. ↓ 주왕산 ● 메꽃버섯부치 Microporus vernicipe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메꽃버섯속의 버섯 버섯갓은 2~6×1~3㎝로 신장 모양 또는 반원 모양이고 단단한 가죽질이며 옆에 버섯대가 붙어 있다. 갓 표면은 연한 황백색 또는 크림빛 갈색으로 밋밋하며 윤기가 나고 고리 무늬가 희미하게 보인다. 버섯대는 두께가 2~3㎜이며 옆으로 자라거나 중심에서 자란다. 갓 아랫면은 연한 나무색이고 관공의 길이는 약 1㎜이며, 구멍은 아주 작아 잘 보이지 않는다... 2009. 9. 7.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버섯으로 '흰색향조개버섯'이라고도 한다. 자실체는 대가 없고 갓은 흰색 또는 누른색이며 코르크질로 반원형으로 볼록하다. 송편버섯을 찾아 보니 10여 가지나 나와 있다. 기본종 송편버섯 외에 대합송편버섯(비로도조개버섯), 구름송편버섯(운지버섯), 시루송편버섯, 주걱송편버섯, 흰구름송편버섯, 흰융털송편버섯, 토끼털송편버섯, 등갈색송편버섯, 봇나무송편버섯(자작나무버섯) 등이 그것. ↓ 천마산 ↓ 남한산 ●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갓은 두툼한 반원형으로서 갓 표면은 비단이나 융털 모양이나 나중에는 다소 밋밋해진다. 색깔은 대백색에서 회백색, 나중에는 담황갈색으로 바뀌고 평탄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동심 환구(環構)가 나있음, .. 2009. 8. 18.
송곳니 구름버섯 Coriolus consors 북한명은 흙빛밤색기와버섯이다. 일 년 내내 활엽수의 죽은 나무 또는 그루터기에 무리를 지어 자라는 한해살이 버섯이며 여러 개의 버섯이 서로 달라붙어 기와를 입힌 것같이 늘어서 붙어 있다. 목재부후균으로 나무를 흰색으로 부패시킨다. 식용할 수 없다. 남한산 ● 송곳니 구름버섯.. 2009.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