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3580 자주알록제비꽃 08-1 자주알록제비꽃 Viola variegata var. chinensis Bunge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알록제비꽃에 비하여 잎 표면에 무늬가 거의 없고 잎 뒤에 자색이 뚜렷하다. 잎은 뿌리에서 소수가 총생하며, 엽병이 길다. 둥근 난형이거나 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이며, 심장저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뒷면은 자.. 2008. 4. 22. 서울제비꽃 Viola seoulensis 제비꽃에 비해 잎이 넓은 달걀형 또는 타원형이며 털이 많고 붉은 빛이 없는 녹색이다. 푸른빛이 감도는 연한 보라색 꽃을 피우며 옆꽃잎 안에 털이 없는 점이 특징이다. 한국 특산종으로 서울과 경기 지역에 주로 분포하지만 속리산, 소백산 주변 지역에도 관찰된다. 남한산성 ● 서울제.. 2008. 4. 22.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변산바람꽃, 풍도바람꽃과 함께 너도바람꽃속 자생 3종의 하나로, 너도바람꽃속 바람곷들은 눈 속에서도 필 정도로 바람꽃 종류 중에서 가장 이르게 꽃이 핀다. 종소명 stellata는 5개의 꽃받침잎(꽃)이 별 모양을 닮은 데서 유래한 명칭이다.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Eranthis)의 여러해살이풀로 지리산, 덕유산, 적상산 등 소백산맥 심산지역을 비롯하여 중부지방과 북부지방까지 전국의 깊은 산지 반음지 골짜기에 자란다. ●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 White snowdrop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5cm에 달한다. 둥근 덩이줄기가 있으며 그 선단에서 잎과 꽃대가 자란다. 근생엽은 길이 5-10cm의 긴 엽병이 있으며 3개로 깊게 갈라지며.. 2008. 4. 17.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Eranthis)의 여러해살이풀로 지리산, 덕유산, 적상산 등 소백산맥 심산지역을 비롯하여 중부지방과 북부지방까지 전국의 깊은 산지 반음지 골짜기에 자란다. ● 너도바람꽃 Eranthis stellata | White snowdrop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너도바람꽃속 여러해살.. 2008. 4. 17. 처녀치마 Heloniopsis koreana 잎이 사방으로 둥글게 퍼져 있는 모습이 옛날 처녀들이 즐겨 입던 치마와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란다. 높은 산지의 그늘 습기 많은 곳에서 자란다. ● 처녀치마 Heloniopsis koreana /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곧다. 잎은 무더기로 나와서 꽃방석같이 퍼지고 거꾸.. 2008. 4. 17. 복수초 가지복수초나 세복수초의 꽃받침이 5개인 데 비해 복수초의 꽃받침은 8개임을 알 수 있다. 2008. 4. 17. 는쟁이냉이 어린풀 '는쟁이'는 '명아주'를 뜻하는 말, 는쟁이냉이는 잎이 명아주를 닮은 냉이이다. 5월초순을 전후하여 깊은산 계곡에서 는쟁이냉이는 십자화과의 야생식물로서는 비교적 큰, 눈처럼 하얀 꽃을 피운다. ● 는쟁이냉이 Cardamine komarovi / 십자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2008. 4. 17. 큰괭이밥 Oxalis obtriangulata 깊은 산의 계곡과 주변부에 분포하는 큰괭이밥. 국내에 자생하는 괭이이밥속 식물 중에서 잎과 꽃이 가장 크고 꽃이 꽃대 끝에 하나만 달린다. 애기괭이밥에 비해 조금 크며 작은잎이 역삼각형으로 잎끝은 칼로 자른 듯한 모양이다. 종소명 obtriangulata는 '역삼각형'이란 뜻으로 작은 잎의 .. 2008. 4. 17. 금괭이눈(천마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꽃이 필 때 꽃받침조각과 주위 포엽이 노란 금빛으로 물들기 때문에 금괭이눈이라 한다. '천마괭이눈(Chrysosplenium valdepilosum)'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왔던 종이다. 큰괭이눈(C. pilosum var. fulvum)에 비하여 전체에 털이 적고 포엽의 톱니가 둔하며 종자의 혹 모양 돌기가 작아 능선을 이.. 2008. 4. 17.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바람꽃속(Anemone) 자생종 가운데 꽃잎 모양의 꽃받침이 10-30개 정도로 많아서, 대개 5개 정도인 다른 바람꽃 종류들과 쉽게 구분된다. 꽃자루에 요렇게 털이 많은 녀석이 있는데 이렇게 털이 거의 보이지 않는 것도 보인다. ●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 Radde Anemone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의 높이는 10-15cm이다. 근경은 육질이며 굵고 길이 1.5-3cm로서 방추형이며 옆으로 자라고 갈색이며 선단에 막질의 비늘조각이 몇 개 있고 매끈하다. 근생엽은 꽃이 쓰러진 다음 자라며 길이 4-15cm의 엽병이 있고 이회삼출겹잎이며 털이 없거나 긴 털이 성글게 있고 총포조각은 3개이며 짧은 엽병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35m.. 2008. 4. 17.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바람꽃속(Anemone) 자생종 가운데 꽃잎 모양의 꽃받침이10-30개 정도로 많아서, 대개 5개 정도인 다른 바람꽃 종류들과 쉽게 구분된다. 만주바람꽃 속의 꿩의바람꽃 ●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 Radde Anemone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의 높이는 10-15cm이다. .. 2008. 4. 17. 만주바람꽃 Isopyrum manshuricum 만주바람꽃속(Isopyrum)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경기도와 강원도에 주로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이다. ● 만주바람꽃 Isopyrum manshuricum | Manchurian isopyr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만주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20cm에 달한다. 원줄기 밑부분에 백색 막질의 비늘같은 조각이 있고 백.. 2008. 4. 17. 만주바람꽃 Isopyrum manshuricum 만주바람꽃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경기도와 강원도 일부 지역(광주, 남양주, 연천, 계방산, 영동 등)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이다. ● 만주바람꽃 Isopyrum manshuricum | Manchurian isopyr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만주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20cm에 달한다. 원줄기 밑부분에 백.. 2008. 4. 17. 중의무릇 Gagea lutea '중무릇'이라고도 부르는 중의무릇은 들판이 아니라 산골짜기 습한 땅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들에서 자라는 무릇과 견준 이름일까... 이름이 하필 '중의무릇'인 이유를 말하는 듯, 봄날 스님들이 기거하는 절 주변 산골짜기에서 샛노란 꽃을 피우는 모습을 종종 볼 수 .. 2008. 4. 17. 애기괭이눈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꽃줄기가 가늘고 포엽과 꽃이 다른 괭이눈에 비해 작아서 애기괭이눈이다. 잎이 마주나는 금괭이눈이나 털괭이눈 등 대부분의 괭이눈과 달리 시베리아괭이눈, 산괭이눈과 함께 줄기잎이 어긋난다. 꽃이 필 때의 모습과 꽃이 진 뒤의 모습이 크게 달라진다. 꽃이 지고나면 꽃이 달리지 않.. 2008. 4. 17. 이전 1 ···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2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