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균류1514 흰주름구멍버섯 Antrodia albida 자실체는 일년생으로 흰색에서 크림색을 띠는 배착성 버섯으로 반전하여 선반 모양의 갓을 이루기도 한다. 자실층 표면은 관공상, 미로상 등 변화가 있다. 북한명은 '흰색조개버섯'이다. 침엽수와 활엽수의 죽은 나무 등에 무리를 지어 나는 갈색부후균으로 비교적 흔한 종이다. 2023. 11. 09. 서울 ● 흰주름구멍버섯 Antrodia albida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주름구멍버섯속 자실체는 일반적으로 반배착생. 균모는 반원형-조개껍질형 또는 서로 연결되어 선반(띠) 모양을 이루거나 다수 중첩해서 층생이 하기도 한다. 기질에 부착된 관공은 자루에 대하여 내린 주름살형. 개개의 균모는 폭 1~3cm, 표면은 거의 밋밋하며 선명한 테 무늬가 있다. 색깔은 유백색-회백색. 살.. 2024. 12. 19. 보라털방석버섯=종이유색고약버섯=종이성긴고약버섯 Phlebiopsis crassa 배착성 버섯으로 기주 표면에 밀착하여 자라는데 갓이 없는 경우가 흔하다. 갓은 선반 또는 반원형 모양으로 담황색~갈색의 가는 섬모로 덮여 있다. 자실층은 평활~결절형으로 보라색이며 건조하면 옅은 회갈색이 되고 갈라진다. 부생성 버섯으로 활엽수 고사목의 가지나 줄기에서 주로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는 배착 버섯이다. 2023. 11. 09. 서울 ● 보라털방석버섯(종이유색고약버섯) Phlebiopsis crassa | purple crust fungus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좀아교고약버섯속 목재부후균으로 자실체는 배착성이며 두께 1mm까지 자란다. 자실체 조직은 납질이다. 자실층은 보라색을 띠다가 점차 붉은 갈색으로 변한다. 건조하면 갈라지기 시작하며.. 2024. 12. 19. 참나무쇠요버섯 Diatrypella quercina 자낭각 지름 0.4~0.6mm이고 자낭각이 모여 있는 자좌는 2~3mm 정도이다. 자좌는 나무껍질 속에 묻혀 있다가 성숙하면 팽창되어 껍질을 뚫고 밖으로 노출된다. 색은 흑색이고 대체로 둥글며 방석 같은 모양이다. 표면은 노출된 자낭각의 각공으로 인해서 거칠게 요철이 보이고 주름이 잡히기도 한다. 조덕현은 '참나무사마귀흑침버섯'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가을~봄 참나무류, 버드나무류의 죽은 가지나 껍질에 무리지어 난다. 2023. 11. 09. 서울 ● 참나무쇠요버섯 Diatrypella quercina ↘ 동충하초강 콩꼬투리버섯목 마른버짐버섯과 쇠요버섯속 자실체(자좌)의 자낭각은 지름이 0.4~0.6mm로 자낭각이 모여 있는 자좌는 2~3mm 정도다. 자좌는 나무껍질 속에 묻혀 .. 2024. 12. 19. 큰점버섯 Hypocrea grandis 점버섯과 점버섯속의 버섯으로, 자실체는 지름 0.5~3㎝이며 활엽수 재목 위에 불완전하게 밀착하고 표면은 심하게 굴곡지며 연한 갈색 바탕에 흑갈색 점이 있다. '가죽색점버섯균'(Trichoderma peltatum)과도 유사하다. 늦가을 활엽수의 죽은 나무 위에 홀로 나거나 무리를 이루어 난다.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2023. 11. 01. 서울 ● 큰점버섯 Hypocrea grandis ↘ 동충하초강 동충하초목 점버섯과 점버섯속 자실체는 지름 0.5~3㎝정도로 활엽수의 죽은 나무 위에 붙어서 발생하는데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가장자리가 물결모양으로 뒤틀리거나 기주에서 일부가 떨어져 있기도 한다. 표면은 심하게 굴곡 되어 있고, 연한 갈색 바탕 위에 흑갈색의 미세한 점으로 덮여 .. 2024. 12. 19. 검은점버섯 Camarops polysperma 참나무 재목 수피 속에서 검은 자실체가 발생하여 성숙하면서 수피를 찢고 돌출한 모습이다. 자실체는 두꺼운 살을 가진 타원형으로 길이 2∼4cm, 너비 1∼2cm, 깊이 5mm 정도이며 표면에 포자 분출공이 있다. 여름∼가을에 참나무류 등 활엽수 수피 밑에서 발생하고 수피를 뚫고 성숙한다.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남동부, 열대아메리카, 뉴질랜드 등에 분포한다. 2023. 11. 03. 서울 ● 검은점버섯 Camarops polysperma ↘ 자낭균문 동충하초강 검은점버섯목 검은점버섯과 검은점버섯속자실체(子座)는 수피의 아래에 생기지만 성숙하면 수피를 찢고 돌출한다. 두꺼운 살을 가진 타원형으로 장경 2∼4cm, 단경 1∼2cm 정도 두께는 5mm 정도 된다. 표면은 흑색, .. 2024. 12. 18.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갓은 반원형 또는 조개껍질형으로 지름 7~10cm이며 표면은 담황색에서 밝은 갈색으로 겹둥근무늬가 있고 매우 뻣뻣한 긴 강모로 덮여 있다.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밝은 담황색에서 암갈색으로 관공은 원형, 긴타원형, 미로형, 침형 등으로 다양하다. 북한명은 '빛살갓주름조개버섯'이다. 일 년 내내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3. 11. 03. 서울 ●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 thin walled maze polypore, blushing bracket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도장버섯속자실체는 반원형~부채꼴로 보통 편평하거나 약간 말발굽형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갓이 겹쳐 .. 2024. 12. 18. 갈무른구멍장이버섯 = 가죽아교버섯 Meruliopsis taxicola(Gloeoporus taxicola) 주로 소나무의 고목에 발생하는 목재 백색부후균이다. 자실체는 소나무에 완전 배착성으로 불규칙적 구형의 구멍이 1mm 당 2~4개이며 갈색에서 점차 어두운 적갈색으로 된다. 여름∼가을 소나무 등 침엽수 목재의 수피가 있거나 없는 것에 난다. 주로 작은 가지에 나는데, 입목의 고사지나 땅에 떨어진 나무에 난다. 2023. 11. 01. 서울 ● 갈무른구멍장이버섯 Meruliopsis taxicola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가죽아교버섯속자실체의 전체가 배착생. 흔히 수 센티미터의 막질로 퍼진다. 두께 1~3mm, 기질에 단단하게 붙어 있다. 표면은 쭈글쭈글하고 불규칙한 관공이 안쪽으로 형성된다. 구멍은 불규칙한 원형, 2~3(4)개/mm, 어릴 때는 오렌지 황토색, 이후 오렌지 .. 2024. 12. 17. 벌집겨우살이버섯(너도겨우살이버섯) Coltriciella dependens(Coltricia dependens) 썩어가는 리기다소나무 재목에서 발생한 부착 버섯이다. 보통 개별 자실체는 물조리개 꼭지처럼 생긴 지름 1cm 안팎의 원추형 버섯 머리에는 벌집처럼 관공이 촘촘한데 버섯 등면은 짧은 자루로 기주인 재목에 매달려 붙어 있는데, 이 버섯은 큰 덩어리 형태를 이루고 있다. 너도겨우살이버섯이라고도 하며, 코 모양으로 생겨서 '코겨우살이버섯'이라고도 한다. 썩어가는 나무의 지면이나 그늘이 져 축축한 쪽으로 무리를 지어 발생한다. 일본, 말레이반도, 오세아니아, 미국 동남부, 멕시코 등에 분포한다. 2023. 11. 01. 서울 ● 벌집겨우살이버섯 Coltriciella dependens | hanging polypore ↘ 소나무비늘버섯목 소나무비늘버섯과 벌집겨우살이버섯속자실체의 크기는 0... 2024. 12. 17. '사시나무상황버섯' Sanghuangporus vaninii 한때 겹층진흙버섯(Phellinus conchatus)으로 오인하였던 버섯이다. 흔히 '황철상황', '사시나무상황' 등의 임시명으로 불려왔는데, Sanghuangporus vaninii임이 밝혀졌다. Inonotus vaninii, Phellinus vaninii로 불리다 2015년 Sanghuangporus vaninii 로 변경되었다. 어린 버섯의 갓은 황갈색이지만 점차로 어두워져 암갈색-흑갈색으로 바뀐다. 주로 은사시나무 재목에서 발생하는 등 포플러 나무에서 자란다. 여러해살이이다. 중국에서는 '瓦尼桑黄(와니상황)'이라 불리는데 종소명 'vaninii'도 이와 연관된 이름인 듯하다. 아직 국명은 없으며 네이버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는 '은사시상황버섯'이라는 임시명을 쓰고 있다. 2023... 2024. 12. 17.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갓은 반원형 또는 조개껍질형으로 지름 7~10cm이며 표면은 담황색에서 밝은 갈색으로 겹둥근무늬가 있고 매우 뻣뻣한 긴 강모로 덮여 있다.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밝은 담황색에서 암갈색으로 관공은 원형, 긴타원형, 미로형, 침형 등으로 다양하다. 북한명은 '빛살갓주름조개버섯'이다. 일 년 내내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3. 10. 30. 철원 복주산 ● 도장버섯 Daedaleopsis confragosa | thin walled maze polypore, blushing bracket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도장버섯속자실체는 반원형~부채꼴로 보통 편평하거나 약간 말발굽형이 되기도 한다. 때로는 갓이.. 2024. 12. 15. 팽나무버섯(팽이버섯) Flammulina velutipes 눈이 쌓이는 겨울에도 발생하는 뽕나무과의 내한성 버섯으로 영명도 'winter mushroom'이다. 갓 표면과 자루에는 끈적기가 많아 서로 붙기도 하고 황갈색-오렌지 갈색이며 주름살은 올린 주름살로 연한 크림색이며 약간 촘촘하다. 늦가을~초봄 팽나무, 버드나무, 감나무, 너도밤나무 등 활엽수 줄기의 썩은 부분, 죽은 줄기, 그루터기에 다발로 나며 간혹 한두 개가 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맛 있는 식용 버섯이다. 2023. 10. 30. 철원 복주산 2023. 11. 03. 서울 ● 팽나무버섯(팽이버섯) Flammulina velutipes | winter mushroom, velvet foot, velvet stem, velvet shank ↘ 주름버섯목 .. 2024. 12. 15. '절개지귀버섯' Crepidotus sp. 갓 지름 1cm 이내의 아주 작은 흰 버섯으로, 썩은 활엽수 줄기에서 발생하는 꼬마그늘버섯(Clitopilus hobsonii)과 모양이나 크기 등에서 아주 유사하다. 하지만 이 버섯은 바위와 흙에 붙어서 발생하며 늦은 가을에 발생하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비슷한 흰꼬마외대버섯=삼풀외대버섯(Entoloma chamaecyparis)도 돌에 발생하지만 여름~가을에 발생하고 아주 짧은 자루가 있는 것도 있다. 귀버섯속 미기록종으로 보이며, 네이버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는 '절개지귀버섯'이라는 임시명을 쓰고 있다. 2023. 10. 27. 서울 2023. 10. 28. 서울 ● ↘ 높이 ○ ※ 참고 자료 : ☞ 더 보기 => https://khe.. 2024. 12. 14. 간송편버섯 Trametes coccinea = (진홍색)간버섯 Pycnoporus coccineus '간버섯' 또는 '진홍색간버섯'으로 불리던 버섯으로 간버섯속(Pycnoporus coccineus)에서 송편버섯속으로 재배치되면서 '간송편버섯'이라 불리게 되었다. 관공이 작아서 육안으로 잘 안 보이지만 비슷한 주걱간버섯(Trametes cinnabarina)은 관공이 몇 배로 커서 육안으로 보인다. 죽은 나무에서 자란 균사는 진한 담홍색을 띤다. 침엽수와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가지에 무리지어 발생하며 목재를 썩힌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북미남동부, 라틴아메리카, 오세아니아, 하와이, 아프리카 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3. 10. 28. 서울 ● 간송편버섯 Trametes coccinea | southern cinnabar polypore, scarlet Bracket ↘.. 2024. 12. 14.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아름드리로 자란 리기다소나무 옆 땅에서 발생한 버섯이다. 갓 표면 고리무늬는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3. 10. 28. 서울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us, dyer's polypore, dyer's mazegill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해.. 2024. 12. 14. 긴초고약버섯 Radulodon copelandii 썩어가는 재목에서 무리지어 발생한 버섯이다. 이름 그대로 긴 송곳처럼 생긴 돌기가 무수히 형성되어 아래를 향해 자라는 배착 버섯이다. 얼핏 노루궁뎅이를 연상시키도 하는데 어린 버섯은 돌기가 납작하고 끝이 자른 듯한 한 모습인 점으로 차이를 보인다. 붓버섯과도 유사한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 침상으로 가지런히 자란 모습이 꽤 아름다운데 영명은 'Asian beauty'. 아교버섯과 긴송곳버섯속에서 깃싸리버섯과 초고약버섯속으로 이동되었다.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북미에 분포한다. 활엽수의 죽은 줄기 또는 나뭇가지의 껍질에서 자란다. 식용으로 부적합하다. 2023. 10. 16. 서울 2023. 10. 28. 위 버섯과 같은 장소 ● 긴송곳버섯 Radulodon copelandii | As.. 2024. 12. 14. 이전 1 2 3 4 5 ··· 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