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남아 풀꽃나무38

베트남의 식물(8) 툰베르기아 그란디플로라 Thunbergia grandiflora 툰베르기아 그란디플로라(Thunbergia grandiflora)는 쥐꼬리망초과(Acanthaceae)의 상록 덩굴로 중국,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학명 : Thunbergia grandiflora 영명 : Bengal clockvine, Bengal trumpet, blue skyflower, blue thunbergia, blue trumpetvine 베트남명 : 봉바오(Bông Báo), 깟당(Cát Đằng) 베트남 호이안 푸른색 또는 연보라색 꽃은 지름 8 cm, 화관의 길이 4 cm 정도이다. 덩굴은 20 m 정도로 자라며 잎은 마주나고 모양이 다양하다. 거리 곳곳에서 차양처럼 장식용으로 기르고 있다. 2015. 2. 15.
베트남의 식물(7) 알라만다 카타르티카 Allamanda cathartica 알라만다 카타르티카(Allamanda cathartica)는 협죽도과의 덩굴성 관목으로 원산지는 브라질이다. 꽃의 모양과 색깔을 따서 Golden Trumpet, 또는 Yellow Allamanda, Yellow Bell 등으로 부른다. 베트남 호이안 줄기는 반덩굴성 관목으로 가지가 많이 벋고 잎은 마주나거나 3∼4장이 돌려난다. 꽃의 지름은 4~.. 2015. 2. 15.
베트남의 식물(6) 태국의 국화, 카시아 피스툴라 Cassia fistula 카시아 피스툴라(Cassia fistula)는 인도와 동남아 원산의 콩과 교목이다. 건기에 낙엽이 지고난 뒤 금빛 꽃차례가 샤워하는 듯이 늘어지며 나무 전체를 장식하는 화려한 꽃을 피운다. 그래서 영명은 '황금 소나기 나무(golden shower tree)'가 되었다. 태국에서는 '라차프럭(rachapruek)'이라 부르며 .. 2015. 2. 15.
베트남의 식물(4) 스트랭글러 피그, 피쿠스 수페르바 Ficus superba 피쿠스는 뽕나무과(Moraceae)의 나무로 무화과나무속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무화과처럼 꽃이 열매 속에서 숨어 피는 은두꽃차례(隱頭花序)로 꽃이 피지 않고 열매가 달리는 것처럼 보이는 나무이다. 무화과 열매 혹은 나무를 영어로 Fig라 하고, 중국에서는 나무를 용(榕)이라 부른다. 동남아시아에서는 흔하게 만나는 피쿠스 중 하나, 이 나무는 잎이 가지 끝에만 뭉쳐서 달려 있는데 마치 돌려나기한 듯한 모양이 특이하면서도 아름답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 나무를 '화려용(华丽榕)'이라 부르는 모양이다. 작은 열매들이 옆으로 벋거나 늘어지는 가지에 조랑조랑 많이 달리며, 가지의 수피는 회색이고 거칠다. 학명 : Ficus superba 베트남명 : 까이솝(cây Sộp), 자솝(Da Sộp) 영명 : Sea F.. 2015. 2. 14.
베트남의 식물(3) 푸스카닭벼슬나무(에리트리나 푸스카) Erythrina fusca 에리트리나 푸스카(Erythrina fusca)는 콩과의 교목으로, 황금목, 홍두화로 불리기도 하는 닭벼슬나무(Erythrina crista-galli)와 같은 에리트리나속으로 아주 닮았다. 닭벼슬나무의 원산지가 남미라면, 에리트리나 푸스카의 원산지는 열대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그리고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으로 분포가 넓다. 강과 해안에 자란다. 닭벼슬나무에 비해 잎이 원만하고 혁질이 강하며 꽃의 색깔이 밝다. 영명 : purple coraltree, gallito, bois immortelle, bucayo 학명 : Erythrina fusca 베트남 다낭 박당거리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된 것은 Erythrina crista-galli(닭벼슬나무), Erythrina caffra(카프라닭벼슬나무), Er.. 2015. 2. 14.
베트남의 식물(2) 크레이프재스민 Tabernaemontana divaricata 인도 원산으로 동남아에서 널리 기른다. 협죽도과의 관목으로 1.5~1.8m 로 자라고 가지는 둘로 나뉜다. 줄기 끝에서 피는 바람개비 모양의 흰 꽃은 같은 협죽도과 덩굴 관목인 마삭줄 꽃과 아주 비슷하다. 영명 : 크레이프재스민(crape jasmine), 핀휠재스민(pinwheel flower) 학명 : Tabernaemontana divaric.. 2015. 2. 14.
베트남의 식물(1) 열대아몬드, 테르미날리아 카타파(Terminalia catappa) ● 열대아몬드, 테르미날리아 카타파(Terminalia catappa) 베트남 다낭과 호이안, 후에에서 시내의 가로수나 공원의 조경수로 아주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다. 베트남 사람들에게 이름을 물어도 알지 못하고 가이드에게 숙제를 주었는데도 알아내지 못한 나무의 이름. 구글 검색을 통해 겨우 .. 2015. 2. 12.
태국 깐짜나부리의 알라만다,Barleria lupulina,나도공단풀,Cleome rutidosperma, 횃불생강(자매괴) 등 ● 알라만다 카타르티카 Allamanda cathartica | 영명 골든트럼펫(Golden Trumpet) ● 빈랑(?) ● 화엽가두견(花葉假杜鵑) Barleria lupulina. 영명 Hophead Philippine Violet 쥐꼬리망초과의 관목 관목으로 높이는 약 2m이다. 줄기는 분지를 많이 낸다. 잎은 마주나며 바소꼴로 잎끝은 점첨두이고 잎밑은 쐐기향이며 양면에는 흰털이 있고, 잎자루는 짧으며 잎자루 밑부분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꽃은 이삭꽃차례로 피고 황색이며, 포편은 크고, 꽃받침잎은 4장으로 대칭을 이루며 바깥면의 1쌍은 크고, 꽃대롱은 길며 5갈래이다. ● Celosia argentea var. plumosa ? 개맨드라미의 원예종일 듯... ● 나도공단풀 Sida rhombifo.. 2011. 2. 18.
태국 아유타야의 풀꽃나무 (1) 사라수, 남가새, Ipomoea obscura, 칼로트로피스 태국 아유타야, 쩨디 푸카오텅을 돌아보고 그 옆에 있는 사원의 뜰에서 꽃을 피운 풀과 나무들을 만난다. ▼ 쩨디 푸카오텅 주변 사원의 작은 쩨디 ■ 캐논볼 트리 Couroupita guianensis, 영명 Cannonball Tree 총상꽃차례로 따로 자라난 꽃줄기에는 여섯 장의 꽃잎을 가진 화려한 붉은 꽃이 핀다. 암술, 수술이 있어야 할 자리엔 보물주머니 모양의 부속체가 자리잡고 있다. 아래쪽에는 꽃이 져 버린 꽃대만 남아 있고 위쪽에는 꽃봉오리만 보이는데, 꽃 한 송이가 피어 있어 다행... 처음엔 이 나무가 무엇인지 몰랐는데, 부처가 구시나라에서 열반에 들 때 동서남북에 한 쌍씩 서 있었다는 사라쌍수가 어떤 나무인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바로 이 나무를 사라수(Shorea robusta)라고 기록해.. 2011. 2. 16.
등롱화=조등부상(吊灯扶桑) Hibiscus schizopetalus ● 조등부상(吊灯扶桑) (吊灯花,, 灯笼花,) Hibiscus schizopetalus | Coral Hibiscus, Skeleton Hibiscus, Chinese Lantern 중국에서는 하와이무궁화를 '부상화(扶桑花)'라 한다. '적등(吊灯)'은 샹들리에, 또는 펜던트등을 뜻하는 말로 하와이무궁화가 긴 꽃자루 끝에 펜던트등처럼 늘어져 달리는 모양으로 붙인 이름으로 보인다. 아유타야 2011. 2. 16.
아유타야, 배롱나무속(Lagerstroemia) 아유타야에서 만난 배롱나무 종류. 이름을 알고 싶어 검색해보니 배롱나무속 나무가 여럿 있다. • Lagerstroemia indica (Crape Myrtle, Crepe Myrtle) : 배롱나무 • Lagerstroemia floribunda (Kedah Bungor, Crepe Myrtle) : 긴 원추형 꽃차례가 위로 뻗치듯 서고... • Lagerstroemia duperreana • Lagerstroemia tomentosa (White Crape Myrtle) : 세로로 갈라진 수피, 흰꽃 옅은 연분홍꽃 꽃잎 • Lagerstroemia langkawiensis (Crepe Myrtle) : 잎이 타원형으로 커 보이고 흰꽃 분홍꽃이 섞여 있다. 꽃차례가 둔하게 위로 향함 • Lagerstro.. 2011. 2. 16.
공심채(물시금치, 깡콩) Ipomoea aquatica 아유타야 유적지를 관람하다 점심식사 시간, 식당 주변 뜰에서 만난 메꽃과의 꽃. 동남아 습지에서 흔히 자라는 Ipomoea aquatica이지 싶은데, 이는 동남아 여러 나라에서 공심채볶음 등 요리를 위한 중요한 채소로 재배되고 있다. 영명은 '물시금치(water spinach, river spinach) '물나팔꽃'(water morning glory) 등으로 불리고, 필리핀에서는 '깡콩'(kangkong)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는 '깡쿵'(Kangkung)이라 부르고 중국에서는 줄기 속이 비어 있어 '쿵신차이(空心菜)' 또는 '웡차이(蕹菜)'라 부른다. 공심채(空心菜) 출처 : 위키백과 ※ 공심채는 메꽃속(Calystegia)과 고구마속(나팔꽃속, Ipomoea)중에서 고구마꽃속으로 분류된다. ●.. 2011. 2. 16.
아유타야의 사라수, 남가새, 인도멀구슬나무, 칼로트로피스, '태국배롱나무', 보에르하비아 등 <왓 푸카오텅>에서 ■ 사라수(Shorea robusta) 푸카오텅 사원 얖의 작은 정원에서 처음본 나무. 무슨 나무일까? 부처가 구시나라에서 열반에 들 때 동서남북에 한 쌍씩 서 있었다는 사라쌍수가 어떤 나무인지 확인하는 과정에서 바로 이 나무가 사라수(Shorea robusta)임을 알게 되었다. ■.. 2011. 2. 16.
히포브로마 롱기플로라 Hippobroma longiflora(Star of Bethlehem) 히포브로마 롱기플로라(Hippobroma longiflora)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서인도이며, 영명은 Star of Bethlehem, Madam Fate, Star Flower 등으로 불린다. 속명 Hippobroma 는 말의 광증(horse madness)을 뜻하는데, 이는 식물체에 독이 있는 흰 유액이 있어 이를 먹은 말이 미친 증상을 보이는 데서 .. 2011. 2. 10.
태국의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제주도나 남해안에서 만나는 멀구슬나무를 태국에서 만난다. 원산지는 동남아, 인디아,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이며 영명은 구슬나무(Bead Tree), 페르시아 라일락(Persian Lilac) 외에 Chinaberry Tree, Indian Lilac, Pride of India, White Cedar, Vaymboo, Drek, Bakain, Media Nim 등 다양하게 불린다. 2011.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