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화 식물170 선풀솜나물 Gnaphalium calviceps 자주풀솜나물 Gnaphalium purpureum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왜떡쑥속 귀화종으로 다음 2종이 등록되어 있다. 선풀솜나물 Gnaphalium calviceps Fernald 자주풀솜나물 Gnaphalium purpureum L. 자주풀솜나물은 뿌리잎과 줄기잎이 모두 주걱형인 데 비해 선풀솜나물은 줄기잎이 선형인 점이 다르고 꽃이 필 때 자주풀솜나물의 뿌리잎은 남아 .. 2010. 8. 26. 큰닭의덩굴(Disporum viridescens)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한국의 각지에 분포한다. 덩굴성으로서 잔털 같은 돌기가 있고 길이 1m 정도 뻗는다. 잎은 어긋나고 화살 모양의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심장저이며 양쪽 돌기의 끝이 둔하다. 잎자루는 길이 1~6cm이고 잎집은 길이 3~6mm이다. 황록색의 꽃은 9~10월에 피고, 이삭꽃차.. 2010. 8. 7. 제주도의 귀화식물, 냄새냉이(Coronopus didymus) 제주도 우도의 해안길 담장에서 낯선 풀을 만난다. 아마도 겨울을 난듯한 묵은 줄기에 잘디잔 잎이 꼭 국화과 식물처럼 잎패임(결각)이 져 있다. 국화과임에 틀림없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뜻밖에도 냄새냉이라는 십자화과의 귀화식물이다. 유럽 원산의 한해살이풀로 호주, 일본, 중국 등지에 귀화되었으며. 1991년 전의식 선생님이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하여 냄새냉이라는 국명을 붙였다는 풀로 식물체에서 냄새가 강하게 난다고 한다. 제주도에 귀화하였지만 남부 해안 지역에 종종 발견되는 모양이다. ● 냄새냉이 Coronopus didymus | Slender wartcress, Lesser swine-cress / 양귀비목 십자화과 냄새냉이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밑쪽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10~20㎝, 엷은 녹색이며 .. 2010. 3. 21. 양장구채(Silene gallica) 유럽과 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써 제주도 바닷가에서 자란다. 풀밭이나 냇가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말의 먹이를 위해 도입한 것이 널피 퍼졌다고 한다. 줄기는 밑 부분에서 가지를 많이 치고 거센털이 많이 나 있으며 높이는 20~30cm이다. 마주나는 잎은 바소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뿌리잎은 .. 2010. 3. 21. 솔나물을 연상시키는 들개미자리(Spergula arvensis) 온평포구에서 해안도로를 따라 표선 방향으로 걷는 길, 호기심으로 숲속 오솔길로 들어섰다가 무밭에서 처음 보는 풀을 만난다. 별꽃, 꼬딱지꽃(광대나물), 개민들레 등이 어우러진 밭이랑엔 알 듯하면서도 낯선 풀꽃이 눈에 띈다. 솔잎처럼 길다란 잎이 돌려난 줄기가 한뼘 남짓 기면서 고개를 들고 있는데, 그 끝에는 여러 개의 꽃봉오리가 달렸다. 그 중 몇은 꽃잎을 열었고 몇몇은 반쯤 핀 모습이다. 줄기와 잎으로만 보면 솔나물을 축소한 듯한 모습이다. 어디선가 본 듯한 모습이다 생각하면서도 종내 생각나지 않은 이 꽃이 유럽 원산의 들개미자리임을 나중에야 알게 된다. 제주도에 널리 퍼졌고 남해안 일부 지방에도 발견되는 석죽과의 외래종 한두해살이풀이다. 키가 50cm 정도로까지 자란다니 개미자리나 갯개미자리에 비해서.. 2010. 3. 21.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양재천과 탄천 둔치에는 야생화한 박하가 군집을 이루어 자생할 정도로 지천이다. 박하는 대표적인 허브 식물로 원래 유럽이 원산지이나 오늘날에는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린네는 박하를 하나의 종으로 보았지만, 박하속에 속하는 수생박하와 녹양박하의 교잡종이라는 것이 널리 인정되고.. 2009. 11. 24. 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귀화식물로 1978년 서울의 워커힐 주변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1978년 이우철에 의하여 '서양등골나물'이란 이름으로 소개되었으며, 지금은 서울 전 지역과 경기도 일대에 광범하게 퍼져 있는 상태이다. 이 땅에 자생하는 등골나무류보.. 2009. 10. 25. 큰닭의덩굴 꽃과 열매 Fallopia dentato-alata 마디풀과의 한해살이 덩굴풀로 원산지는 유럽. 잎밑의 양쪽 귀가 둥글고 열매의 날개가 결각상을 보이는 점에서 잎밑의 양쪽이 뾰족하고 열매의 날개 가장자리가 원만한 닭으덩굴과 구별된다. ↓ 덕적도 ● 큰닭의덩굴 Fallopia dentato-alata / 마디풀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길이 1m 정도로 .. 2009. 10. 15. 둥근잎미국나팔꽃(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메꽃과의 한해살이풀로 열대아메리카 원산이며, 미국나팔꽃의 변종으로 잎이 패임이 없고 둥근 것이 특징이다. ↓ 2009. 09. 13. 덕적도 능동 ● 둥근잎미국나팔꽃 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 메꽃과 고구마속의 한해살이풀줄기는 길이 100-150㎝, 덩굴성으로 다른 식물을 감아 오르거나 지면을 포복하고 하향모(下向毛)가 많다. 잎은 어긋나기(互生)잎차례이고, 잎자루는 길이 6-9㎝, 하향모가 있다. 잎새는 윤곽이 난형(卵形)-원형(圓形)이고 길이 5-8㎝, 폭 4.5-8㎝, 잎이 원형으로 분열하지 않고 톱니가 없다. 꽃은 6-10월에 피며, 이른 아침에 피고 곧 오므라든다. 꽃자루는 잎 겨드랑이에서 생기고 1-3개의 꽃이 달리며, 길이 2.. 2009. 10. 15. 미국나팔꽃 Ipomoea hederacea 열대아메리카 원산으로 1980년대에 사료 도입하면서 섞여 왔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80 년 임양재, 전의식 선생이 장항과 군산에서 채집하여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지금은 서울을 비롯하여 중, 남부지방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메꽃과 고구마속의 한해살이풀로 길가나 언덕의 풀섶에서 자란다. ↓ 2009. 09. 13. 굴업도 ● 미국나팔꽃 Ipomoea hederacea | Ivy-leaved moring glory ↘ 메꽃과 구구마속의 한해살이풀 100-150cm 정도로 자라는 덩굴성이며, 줄기에는 밑을 향한 털이 나 있다. 잎은 어긋나고 난형 또는 원형으로 길이 5-8cm, 나비 4.5-8cm이며 깊게 3부분으로 갈라진다. 잎밑은 심장 모양이고 끝은 뾰족.. 2009. 10. 15. 서양금혼초(개민들레, 민들레아재비) 꽃과 뿌리잎 Hypochaeris radicata 제주도에 귀화하여 늘리 퍼져 있다고 알려진 서양금혼초를 여름비가 주룩주룩 내리는 날 삼척 해신당 부근에서 만난다. 꽤 널리 퍼져 있는 모습이다. ↓ 삼척 바닷가 언덕 서양금혼초 근생엽(로제트) ● 서양금혼초 Hypochaeris radicata | Spotted Cats-ear, False dandelion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 2009. 9. 9. 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콩과 벌노랑이속(Lotus)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다른 콩과 식물들에 비해서 작은잎이 끝에 3장 아래쪽에 2장씩 달리는 점이 특징이고, 꽃이 2~3개만 달리는 점으로 꽃이 4~7개씩 달리는 서양벌노랑이와 구별된다. 한라산, 지리산, 일월산 등의 고산지대 등에서 자란다. ↓ 백령도 ● 벌노랑이 L.. 2009. 8. 16. 독말풀 Datura stramonium 남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개항기에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1895년 조선 식물을 연구한 러시아 식물학자 팔리빈(Palibin)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고 한다. 마을 주변 공터에 절로 자라는데, 아트로핀, 스코플라민이라는 성분이 진통 진정 작용이 기관지염이나 정신분열증 등에 효과가 .. 2009. 8. 16. 큰조아재비 Phleum pratense | timothy 큰조아재비는 목초 자원으로 들여온 귀화식물이다. 방목지 엔실리지로 쓰고 줄기가 가늘어서 건초의 재료로 가장 좋으며 고랭지에 알맞은 목초이다. ↓백령도 ● 큰조아재비 Phleum pratense | timothy /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유럽과 온대 아시아 원산이다. 높이 80∼110cm이다. 줄기는 원기둥 모.. 2009. 8. 15. 유럽장대 Sisymbrium officinale 유럽장대는 유럽 원산의 십자화과 한해살이풀로 털갓냉이라고도 한다. 1992년에 귀화식물로 확인되었다. 유럽과 남북 아메리카, 일본, 호주 등지에 분포하며, 길가 빈터 등에 자란다. ↓ 백령도 ● 유럽장대 Sisymbrium officinale | Hedge mustard / 십자화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40-80cm, 곧게 서고, 밑.. 2009. 8. 15. 이전 1 2 3 4 5 6 7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