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038 산비장이 Serratula coronata var. insularis 산비장이 뿌리잎 산비장이 줄기잎과 꽃봉오리 산비장이 꽃 ● 산비장이 Serratula coronata var. insularis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140cm이다. 세로줄이 있고 뿌리줄기가 나무처럼 단단하며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에 달린 잎은 달걀 모양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깃처럼 완전히 .. 2006. 7. 23. 이질풀 Geranium thunbergii 이질풀에는 타닌과 케르세틴이라는 성분이 많이 들어 있는데, 이 성분이 살균작용이 강해 염증을 잘 다스린다고 한다. 그래서 예로부터 이질로 인한 설사에는 이 풀을 약재로 쓰면서 이질풀이라 불리게 되었다. 초여름부터 늦가을까지 길가 풀섶에 끊임없이 피고 지는 붉은 꽃이 맑고 다.. 2006. 7. 23. 붉은호장근 Reynoutria japonica for. elata 아래 이미지는 모두 감절대로 잎밑이 둥근 점이 잎밑이 자른 듯한 호장근과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 붉은호장근 Reynoutria japonica for. elata /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1.5m.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자란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털이 없다. 어린 가지에는 자주색 반점.. 2006. 7. 22. 둥근잎꿩의비름 Hylotelephium ussuriense 둥근잎꿩의비름은 주왕산과 포항 등 자생지가 극히 제한된 한국 특산종으로 줄기가 붉고 돌려난 잎에 불규칙한 톱니가 많으며 꽃차례가 둥근 점이 꿩의비름이나 큰꿩의비름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 둥근잎꿩의비름 Hylotelephium ussuriense /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몇 개의 굵은 .. 2006. 7. 22. 섬기린초 Sedum takesimense 울릉도에서 자라는 기린초이므로 섬기린초라고 부른다. 줄기 밑부분 30cm 정도가 겨울에 살아 있다가 다음 해 봄에 싹이 나오므로 현지에서는 상록성 작은 관목처럼 취급하고 있다. 키가 50cm에 달할 정도로 크다. 아차산 생태계공원 ● 섬기린초 Sedum takesimense / 장미목 돌나물과 돌나물속 .. 2006. 7. 22. 애기기린초 Sedum middendorffianum 강원도 이북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기린초이다. 우리 나라의 Sedum속 식물류 가운데 가장 개체 크기가 작은 식물로 자생지에서는 10cm 미만으로 자란다고 한다. 아차산 생태계공원 ● 애기기린초 Sedum middendorffianum / 장미목 돌나물과 돌나물속 높이가 20cm정도에 달하고 겨울 동안에 지상 10c.. 2006. 7. 22. 꽃범의꼬리 Physostegia virginiana 꽃범의꼬리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꿀풀과 여러해살이풀로 속명인 피소스테기아라고도 한다. 꽃이 풍성하고 아름다워 화단에 심고 절화용으로 가꾼다.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고 여름의 건조에 약하다. ● 꽃범의꼬리 Physostegia virginiana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사각.. 2006. 7. 22. 좀개미취 Aster maackii 좀개미취는 오대산 이북의 깊은 산골짜기 냇가 근처에서만 자라는 야생화다. 100여 년 전, 프랑스로 유출돼 지금도 파리 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작성한 고유종이나 법정보호종 등 어느 목록에도 좀개미취의 이름은 없다. 국내에선 ‘버린자식’처럼 백과사전 목록.. 2006. 7. 22.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경기 이남 산간 계곡이나 습지 주변에서 자라는 국화과 참취속의 한국 특산종이다. 그래서 종명이 koraiensis이다. 초여름부터 가을까지 꽃이 끊임없이 피고 지는데, 8월이면 고산 지역인 강원도 태백 등지에는 벌개미취가 만개하여 장관을 이룬다. 꽃말은 ‘청초’이다. 2006. 07. 15. 아차산 2.. 2006. 7. 22. 06. 7. 15(토) 아차산생태계공원에서 (2) 둥근잎꿩의비름 대청부채 배풍등 배롱나무 히어리 열매 좀개미취 물레나물 금사매 흰꿀풀 가새쑥부쟁이 금불초 무슨 벌일까? 무슨 나무일까? 히어리를 연상시키는 열매 모양으로 보아 히어리속인 일본 나무, 도사물나무(土佐水木 Corylopsis spicflora)라는 나무일까... 까마귀밥여름나무 일본조팝나무 울.. 2006. 7. 21. 06. 7. 15(토) 아차산생태계공원에서 (1) 2006. 07. 15 토요일 아이들과 함께 처음 찾은 아차산 생태계 공원, 크게 기대하지 않았는데, 뜻밖에 볼 것이 많았다. 꽃 피는 봄철 진작에 왜 찾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을 느낄 정도로... 아이들은 별 관심이 없는지 어슬렁거리다 약속한 한 시간이 지나자 돌아가자는 재촉을 한다. 바람 속 빗방울은 내렸다.. 2006. 7. 21. 큰잎부들 Typha latifolia 자생하는 부들은 모두 네 종류가 있다. 잎 너비 1cm 미만이고 암꽃이삭의 길이가 10cm 미만인 부들, 가늘고 긴 암꽃이삭과 수꽃이삭이 떨어져 달리는 애기부들, 암꽃이삭이 6cm 미만으로 작은 꼬마부들, 잎 너비 1cm 이상이고 암꽃이삭이 10cm 이상으로 긴 큰잎부들이 그것이다. ↓ 서울 양재천.. 2006. 7. 20. 오렌지단호박 Orange Sweet Pumpkin 오렌지단호박은 품종이 개량된 단호박으로서 이름 그대로 껍질이 오렌지색을 띠고 있다. 껍질이 얇아 손질하기 쉽고 일반 단호박보다 식감이 뛰어나고 당도도 높다고 한다. 2006. 7. 20.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젓가락나물에 비해서는 잎이 넓으며, 왜젓가락나물에 비해 털이 많고 암술이 약간 굵고 짧으며 거의 밖으로 굽지 않고, 개구리미나리에 비해서는 잎이 1회 3출하며 작은잎의 갈래조각이 쐐기 모양의 도피침형이다. ●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 2006. 7. 20. 흑삼릉 꽃과 열매 Sparganium stoloniferum 흑삼릉이라는 독특한 물풀이 눈길을 끈다. 흑삼릉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습지에서 자란다. 흑삼릉 열매 ● 흑삼릉黑三稜 Sparganium stoloniferum | Bur reed, Knope-sedge / 부들목 흑삼릉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줄기가 나온다. 뿌리잎은 선형이고 편평하며 나비 .. 2006. 7. 20. 이전 1 ··· 673 674 675 676 677 678 679 ··· 7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