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야콘 Polymnia sonchifolia 남아메리카 안데스산맥이 원산지인 국화과의 식물로 뿌리의 생김새가 고구마와 비슷하고 당도가 높아 식용으로 재배되는 작물이다. 볼리비아와 페루 등 원산지에서는 '땅 속의 배'로 불린다. 한국에는 1985년에 들어와 강화, 괴산, 상주 등지에서 재배하고 있다. 강화도 ● 야콘 Polymnia sonc.. 2006. 7. 17.
천연기념물 제 79호,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의 나이는 약 4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3.56m, 뿌리부분 둘레 2.2m이다. 가지의 굵기로 미루어 볼 때 매우 컸던 것으로 추측되지만 현재 대부분 가지가 죽고 동쪽 가지만 살아 있다. 강화도는 고려 고종(재위 1213∼1259)이 몽고의 침입을 피해 있었던 곳이며, 조선 인.. 2006. 7. 17.
갯질경 Limonium tetragonum 갯길경, 근대아재비라고도 하며 갯질경이로도 불리는데, 질경이과의 갯질경이와 이름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운데 계통이 전혀 다른 종이다. ● 갯질경 Limonium tetragonum / 갯질경이목 갯질경이과 갯질경이속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자라고 뿌리가 굵다. 뿌리를 생으로 먹을 수 있으나 .. 2006. 7. 17.
전동싸리 Melilotus suaveolens 이름에 '싸리'라는 말이 들어 있지만, 싸리와 같은 콩과일뿐 싸리처럼 관목이 아니라 두해살이풀에 지나지 않는다. 중국 북부 원산으로 초목서(草木犀)라고도 하며 저지대의 풀밭에 자란다. 개인적으로 실크로드 여행을 할 때 오아시스 마을(우루무치, 쿠차 등)의 풀밭에서 전동싸리와 흰.. 2006. 7. 17.
강화도 전동싸리, 칠면초, 야콘, 물싸리, 노랑어리연꽃, 산조풀, 좁쌀풀, 왕과, 매자기 2006. 07. 08. 토요일 마른 장마 속 떠난 강화도 여행은, 따가운 햇살과 후텁지근한 기온과 싸우느라 힘들었다. 갯벌 식물들을 만나러 떠났지만 사전 연구 부족으로 성과를 제대로 얻지 못했다. 전동싸리 칠면초 꽃 갯질경이 이건창 생가 천연기념물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이건창 생가 바로 .. 2006. 7. 17.
타래난초 Spiranthes sinensis 난초과 타래난초속의 유일한 기본종이다. 실타래처럼 꼬인 꽃차례에 꽃이 피는 난초여서 타래난초라 한다. 속명 Spiranthes는 그리스어의 'speira(나선상으로 꼬인)'와 'anthos(꽃)'의 합성어로 작은 꽃들이 나선형으로 화경을 감아올라가며 피는 모양을 표현한 것이다. 줄기와 뿌리잎의 모양 ●.. 2006. 7. 16.
앵초 Primula sieboldii 씨방 전국의 산에서 자생한다는 앵초, 꽃이 지고 난 씨방의 모습을 담아보았다. 삭과는 원추상 편구형이고 지름 5mm 정도 된다. 2006. 7. 16.
용설채 Lactuca indica var. dracoglossa 잎이 용의 혀처럼 생겼다고 하여 '용설채(龍舌菜)'라는 이름이 붙었다. 중국 남부 원산으로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의 변종(var. dracoglossa)이며 잎이 갈라지지 않는 것과 잎이 크게 갈라지는 것, 잎의 가운데맥을 따라 보랏빛 점이 있는 것이 있다. 가축의 사료로 쓰기 위해 재배하기도 한다. ● 용설채 Lactuca indica var. dracoglossa | Dragon's Tongue / 초롱꽃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1∼2m로,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무렵 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잎 모양은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길이 20∼40cm, 나비 7∼15cm이다.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가 없다. 7∼9월에 지름 약 2cm의 노란 꽃이 줄기 끝에서 .. 2006. 7. 16.
며느리밑씻개와 며느리배꼽 '며느리'란 이름이 들어간 풀꽃 이름이 적지 않다.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며느리밑씻개나 며느리배꼽 그리고 며느리밥풀꽃이 있고, 잘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는 금낭화로 불리는 며느리주머니, 금낭화와 닮은 꽃으로서 줄꽃주머니라 불리는 덩굴며느리주머니 등이 있다. 이 중 마디풀과.. 2006. 7. 16.
메밀 Fagopyrum esculentum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중앙아시아 원산으로 동아시아 북부에 널리 재배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전국의 산간지대에서 재배하는 구황작물이다. 한발이나 추위에 잘 견디며 생육 기간이 짧아서 흉년에 대작(代作)이나 산간 흉작 지대의 응급작으로 적당하며, 옥수수 다음으로 재배 면적.. 2006. 7. 16.
파드득나물 참나물과 많이 닮았는데, 응달에서 자생하는 나물로 밭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파드득나물 Cryptotaenia japonica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반디나물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약간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있다. 줄기와 잎은 녹색이.. 2006. 7. 16.
삼백초 삼백초 Saururus chinensis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다른 이름 : 삼점백, 백화연, 송장풀 꽃이 필 때쯤 꽃 밑에 있는 2~3개의 잎이 하얗게 변하고 꽃과 뿌리 또한 흰빛이어서 세가지 흰색을 가졌다고 해서 삼백초라는 이름이 붙었다. 야릇한 쓴맛이 있고 송장 썩는 냄새가 난다고 하여 '송.. 2006. 7. 16.
아프가니스탄 원산인 당근 당근 Daucus carota var. sativa | carrot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 홍당무라고도 하며, 아프가니스탄이 원산지이다. 높이는 1m에 달하고 곧게 자란다. 뿌리는 굵고 곧으며 황색·감색·붉은 색을 띠고 가지가 갈라지며 세로로 모가 난 줄이 있고 퍼진 털이 있다. 잎은 잘게 찢어진 3회 깃꼴겹.. 2006. 7. 16.
아프리카봉선화 Impatiens sultanii 동부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케냐에서 모잠비크까지 동아프리카 전체에 넓게 분포한다. Busy Lizzy(비지 리지), Patience plant, Sultana(술탄의 왕비)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관상용으로 기른다. ● 아프리카봉선화 Impatiens sultanii / 무환자나무목 봉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케냐에.. 2006. 7. 16.
익모초 Leonurus sibiricus "어머니를 이롭게 하는 풀"이라는 뜻의 익모초(益母草)! 이름처럼 아이를 낳은 산모의 산후 지혈과 복통에 포기 전체를 말려서 약용하는 풀이다. 중국에서는 이 풀의 농축액을 익모초고(益母草膏)라고 하며 혈압 강하·진정·진통 작용이 있다고 한다. 송장풀은 꽃이 커서 대화익모초(大.. 2006.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