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호색과의 한해살이풀이지만 현호색속과는 달리 열매가 수과로 한 개의 씨가 들어 있는 구형인 점으로 현호색속이 아닌 둥근빗살괴불주머니속으로 분리 배치되었다.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유럽 원산으로 일본,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등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한경면 들판에 귀화하여 자란다.
2023. 04. 25. 제주도
● 둥근빗살괴불주머니 Fumaria officinalis | common fumitory, drug fumitory, earth smoke ↘ 목련강 양귀비목 현호색과 둥근빗살괴불주머니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20~35cm, 가지를 많이 치고 옆으로 퍼지듯 자라는데 갈라진 가지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며, 3회 깃꼴겹잎이다. 잎몸은 빗살처럼 깊게 갈라지는데 마지막 갈래조각은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꽃은 4~5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는데, 여러 개가 가지 끝에 모여 달려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부리의 주둥이 부분은 진한 홍자색을 띤다. 뒤쪽 꽃뿔은 짧고 뭉툭하다. 꽃받침조각은 2개, 톱니가 약간 있다. 꽃잎은 4개, 부분적으로 붙어서 통 모양을 이루는데 끝이 약간 벌어진다. 수술은 6개이고 3개씩 붙어 있다.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 구형이며, 1개의 씨가 들어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
○ 둥근빗살괴불주머니는 알칼로이드 , 칼륨염 , 타닌을 함유하고 있으며 푸마르산*의 공급원이다. 17세기 유럽에서는 눈에 좋다고 알려졌고 전통적으로 소화 촉진제와 이뇨제로 사용되었으며 유럽 전역에서 변비, 방광염 , 동맥경화 , 류머티즘 , 관절염 , 혈액 정화제, 저혈당증 , 감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시칠리아 등에서는 피부 잡티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고 , 영국에서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결막염을 치료하는 눈 세척제로 사용되었다 . 1963년 이래로 프랑스에서 약초로 판매되었다 . 2011년 현재 이 식물로 만든 약초 제품이 오스트리아 , 독일 , 프랑스, 스페인에서 다양한 형태로 합법적으로 판매되고 있다. 프랑스와 스페인에서는 담즙 흐름을 증가시켜 작용한다고 하여 소화제로 판매되고, 오스트리아에서는 담관 운동 이상 치료에 판매되고 , 독일에서는 약초차로 판매되고 있다. 시험관 내 및 동물 연구에서 상부 소화관에 대한 경련 억제 효과는 충분히 입증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인체에서 이 약초 제품의 효능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임상 연구에서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참조 : 위키피디어)
* 푸마르산 : 과일과 비슷한 맛을 가진 고체 유기산으로 신맛을 내는 식품 첨가물, 식품 보존제, 가소제, 불포화 에스터(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등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며,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때는 청량 음료나 과일 통조림에 시트르산, 타타르산과 함께 사용한다.
※ 참고 자료 : wikipedia.org/Fumaria_officinalis gbif.org/species/5334217
☞ 염주괴불주머니 => https://kheenn.tistory.com/15862490 https://kheenn.tistory.com/15855287 https://kheenn.tistory.com/15858017
☞ 갯괴불주머니 => https://kheenn.tistory.com/15854288
☞ 산괴불주머니 => https://kheenn.tistory.com/15857638 https://kheenn.tistory.com/15857047 https://kheenn.tistory.com/15862560
☞ 자주괴불주머니 => https://kheenn.tistory.com/15857915 https://kheenn.tistory.com/15857894 https://kheenn.tistory.com/15862383 https://kheenn.tistory.com/15857927 https://kheenn.tistory.com/15864665
☞ 가는괴불주머니 => https://kheenn.tistory.com/15862031 https://kheenn.tistory.com/15857638
☞ 선괴불주머니 => https://kheenn.tistory.com/15852875 https://kheenn.tistory.com/15851245 https://kheenn.tistory.com/15852487
'우리 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치아재비 Valeriana locusta(Valerianella olitoria) (0) | 2025.05.13 |
---|---|
'미친 여자의 젖', 등대풀 Euphorbia helioscopia (0) | 2025.05.13 |
털개구리자리 Ranunculus sardous (0) | 2025.05.12 |
'갯바위대극', 암대극 Euphorbia jolkinii (0) | 2025.05.12 |
애기노랑토끼풀 Trifolium dubium (0)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