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무

산앵도나무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모산재 2024. 5. 28. 01:27

 

축령산 정상으로 오르는 바위 능선지대에서 오랜만에 산앵도나무 앙증스런 꽃을 만나니 설레는 느낌조차 든다. 종 모양의 흰 꽃에 붉은 무늬는 거의 없어 수수한 모습이다. 꽃이 진 자리에 달리는 열매 머리에는 왕관처럼 꽃받침 흔적이 그대로 붙어 있다.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으로 높이 1m 정도의 작은 관목으로 가지가 많이 나 옆으로 퍼지며 꽃은 흰색-붉은색의 종 모양으로 총상꽃차례에 2~3개 밑으로 처져 달린다. 열매는 타원형의 장과로 붉게 익으며 식용한다.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 자생하는 고유종이다. 해발고도 700~1,000m 이상의 고산 지대 시원하고 반 그늘진 숲속이나 바위 옆에 주로 서식한다.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산앵도나무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  진달래목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 관목

일년생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피침형이고 넓은 거꿀피침형 또는 달걀형이며 예두이고 길이 2-5cm로,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 안으로 굽은 잔톱니가 있다.

꽃은 5-6월 개화하며 총상꽃차례는 지난해 가지 끝에서 나오고 밑으로 처지며 2-3개 꽃이 달리고, 꽃부리는 종형으로 붉은빛이 돌고, 길이와 폭이 각 5-6(8) mm × 5-6mm이며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달걀형으로 남아있는 꽃받침조각 때문에 절구같이 보이며 붉은색으로 9월에 성숙한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 일본(혼슈 남부, 시코쿠)과 러시아(극동지역, 사할린)에 분포하는 V. hirtum var. hirtum은 잎이 다소 작고 열매의 각이 진 점으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종과 구별되지만 산앵도나무는 V. hirtum의 이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또한 한국의 고유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중국 동부 랴오닝에도 분포한다고 하여 고유종에서 제외하여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 참고 자료 :  Vaccinium hirtum PFAF Plant Database  Vaccinium hirtum Thunb. (gbif.org)  Vaccinium hirtum var. hirtum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 산앵도나무속 자생종, 검색표 => https://kheenn.tistory.com/15859211

☞ 산앵도나무 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9174 

☞ 산앵도나무 열매 => https://kheenn.tistory.com/15852517 

☞ 정금나무 => https://kheenn.tistory.com/15857132 https://kheenn.tistory.com/15858054 

☞ 모새나무 => https://kheenn.tistory.com/15858536 

☞ 넌출월귤 => https://kheenn.tistory.com/15856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