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주역 내부 모습.
내부 기둥은 화강암에 돋을새김한 12지신상으로 장식되어 있어 역사는 천년 고도의 분위기를 물씬 풍깁니다.
한쪽 벽면에는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의 비천상을 재현해 놓았다. 정말 아름답지 않은가...!
열차를 기다리는 동안 12지신상을 다 담아보았습니다.
김유신장군묘, 괘릉, 경덕왕릉, 흥덕왕릉 등에 조각된 십이지신상이 현대적 건물과 어울려 옛멋을 더합니다.
※ 십이지신상
십이지신은 땅을 지키는 열두 가지 짐승들의 신으로 흔히 우리의 띠에 해당하는 신들이다. 쥐·소·호랑이·토끼·용·뱀·말·양·원숭이·닭·개·돼지가 십이지신인데 얼굴은 짐승이지만 사람의 몸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다른 무기를 들고 열두 방위를 지킨다고 한다. 이러한 십이지신은 도교의 방위신앙의 영향이 큰 것으로 여겨진다.
십이지신앙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기 전까지는 밀교의 영향으로 호국적 성격을 지녔으나 그 후 차츰 방위신으로 변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하여 묘나 탑을 세울 때 방위에 알맞은 십이지신상을 조각하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민간에서도 무당들이 경을 욀 때 십이지신을 불렀고, 불교에 수용되면서 특히 약사불에게 공양하는 불교인을 지키는 신이 되었다.
십이지라는 개념은 중국의 은나라 시대에서 비롯되었으나, 이를 방위나 시간에 대응시킨 것은 대체로 한나라 시대 중기의 일로 추정된다. 다시 이것을 열두 동물과 대응시킨 것은 훨씬 후대의 일로, 불교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당나라 시대에 와서는 십이지생초(十二支生肖)를 조각한 석재 및 토우가 묘지 장식에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는 호석(護石)에 십이지신상을 조각한 경주 괘릉이나 김유신묘가 최초의 것으로 보인다. 성덕왕릉은 호석이 넘어지지 않도록 삼각형 수석을 받치고 그 사이에 따로 환조 십이지신상을 세운 특이한 예이며, 그 이후의 왕릉에는 괘릉과 마찬가지로 호석면에 십이지신상을 양각하였다. 고려시대에 와서는 입상뿐만 아니라 좌상도 나타나고, 신라의 예처럼 면석에만 조각한 것과 반대로 안에 끼운 널판돌에 새기기도 했으며, 음각한 것도 간혹 나타난다.
조선시대에서는 전대와 거의 같으나, 인조의 장릉(長陵)에서부터는 십이지신상 대신에 모란무늬가 나타나게 된다. 십이지신상은 수호신으로 호석뿐만 아니라 현실(玄室) 내부에 벽화로 그린 경우도 있으며, 원원사지 3층석탑이나 황복사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발췌>
※ 12지지
지지 |
생초 |
방위 |
시간 |
음력 |
음양 |
오행 |
오경 |
자(子) |
쥐(鼠) |
0° (북) |
23시- 1시 |
11월 |
양 |
수 |
삼경 |
축(丑) |
소(牛) (베트남에서는 물소) |
30° (북북동) |
1시 - 3시 |
12월 |
음 |
토 |
사경 |
인(寅) |
호랑이(虎) |
60° (동북동) |
3시 - 5시 |
1월 |
양 |
목 |
오경 |
묘(卯) |
토끼(兎) (베트남과 타이에서는 고양이) |
90° (동) |
5시 - 7시 |
2월 |
음 |
목 |
- |
진(辰) |
용(龍) |
120° (동남동) |
7시 - 9시 |
3월 |
양 |
토 |
- |
사(巳) |
뱀(蛇) |
150° (남남동) |
9시 - 11시 |
4월 |
음 |
화 |
- |
오(午) |
말(馬) |
180° (남) |
11시 - 13시 |
5월 |
양 |
화 |
- |
미(未) |
양(羊) |
210° (남남서) |
13시 - 15시 |
6월 |
음 |
토 |
- |
신(申) |
원숭이(猿) |
240° (서남서) |
15시 - 17시 |
7월 |
양 |
금 |
- |
유(酉) |
닭(鷄) |
270° (서) |
17시 - 19시 |
8월 |
음 |
금 |
- |
술(戌) |
개(犬,狗) |
300° (서북서) |
19시 - 21시 |
9월 |
양 |
토 |
초경(일경) |
해(亥) |
돼지(豚,猪,豕) (일본은 멧돼지, 타이는 코끼리) |
330° (북북서) |
21시 - 23시 |
10월 |
음 |
수 |
이경 |
'우리 산하와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남산 (15), 석조 감실,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마애석불 (0) | 2011.01.03 |
---|---|
경주 남산 (14) 헌강왕릉 (0) | 2011.01.02 |
경주 남산 (13) 남산동 삼층석탑(보물 제124호), 염불사 삼층석탑 (0) | 2011.01.02 |
경주 남산 (12) 서출지(書出池)와 이요당(二樂堂), 무량사 (0) | 2011.01.01 |
경주 남산 (11) 선방곡 선각여래입상,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망월사 (0) | 2010.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