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ipa pekinensis4 나래새 Stipa pekinensis, 열매 참나래속(Stipa)으로 잎 너비 0.3~0.5mm 정도인 점에서 2cm에 달하는 참나래새, 0.2cm인 수염풀과 구별된다. 나래새는 꽃차례가 줄기 끝에 달린 잎에서 나오는 점이 특이하고, 화서 가지 윗부분에만 소수가 달리며 꽃술은 노란빛이 돌고 까락은 2~3cm로 길고 꺾인 형태이다.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 햇빛이 드는 숲속의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2017. 09. 30. 남한산성 ● 나래새 Stipa pekinensis ↘ 벼과 나래새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모여나고 곧추서며 높이 80~150㎝이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30~60㎝, 너비 7~15㎜이며 엽면은 거칠고 약간 안으로 말리며 엽초 구부(口部)에만 털이 있고 엽설(葉舌)은 길이 0.5~1㎜.. 2017. 10. 8. 나래새 Stipa pekinensis 참나래속(Stipa)으로 잎 너비 0.3~0.5mm 정도인 점에서 2cm에 달하는 참나래새, 0.2cm인 수염풀과 구별된다. 나래새는 꽃차례가 줄기 끝에 달린 잎에서 나오는 점이 특이하고, 화서 가지 윗부분에만 소수가 달리며 꽃술은 노란빛이 돌고 까락은 2~3cm로 길고 꺾인 형태이다.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 햇빛이 드는 숲속의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2017. 09. 30. 남한산성 ● 나래새 Stipa pekinensis ↘ 벼과 나래새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모여나고 곧추서며 높이 80~150㎝이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30~60㎝, 너비 7~15㎜이며 엽면은 거칠고 약간 안으로 말리며 엽초 구부(口部)에만 털이 있고 엽설(葉舌)은 길이 0.. 2017. 9. 28. 나래새 Stipa pekinensis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등재되지 않은 나래새. 하지만 전국적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봐서는 두산백과사전에 기록한 나래새 내용과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 참나래속(Stipa)으로 잎 너비 0.3~0.5mm 정도인 점에서 2cm에 달하는 참나래새, 0.2cm인 수염풀과 구별된다. 나래새는 꽃차례가 줄기 끝에 달린 잎에서 나오는 점이 특이하고, 화서 가지 윗부분에만 소수가 달리며 꽃밥은 노란빛이 돌고 까락은 2~3cm로 길고 꺾인 형태이다. (참나래새는 꽃밥이 자갈색이다.)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 햇빛이 드는 숲속의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2012. 08. 08. 소백산 ● 나래새 Stipa pekinensis ↘ 벼과 나래새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가늘고 길.. 2012. 9. 25. 나래새 Stipa pekinensis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따르면 '나래새'의 학명은 'Stipa pekinensis'인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는 '나래새'라는 국명이 빠져 있으며 이에 대한 기재문이 없는 상태라 '나래새'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 '가는나래새'로 국명을 단 'Stipa sibirica'를 두산백과사전에서는 '나래새'로 적고 있으니 혼란스런 모습이다. 게다가 'Stipa sibirica'의 분포지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는 "백두산지역에서 자란다."고 제한하고 있는 데 비하여, 두산백과사전에는 전국적으로 자생하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니 어느 쪽 자료를 믿어야 할까... 나래새는 해발고도가 낮은 산지, 햇빛이 드는 숲속의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참나래속(Stipa)으로 잎 너비 .. 2009. 10. 15. 이전 1 다음